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들어가며 ··· 5
1장 - 제스처 드로잉 ··· 7 8가지 신체 부위 ··· 8 형태와 균형 ··· 9 대칭과 비대칭 ··· 10 반복과 타이밍 ··· 11 겹치는 선 ··· 14 척추 ··· 18 무게중심 ··· 22 흉곽과 골반 ··· 23 막 시작하려는 포즈 ··· 24 선 아껴 쓰기 ··· 26 이야기 구상하기 ··· 28 단축법을 통한 제스처 드로잉 ··· 31 2장 - 주요 뼈대 ··· 33 전면 골격 ··· 34 후면 골격 ··· 35 양감 ··· 38 체중 분배 ··· 43 연결 ··· 44 팔 ··· 46 다리 ··· 47 주요 뼈대 그리기 정리 ··· 49 3장 - 형태와 연결 ··· 54 요약 ··· 58 4장 - 머리 묘사 ··· 60 1단계: 구체 ··· 62 2단계: 기울기 ··· 62 3단계: 턱 그리기 ··· 63 4단계: 원근법 ··· 64 5단계: 비율 ··· 66 6단계: 옆모습 ··· 68 7단계: 귀 ··· 70 8단계: 미간 ··· 72 9단계: 구강 구조 ··· 76 완성된 선화 ··· 80 옆모습 그리기 ··· 82 뒤통수 그리기 ··· 85 5장 - 근육 구조 및 형태 ··· 90 근육 그리기 과정 ··· 91 인체 정면 해부도 ··· 92 인체 후면 해부도 ··· 94 근육 구조와 움직임 ··· 96 목빗근 ··· 98 대흉근 ··· 100 승모근 ··· 104 삼각근 ··· 108 복직근 ··· 112 복사근 ··· 114 전거근 ··· 116 척주기립근 ··· 118 광배근 ··· 120 인체 구조와 건축 ··· 124 근육 구조와 디자인 요소 ··· 130 6장 - 팔 ··· 133 어깨 구조 분석 ··· 134 견갑골 구조 분석 ··· 136 팔의 근육 구조 ··· 138 아래팔 구조 분석 ··· 148 팔다리 그리기 정리 ··· 154 빛과 명도 ··· 159 7장 - 손 ··· 164 손의 골격과 비율 ··· 165 손의 근육 구조 ··· 168 원근법 ··· 170 손가락뼈와 관절 ··· 172 살과 근육 붙이기 ··· 174 손가락 그리기 정리 ··· 177 손 그리기 정리 ··· 179 8장 - 다리 ··· 182 넙다리의 근육 구조 ··· 186 종아리의 근육 구조 ··· 200 9장 - 발 ··· 206 발 그리기 정리 ··· 214 10장 - 드레이퍼리(원단과 주름) ··· 222 11장 - 빛과 그림자에 대한 몇 가지 정보 ··· 236 참고 문헌 ··· 239 |
저마이클 햄튼
관심작가 알림신청Michael Hampton
역조은형
관심작가 알림신청조은형의 다른 상품
이 책에서 소개하는 드로잉 방식은 내가 수년간 인체 드로잉과 해부학 수업에서 사용해 온 방식이다.
