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파울 첼란 전집 3
양장
문학동네 2022.11.23.
가격
17,000
10 15,300
YES포인트?
8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5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책소개

목차

유골단지에서 나온 모래(1948)

문가에서
저쪽에서 017 | 꿈의 소유 019 | 자장가 020 | 우물가에서 021 | 비라일락 022 | 전사 023 | 양귀비 024 | 산의 봄 025 | 올리브나무 026 | 무덤들의 가까움 027 | 아르테미스의 화살 028 | 9월의 왕관 029 | 날개의 살랑거림 031 | 외로운 이 033 | 검은 눈송이들 034 | 꿈의 문지방 036 | 마지막 문 가에서 037
양귀비와 기억
사막에서 부르는 노래 041 | 밤이면 043 | 부질없이 너는 심장들을 그린다 044 | 하모니카 045 | 마리안 046 | 초 048 | 한 움큼의 시간 049 | 절반의 밤 050 | 네 머리칼 또한 떠 있네 051 | 사시나무 052 | 어둠 속으로 가라앉았다 053 | 유일한 빛 054 | 시네라리아 056 | 고사리의 비밀 057 | 세레나데 058 | 유골단지에서 나온 모래 059 | 마지막 깃발 060 | 철구두의 삐걱거림이 062 | 회귀선을 위한 노래 063 | 향연 065 | 9월의 어두운 눈 067 | 바다에서 나온 돌 069 | 프랑스에 대한 회상 071 | 밤의 빛줄기 072 | 너로부터 나에게로의 세월 074 | 먼 곳을 위한 찬양 075 | 온 생애 077 | 데우칼리온과 피라 079 | 코로나 081 | 여행중에 083
죽음의 푸가
새벽의 검은 우유 087

시간의 농가(1976)

I 시간의 농가
방랑의 다년초 095 | 증오에 찬 달은 096 | 금 098 | 가라앉는 고래의 이마로부터 100 | 너는 누워 있다 101 | 비단으로 덮인 어디에도 없음이 102 | 포도원의 벽이 공략된다 104 | 내가 너를 그림자로 105 | 가장 먼 106 | 저격당했다 108 | 모든 잠의 형상 109 | 두 개의 시각결절 110 | 나의 111 | 너는 나 112 | 속삭임의 집 113 | 작은 밤 115 | 불안정에 116 | 나는 조롱한다 117 | 네 시계의 얼굴 118 | 나는 너를 안내한다 119 | 나의 120 | 별 하나가 121 | 작은 뿌리의 꿈 123
II
만델적인 이들은 127 | 서 있었다 128 | 잉걸불이 129 | 우리, 갯보리처럼 지키는 자들 130 | 반지 하나, 활을 당기기 위하여 132 | 빛남은 133 | 그대 번쩍이는 이여 134 | 오렴 135 | 장화 하나 가득한 136 | 트롬본악절들 137 | 극점이 138 | 왕도가 140 | 온다 141 | 나는 포도주를 마신다 142 | 무언가가 될 것이다 143 | 무 144 | 종 모양의 것 안에서 145 | 내가 146 | 낯선 것이 147 | 두루 빛난다 148
III
계속 성유를 발랐다 151 | 장소바꾸기 152 | 세계 153 | 무엇이 쓴맛을 내며 154 | 아래로 내린 155 | 크로커스 156 | 포도를 가꾸는 사람들이 157

흩어져 있는 시

바다의 노래(1948) 161 | 육지(1948) 162 | 검은 왕관(1948) 164 | 헤맴(1948) 166 | 잠자는 연인(1948) 168 | 시간이 어떻게 가지를 뻗는지(1951) 169 | 숫자풀이노래(1958) 170 | 운과 압운과 함께한 위대한 생일날의 푸름푸름(1962) 172 | 둘로 갈라진 생각의 음악은(1966) 174 | ST 파우 하나(1967) 176 | 이러한 자유로운, 원통으로 속도를 낸 주먹(1967) 177
어두워졌다(1968)
거리낌없이 181 | 빛을 포기하고 난 뒤 182 | 분명히 183 | 공중밧줄에서 184 | 머리들 위로 185 | 너는 내던지는가 186 | 이의가 제기된 돌은 187 | 어두워졌다 188 | 황무지를 채워라 189 | 침입 190 | 우리와 함께 191 | 양손잡이인 새벽이(1970) 192

