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7월 11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
파일/용량 | EPUB(DRM) | 48.07MB ? |
ISBN13 | 9791191438703 |
발행일 | 2022년 07월 11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
파일/용량 | EPUB(DRM) | 48.07MB ? |
ISBN13 | 9791191438703 |
책을 펴내며 제1편 선사 1. 도구 사용과 무리생활 2. 농사짓기와 정착생활 제2편 고대 1. 금속기 문화와 고조선 1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 | 2 단군과 고조선 | 3 고조선의 변천과 멸망 | 4 한 군현과 토착 세력 2. 초기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부여의 성립과 역사 전개 | 2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3 옥저와 동예 그리고 삼한 소국 3. 삼국의 발전과 가야 1 고구려의 영역 확장과 지배체제 정비 | 2 백제의 성장과 마한 통합 | 3 진한 사로국에서 신라로 | 4 가야의 여러 나라 4. 삼국의 항쟁과 지배체제 정비 1 고구려의 영토 확장과 평양 천도 | 2 백제의 천도와 지배체제 정비 | 3 신라의 지배체제 정비와 영토 확대 5. 삼국의 정치·사회·경제 1 지배구조와 정치제도 | 2 사회계층과 신분제 | 3 수취제도와 경제생활 6. 삼국의 문화와 예술 1 한자문화의 수용과 역사서 편찬 | 2 신앙과 종교 | 3 건축과 예술 제3편 통일신라·발해 1. 동아시아 정세와 통일전쟁 1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삼국의 대응 | 2 나당 연합과 백제의 멸망 | 3 고구려의 멸망과 나당전쟁 2. 신라의 지배체제 재정비와 정치 변동 1 평화 속 체제 안정 | 2 왕위 다툼과 정국 혼란 | 3 호족의 등장과 후삼국 분열 3. 신라의 정치·사회·경제 1 통치기구와 지배조직 | 2 토지제도와 경제생활 | 3 사회구조와 생활상 4. 신라 통일기의 사상과 문화 1 사상과 종교 | 2 문학과 예술 5. 발해의 지배구조와 문화 1 건국과 발전 | 2 발해의 멸망과 유민의 동향 | 3 정치제도와 주민구성 | 4 사상과 문화 제4편 고려 1. 고려 전기의 정치와 체제 정비 1 고려의 건국과 왕권 확립 | 2 지배 세력과 국가체제의 정비 | 3 숙종-인종대의 정치 변동 2. 고려 후기의 정치와 체제 변동 1 무신정권의 형성과 민의 봉기 | 2 몽골(원)의 간섭과 고려의 정치 | 3 개혁 정치와 고려의 몰락 3. 고려의 국제관계와 전쟁, 교류 1 다원적 국제질서와 국제관계 | 2 몽골과의 전쟁과 강화 | 3 일원적 세계질서로 변동 4. 고려의 경제구조와 생활 1 토지제도와 농장 | 2 수취제도의 운영과 교통 | 3 농업생산력과 농업기술 | 4 상공업의 발달 5. 고려의 사회구조와 변동 1 신분제의 운영과 동요 | 2 가족제와 여성의 지위 | 3 사회정책과 율령제 6. 고려의 사상과 문화 1 불교계의 동향과 불교문화 | 2 유교사상의 전개와 유교의례 | 3 도교·풍수도참·민간신앙 | 4 과학과 문화의 발달 제5편 조선 1. 조선왕조의 성립과 체제 1 조선왕조의 성립 | 2 새로운 국가체제의 정비 | 3 중앙과 지방의 행정조직 | 4 대외관계와 군사조직 | 5 관료 선발과 교육제도 2. 조선 전기의 경제 운영과 사회구조 1 과전법의 운영과 수취체제의 변화 | 2 농업 경영과 생산력의 발달 | 3 국가적 상업 통제와 관영 수공업체제의 형성 | 4 신분제의 구조와 운영 3. 조선 전기 학문과 문화의 발달 1 성리학의 수용과 보급 | 2 과학기술의 발달 | 3 문화의 발달 4. 조선 중기 사림의 성장과 붕당 1 사림의 성장 | 2 붕당의 발생 | 3 성리학의 심화 5. 두 차례의 전쟁과 전후 복구 1 임진왜란과 대일관계 | 2 병자호란과 대청관계 | 3 전후 국가체제 정비 | 4 재지사족과 지방사회 6.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 1 정치질서의 재편 | 2 탕평정치의 실시 | 3 세도정치의 등장과 폐해 7. 조선 후기 경제 발달과 사회 변동 1 부세제도의 개편 | 2 농업 발달과 지주제의 변동 | 3 상공업의 성장과 무역의 발달 | 4 서울과 지방사회의 변화 | 5 신분제와 가족·친족제의 변화 | 6 민중 저항의 양상 8. 조선 후기 사상과 문화의 새로운 흐름 1 화이론과 성리학 | 2 실학의 전개와 역사 연구 | 3 천주교와 민중사상의 등장 | 4 문화의 새로운 흐름 시각자료 소장처 및 출처 왕위 계보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
문대통령 추천으로 접한 책이다. 역사를 좋아하는 편인데 되돌아 생각해보니 그럼에도 아주 오랫동안 통으로 역사를 접한 건 오랜만이더라. 수능 이후로는 한국사 시험이 아니고서야 조금 자극적인 주제별, 사건별로 역사 도서를 읽어왔으니까.
내가 알고있는 부분과 약간 다른 부분이 있기는 했는데 그럼에도 꽤 만족스러운 책이었다. 그런데 이제 읽는 시간이 조금 걸린...
국제정세나 여러 문화적 사안이 크게 일렁이는 지금을 살아내면서 늘 내가 속한 집단의 뿌리를 아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해왔다. 원해서 이 나라에, 이 인종으로 태어난 것은 아니지만 집단이라는게 원래 그런 거니까... 나를 감싸고 있는 문화와 사회 맥락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그걸 잘 깨달았으면 하는게 개인적인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