산문

에드가르 즈네와 꿈들의 꿈(1948) 195 | 역광(1949) 205 | 출판인이자 서적상인 플링커의 설문에 대한 답변, 파리(1958) 211 | 산속에서의 대화(1960) 213 | 출판인이자 서적상인 플링커의 설문에 대한 답변, 파리(1961) 221 | 한스 벤더에게 보내는 편지(1961) 223 | 『슈피겔』지 설문에 대한 답변(1968) 227 | La poesie(1970) 229

연설문

자유 한자도시 브레멘 문학상 수상 연설문(1958) 233 | 자오선 게오르크 뷔히너 문학상 수상 연설문(1961) 237 | 히브리 작가협회 연설(1970) 263

육필 원고 267
파울 첼란 연보 280

저자 소개2

파울 첼란

관심작가 알림신청

Paul Celan

첼란은 1920년 루마니아 북부 부코비나에 위치한 체르노비츠의 유대계 집안에서 태어났다. 루마니아령이었지만 어머니가 철저히 표준독일어로 가정교육을 하여 첼란에게는 독일어가 모국어가 되었다. 첼란에게 독일어는 ‘어머니의 언어’였지만, 나치에 의해 부모가 학살당한 그에겐 동시에 ‘살인자의 언어’이기도 하였다. ‘시는 모국어로 써야 한다’는 신념으로 첼란은 독일어 시작을 고집하였지만, 그는 어떤 시인보다도 이 언어에 대해 깊이 회의하였다. 그는 나치즘을 홍보하고 진실을 은폐하는데 이용된 이 언어와 씨름하면서 일생동안 진실을 드러내고 어두운 역사를 증언할 수 있는 참된 새 언어를 꿈꾸었
첼란은 1920년 루마니아 북부 부코비나에 위치한 체르노비츠의 유대계 집안에서 태어났다. 루마니아령이었지만 어머니가 철저히 표준독일어로 가정교육을 하여 첼란에게는 독일어가 모국어가 되었다. 첼란에게 독일어는 ‘어머니의 언어’였지만, 나치에 의해 부모가 학살당한 그에겐 동시에 ‘살인자의 언어’이기도 하였다. ‘시는 모국어로 써야 한다’는 신념으로 첼란은 독일어 시작을 고집하였지만, 그는 어떤 시인보다도 이 언어에 대해 깊이 회의하였다. 그는 나치즘을 홍보하고 진실을 은폐하는데 이용된 이 언어와 씨름하면서 일생동안 진실을 드러내고 어두운 역사를 증언할 수 있는 참된 새 언어를 꿈꾸었다. 첼란의 시들이 난해할 뿐 아니라 심지어 해석을 불허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는 역사의 음지를 드러내고 진실을 증언하려는 시인의 언어적 투쟁이 배어 있어서이다. 진실한 시를 위해 몸부림치던 첼란은 그에겐 여전히 비인간적인 현실과 ‘나치트라우마’를 견디지 못하고 1970년 세느강 투신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시집으로는 『양귀비와 기억』(1952), 『문지방에서 문지방으로』(1955), 『언어창살』(1959), 『누구도 아닌 자의 장미』(1963), 『숨돌림』(1967), 『실낱 햇살』(1968), 『빛 강요』(1970), 『눈 구역』(1971), 그리고 유작 시집으로 『시간의 뜨락』(1976)이 있다. 산문으로 「에드가 즈네와 꿈의 꿈」(1948), 「산중 대화」(1959), 뷔히너 문학상 수상문 「자오선」(1960), 브레멘 문학상 수상문 등이 있다.

파울 첼란의 다른 상품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다. 그곳에서 자라고 대학 역시 그곳에서 다녔다. 오래된 도시, 그 진주가 도시에 대한 원체험이었다. 낮은 한옥들, 골목들, 그 사이사이에 있던 오래된 식당들과 주점들. 그 인간의 도시에서 새어나오던 불빛들이 내 정서의 근간이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밥을 벌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고 그 무렵에 시인이 되었다. 처음에는 봉천동에서 살다가 방송국 스크립터 생활을 하면서 이태원, 원당, 광화문 근처에서 셋방을 얻어 살기도 했다. 1992년 늦가을 독일로 왔다. 나에게는 집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셋방 아니면 기숙사 방이 내 삶의 거처였다. 작은 방 하나만을 지상에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다. 그곳에서 자라고 대학 역시 그곳에서 다녔다. 오래된 도시, 그 진주가 도시에 대한 원체험이었다. 낮은 한옥들, 골목들, 그 사이사이에 있던 오래된 식당들과 주점들. 그 인간의 도시에서 새어나오던 불빛들이 내 정서의 근간이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밥을 벌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고 그 무렵에 시인이 되었다. 처음에는 봉천동에서 살다가 방송국 스크립터 생활을 하면서 이태원, 원당, 광화문 근처에서 셋방을 얻어 살기도 했다.

1992년 늦가을 독일로 왔다. 나에게는 집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셋방 아니면 기숙사 방이 내 삶의 거처였다. 작은 방 하나만을 지상에 얻어놓고 유랑을 하는 것처럼 독일에서 살면서 공부했고, 여름방학이면 그 방마저 독일에 두고 오리엔트로 발굴을 하러 가기도 했다. 발굴장의 숙소는 텐트이거나 여러 명이 함께 지내는 임시로 지어진 방이었다. 발굴을 하면서, 폐허가 된 옛 도시를 경험하면서, 인간의 도시들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뼈저리게 알았다. 도시뿐 아니라 우리 모두 이 지상에서 영원히 거처하지 못할 거라는 것도 사무치게 알았다.

서울에서 살 때 두 권의 시집『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혼자 가는 먼 집』을 발표했다. 두번째 시집인『혼자 가는 먼 집』의 제목을 정할 때 그것이 어쩌면 나라는 자아의 미래가 될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다. 독일에서 살면서 세번째 시집『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를 내었을 때 이미 나는 참 많은 폐허 도시를 보고 난 뒤였다. 나는 사라지는 모든 것들이 그냥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짐작했다. 물질이든 생명이든 유한한 주기를 살다가 사라져갈 때 그들의 영혼은 어디인가에 남아 있다는 생각을 했다.

뮌스터 대학에서 고고학을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받으면서 학교라는 제도 속에서 공부하기를 멈추고 글쓰기로 돌아왔다. 그뒤로 시집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산문집 『모래도시를 찾아서』 『너 없이 걸었다』, 장편소설 『박하』 『아틀란티스야, 잘 가』 『모래도시』, 동화책『가로미와 늘메 이야기』 『마루호리의 비밀』, 번역서 『슬픈 란돌린』 『끝없는 이야기』 『사랑하기 위한 일곱 번의 시도』 『그림 형제 동화집』 등을 펴냈다.

동서문학상, 전숙희문학상, 이육사문학상을 수상했다. 2018년 10월 3일, 독일에서 투병 중 별세했다.

허수경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1월 23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284쪽 | 398g | 122*210*20mm
ISBN13
9788954689816

출판사 리뷰

“무시무시 섬뜩 아름다움”
홀로코스트를 심장에 새긴 첼란의 시


파울 첼란은 1920년 부코비나 체르노비츠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부코비나는 18세기 후반까지 오스만제국, 그후로는 합스부르크가의 오스트리아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차세계대전 후 루마니아에, 2차세계대전중 소비에트연방에 편입되었다. 첼란이 태어날 당시에는 루마니아 영토였으나 유대정신을 계승하길 바랐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유대인 학교에 다니며 히브리어를 배웠고, 독일문학에 심취했으며 표준독일어 교육을 중시했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집안에서는 독일어를 썼다.

십대 시절 남몰래 시를 쓰기 시작하지만 대학자격시험을 치른 후 의학 공부를 위해 프랑스 투르로 떠났고 일 년 후 고향으로 돌아와 문학 공부를 시작했다. 1940년 소련이, 일 년 후 루마니아가 재점령하면서 파시스트 정부와 나치 독일에 의해 게토가 된 체르노비츠에서 첼란은 시를 쓰고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를 번역했다. 그리고 곧 나치에 의해 유대인 학살수용소 추방이 시작되었다. 수용소로 끌려간 첼란의 아버지는 병사하고 어머니는 총살형으로 비참한 죽음을 맞고, 첼란은 탈출했다가 다시 루마니아의 강제노동수용소로 끌려간 뒤 그 소식을 듣게 되었다. 홀로코스트의 경험과 함께 부모의 죽음은 이후의 삶과 시 세계에 영구히 각인되었다.

1944년 2월에야 수용소에서 나올 수 있었던 첼란은 체르노비츠를 떠나 부쿠레슈티에서 러시아 문학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고 루마니아 잡지에 처음으로 시를 실었다. 1948년 빈에서 『유골단지에서 나온 모래』가 나왔지만 회수하고, 1952년 공식적인 첫 시집인 『양귀비와 기억』을 시작으로 『문지방에서 문지방으로』(1955) 『언어격자』(1959) 『누구도 아닌 이의 장미』(1963) 『숨전환』(1967) 『실낱태양들』(1968)을 펴냈으며, 사후 『빛의 압박』(1970) 『눈의 부분』(1971) 『시간의 농가』(1976) 등이 출간되었다. 1958년과 1960년에는 독일 문학계의 주요 문학상인 브레멘 문학상과 게오르크 뷔히너 상을 수상하며 시인으로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전후 반유대주의와 보수주의 경향이 만연했던 서독 문학계에서 첼란은 “관심과 경탄을 불러일으키며 이목을 끌지만 우리에게는 속하지 않고 그 자신도 그것을 원치 않는” “외래종Exot”의 존재였다. 급기야 비평가들은 ‘현실과 거리가 먼 시’ ‘이해할 수 없는’ ‘은유로만 가득한 시’를 쓰는 시인으로 손쉽게 꼬리표를 붙여버렸고, 이 ‘난해성’이라는 그릇된 평가에 대해 첼란은 단호히 저항했다. “쓰인 단어 하나하나가 현실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하지만 아니, 그들은 그런 말을 원하지도 이해하려 하지도 않는다.” 나치 수용소에 대해 출판된 최초의 시들 중 하나이자 20세기 유럽 시의 표준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오늘날 그의 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죽음의 푸가」조차 처음에는 혹평과 모욕을 견뎌야 했다. 독일어로 시를 쓰는 유대인 시인으로 첼란이 독일 문단에 받아들여지기까지 얼마나 어려웠는지는 ‘골 사건Die Goll Affare’으로 칭해지는 표절 시비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초현실주의 시인 이반 골의 시를 번역한 첼란이 그의 시를 표절했다는 이 의혹은 근거 없음으로 밝혀졌지만, 나치에게 부모를 잃고 자신도 홀로코스트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생존자로 공포와 고통에 시달린 그에게 또다른 상처를 입힌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첼란에게 남아 있는 것은, 그럼에도 언어였다. 비인간적인 역사를 살아내며 ‘리얼리스트’로 “현실에 상처 입고도 현실을 찾으면서”(브레멘 문학상 수상연설문) 그것을 말 하나하나에 새겼다. ‘미화하지 않고 시적이 되려 하지 않는’ 언어로 결코 말해질 수 없는 경악을 말했고, 시가 침묵으로 향해 가는 전후의 경향 속에서도 끊임없이 ‘이미-더이상은-아님’에서 ‘그래도-아직은’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오랫동안 그에게 드리웠던 난해성, 비의秘義의 그늘을 걷어낸 자리에, 언제나 ‘너’에게로 향하는 시, 대화와 만남에서 시의 본질을 찾았던 시인이 있다.

유대인 시인 파울 첼란은 부코비나를 떠나 부쿠레슈티와 빈에 머물다가 파리에 정착해 본격적으로 시를 썼고 스스로 죽음을 택해 그곳에 묻혔다. 가장 어두웠던 시대를 시로 기억하고 당대의 몰이해에 시로 저항하며 자신의 정체성과 실존을 증명했던 파울 첼란, 오십 년의 길지 않은 생애 동안 한 번도 독일에 ‘살았던’ 적 없이, “부모를 죽인 살인자의 언어”인 독일어로 시를 썼던 파울 첼란은 이제 아우슈비츠 이후 가장 중요한 독일어권 시인으로 횔덜린, 릴케와 나란히 기억되며, 그의 시는 사후에도 여전히 우리를 향해 있다.

시, ‘유리병 속의 편지’
당신에게 가닿고자 한 시인의 소망


『파울 첼란 전집 3』은 1948년 빈에서 출간된 시집 『유골단지에서 나온 모래』와 1976년 사후 출간된 『시간의 농가』, 그 밖에 흩어져 있는 시들을 묶은 것과 산문, 연설문을 아우르고 있다. 『유골단지에서 나온 모래』가 출간되었을 때는 첼란이 빈을 떠나 파리에 자리잡은 후였고 나중에 오자를 발견하고 회수했다. 그리고 이중 절반에 가까운 이십오 편을 약간의 변화를 더해 『양귀비와 기억』에 다시 실었다. 그럼에도 첼란은 처음 나온 이 시집의 존재를 중요하게 여겼고, 그에 따라 그가 수기로 오류를 바로잡은 판본이 전집에 포함되었다. 『시간의 농가』는 유고에서 나온 오십 편의 시로 사후 출간되었으며, 흩어져 있는 시들은 첼란이 개별적으로 출판한 것이다.

산문으로는 초현실주의 화가이자 깊은 우정을 나누었던 에드가르 즈네의 작품을 소개하는 팸플릿에 실은 「에드가르 즈네와 꿈들의 꿈」, 아도르노와의 어긋난 만남을 계기로 쓰게 된 「산속에서의 대화」, 그리고 「역광」과 함께, 출판인이자 서적상 플링커의 설문에 대한 두 차례의 답변, 『슈피겔』지 설문에 대한 답변, 한스 벤더에게 보내는 편지가 실려 있다. 특히 「산속에서의 대화」는 유대계 헝가리인 문헌학자이며 친구인 페테르 손디의 주선으로 아도르노와 만날 예정이었으나 무산된 후 첼란이 아도르노에게 보낸 글로, 엥가딘의 실스마리아에서 실제로는 이루어지지 못했던 “우리, 유대인들, 너 큰 사람과 나 작은 사람”의 대화를 담고 있다. 아도르노가 에세이를 통해 “아우슈비츠 이후 시를 쓰는 것은 야만적이다”라고 주장한 후였고, 이에 대해 “아우슈비츠 이후 어떤 시도 불가능하다, 아우슈비츠를 바탕으로 한 게 아니라면”이라고 반박한 손디였다. 아도르노는 첼란이 죽기 일 년 전 “첼란의 시는 침묵으로 극도의 경악을 말하고자 한다. 아우슈비츠 이후 더이상 시는 쓰일 수 없다는 것은 잘못이었을 수도 있다”라고 다시 말했다.

아우슈비츠 이후 시를 썼던 첼란이 시와 시인의 존재에 대해 어떤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는지는 플링커와 한스 벤더에게 보내는 글에서뿐만 아니라 브레멘 문학상 수상 연설문, 게오르크 뷔히너 상 수상 연설문인 「자오선」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특히 현실과 역사에서 동떨어진 시가 아닌 ‘날짜를 기억하고자 하는’ 문학을 지향하는 첼란이 두드러진다. 뷔히너의 작품 『렌츠』를 시작하는 문장에 나오는 “1월 20일”은 특히 첼란에게 중요했다. 바로 반제회담에서 나치가 유대인 절멸 정책을 결정한 것이 1942년 1월 20일이었고 이로써 그에게 “1월 20일”은 유대인의 고통이 새겨진 상징적 날짜가 된다.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있는 「산속에서의 대화」를 설명하면서도 그는 “1월 20일”을 말한다.

일 년 전, 엥가딘에서 어긋났던 만남을 기억하며, 저는 작은 이야기를 종이에 옮겼습니다. 그 이야기에서 한 사람을 “렌츠”처럼 산을 두루 돌아다니게 했습니다. 다른 때와 같이 이번에도, “1월 20일”에 대해, 저 자신의 “1월 20일”에 대해 글을 썼던 것입니다.
저는…… 저 자신과 만났습니다.
-「자오선」

혹시 모든 시에 그 시만의 “1월 20일”이 쓰여 있다고 말해도 될까요? 오늘날 쓰이는 시들의 새로운 점은 어쩌면 바로 이것이 아닐까요: 여기서 가장 분명하게 이런 날짜를 기억하려 한다는 것 말입니다.
-「자오선」

제가 생각하기에, 독일 시는 프랑스 시와 다른 길을 갑니다. 기억 속에 있는 가장 어두운 것, 가장 불확실한 것을 주위에 거느린 독일 시는, 시가 서 있는 전통의 온갖 생생한 묘사에도 불구하고, 귀가 예민한 다수의 사람들이 아직도 시에 기대하는 언어로는 더이상 말할 수 없습니다. 독일 시의 언어는 더 냉철하고 더 사실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아름다움’을 불신하며, 진실이 되고자 합니다.
-출판인이자 서적상인 플링커의 설문에 대한 답변, 파리(1958)

이것은 손의 일입니다. 그리고 이 손은 또다시 단 한 사람, 다시 말해 죽을 운명인 유일무이한 영혼의 존재가 소유한 것입니다. 자신의 목소리와 자신의 침묵으로 길을 찾는 존재 말입니다. 진실한 손만이 진실한 시를 씁니다. 악수와 시는 원칙적으로 어떤 차이도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한스 벤더에게 보내는 편지」

또한 첼란은 러시아 시인 오시프 만델스탐의 ‘유리병 속의 편지’를 인용해 ‘대화로서의 시’를 말한다. 첼란은 같은 유대계로 시베리아수용소에서 죽임을 당한 만델스탐, 민족의 박해와 고난의 운명을 공유하는 시인에게 깊은 동질감을 느꼈으며, 나중에 『누구도 아닌 이의 장미』를 헌정했다. ‘유리병 속의 편지’처럼 첼란의 시는 언제나 수신자로서의 상대, 말을 건넬 수 있는 ‘당신’에게 가닿고자 한다.

시는, 당연히 언어의 한 형태이고 그 점에서 본질적으로 대화이기에, 유리병 속의 편지일 수도 있습니다. 믿음?물론 항상 희망차지만은 않은?속에서 보내진, 그 편지는 언제고 어느 곳이든 뭍에, 어쩌면 심장의 나라에 닿을 수도 있겠지요. 시들은 이런 식으로 길 위에 있습니다: 시들은 무언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무엇을 향해서일까요? 열려 있는 그 무엇, 차지할 수 있는 것을 향해, 어쩌면 말을 건넬 수 있는 ‘당신’을 향해, 말을 건넬 수 있는 현실을 향해서입니다. 그러한 현실들이, 제 생각에는, 시의 핵심입니다.
-「자유 한자도시 브레멘 문학상 수상 연설문」

추천평

파울 첼란은 언어의 불충분함을 받아들이는 데에서 시가 출발해야 한다는 것을 가장 선명하게 알려준 시인이다. 시인은 인간의 언어로 언어의 불가능성마저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가장 강력하게 증명해낸 시인이다. 어떤 경악은 있었던 언어로는 말해질 수 없다는 것을 나는 파울 첼란으로부터 배웠다. 그는 바위 하나를 발 앞에 던져 한 걸음을 걷고 또 그 바위를 챙겨 발 앞에 다시 던져 한 걸음을 내디뎌서 징검다리를 놓듯 발화했다. 태어나는 동시에 사라지는 방식으로, 더듬는 듯, 토하는 듯, 던지는 듯, 파인 듯, 무겁디무겁게. 그의 언어는 그가 바위를 지고서 이미 지나간 자리에 남겨진, 뚝뚝 흘린 핏방울들처럼 짙고 비리고 생생하다. 화살촉에 묻혀둔 한 방울 독처럼 미량으로도 강력하다. 아름답고도 무서운, 번뜩이다 소멸하는 언어의 인광을 일순간 목격하는 것, 그것으로부터 파울 첼란의 시 읽기를 출발해도 좋으리라. ‘그래도-아직은’의 세계를 기어이 찾고, 찾는 동시에 잃고, 잃음을 다시금 찾는 파울 첼란의 나아감을 온전히 접할 수 있는 이 기쁨. 이런 종류의 기쁨은 너무나도 귀하다. - 김소연 (시인)
그리하여 하나의 유일무이한 시적 우주로 가는 문이 열린다. - 뷔혀마가진
난해하다는 그릇된 평가를 받은 이 작가가 놀랍도록 현실적인 동시에, 시적으로 독창적이고 타협 없는 자기-, 세계 경험을 마지막 철자 하나하나까지 정확한 단어로 담아낸다. - 만하이머 모르겐
파울 첼란의 시를 읽는다는 것, 그것은 말할 수 없이 흥분되고 비교할 수 없는 말의 너비를 발견하는 일이다. - 레벤스아르트
파울 첼란 전집은 새로운 발견으로 초대한다. 어둠의 한가운데서도 동시에 유토피아적인 것을 찾을 수 있다. - 디 타게스포스트
파울 첼란의 시는 번역 불가능성의 가장자리를 맴돈다. 에베레스트 등반에 버금가는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번역자들은 첼란의 어둠에 싸인 비애를 옮기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을 느껴왔다. 그 자신이 이미 재능 있는 시 번역자이기도 했던 첼란은 시를 “병 속의 편지”에 비유했다. 어쩌면 그는 시란 곧 번역이라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 뉴욕 타임스
나치 수용소에 대해 출판된 최초의 시들 중 하나이자 20세기 유럽 시의 기준이 된 대표작 「죽음의 푸가」부터, 불가해한 후기작에 이르기까지, 첼란의 모든 시는 생략적이고, 중의적이고, 쉬운 해석을 거부한다. 그는 아우슈비츠 이후 세계를 위한 언어를 다시금 고안해 독일어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냈다. - 뉴요커
프리드리히 횔덜린과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후 유럽 문단의 가장 혁신적인 모더니즘 시인 중 하나인 파울 첼란. 20세기의 전쟁과 공포 이후 그는 시로 나아가는 새길을 열었다. 첼란 그 자신처럼 그의 시는 겁먹고 상처 입은 생존자다. - 보스턴 리뷰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선택한 상품
15,300
1 15,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