---「첫 문장」중에서 인체 비율을 정할 때 너무 천천히 꼼꼼하게 재지 말고, 그 대신 머리부터 발끝까지 인물을 그리고 나서 가장 정확해 보이는 비율을 정하자. 만약 정확해 보이지 않는다면 그때 바꾸면 된다. --- p.8 뻣뻣하고 대칭인 포즈는 힘, 에너지, 정지를 암시하기에는 좋지만 서정성이나 과장된 느낌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포즈에 매우 역동적인 느낌을 주고자 할 때, 나는 학생들에게 ‘막 시작하려는’ 느낌을 살려서 그려 보라고 말한다. 이러한 포즈는 뭔가 하는 도중이나 뭔가를 하려는 듯한 인상을 준다. --- p.24 인체는 균형과 불균형을 끊임없이 오가는 기계라는 점을 잊지 말자. 뼈나 근육뿐 아니라 움직임에서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걷기 같은 평범한 움직임을 떠올려 보자.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모든 움직임은 불균형 속으로 내던졌다가 다음 발걸음에 균형을 되찾는다. --- p.28 접히거나 늘어난 부분을 표현할 때는 오버랩을 사용해 공간감을 살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깊이감과 후퇴감을 줄 때는 주로 ‘T자’ 오버랩을 사용한다. T자 오버랩은 한 선이 다른 선의 앞이나 뒤로 오면서 T자 모양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 p.43 T자는 얼굴에서 대칭이 되는 선이다. 얼굴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는 수직선이 얼굴을 정확히 둘로 나눈다. 그리고 눈 위치에서 수평선이 가로지른다. --- p.63 눈을 그릴 때는 눈구멍의 어디쯤에 그릴지를 먼저 정하고 항상 눈동자를 묘사해야 한다. 이때 강조하기에 앞서 눈에 어떤 표정을 담을지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눈꺼풀을 그릴 때는 눈꺼풀이 여러 개의 선으로 겹쳐 있다고 생각하자. 눈꺼풀은 안구 전체를 덮는다는 것을 전제로 그려야 한다. --- p.74 승모근은 기본 형태로 단순화하면 기억하기도 사용하기도 쉽다. 다소 복잡한 형태이지만 단순하게 보면 단검을 거꾸로 한 모양 같다. 단검의 손잡이는 근육이 두개골 아래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승모근의 날개가 견갑골 위로 내려앉으며 단검 손잡이 부분이 뚜렷해진다. 승모근을 척추까지 당길 때 단검의 날이 보인다. --- p.104 팔은 커다란 부위가 아니라서 구조를 모두 표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삼각근을 사용해서 팔을 면으로 분리하여 배치 해 보자. 삼각근은 항상 팔의 측면에 연결 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삼각근의 끝을 찾아서 팔의 옆, 앞, 뒤 등으로 그려 나가면 된다. --- p.137 아래팔을 그릴 때는 외전과 내전을 할 때 요골과 척골의 위치를 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척골은 상완골에 경첩관절로 연결되어 정적인 상태이지만, 요골은 척골 주위를 회전한다. --- p.148 다리 근육은 대부분 타원이 변형된 형태다. 타원형 근육들이 다리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기능하는지 머릿속에 그려 보면 더욱 쉽게 기억할 수 있다. --- p.186 발목뼈는 발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며 발뼈에서 가장 큰 부위다. 그다음으로는 발허리뼈, 발가락뼈 순으로 크다. 손과 비교했을 때 비율이 완전히 반대다. 손은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해 작은 부위가 큰 부위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발은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큰 부위가 작은 부위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 p.207 발을 그리는 과정은 손을 그리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발을 그릴 때는 양말을 신었다고 생각하고 단순한 봉투를 떠올리며 시작해 보자. 그러면 봉투라는 큰 형태에 집중하게 되어 명암이나 디테일에 신경을 뺏기지 않을 수 있다. --- p.214 주름은 서로 매우 유연하게 연결된다. 드레이퍼리를 그릴 때 주름 하나를 유독 강조하거나 주름을 너무 나누면 움직임이 끊기고 옷 아래의 인체 형태가 무너질 수도 있다. --- p.234 |
드로잉에 딱 맞춘 ‘알기 쉬운’ 해부학으로
원하는 인물과 포즈를 쉽게 만들어 보자! 이 책은 8가지 주요 신체 부위(머리, 골반, 척추, 흉곽, 양쪽 팔, 양쪽 다리)의 형태와 균형을 살피는 것으로 시작한다. 몸의 형태를 직선, S자 곡선, C자 곡선으로 설명하며 원하는 대로 속도감, 공간감, 원근감을 주며 선을 긋는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머리, 흉곽, 골반, 그리고 팔다리의 균형을 담당하는 척추에 중점을 둔다. 무게중심에 맞게 중심선을 그리고, 몸의 기울기에 따라 골반과 흉곽을 도형으로 묘사하며, ‘막 시작하려는 포즈’로 역동적인 인상을 주는 방법을 차례차례 배우다 보면 단순한 인체 드로잉을 넘어 주제에 맞는 생동감 있는 인물을 그려 낼 수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뼈대와 근육부터 손, 팔, 다리, 발까지 신체 부위를 단순한 디자인으로 설명한다는 것이다. 저자가 직접 그린 해부도에는 골격과 근육이 색깔로 구별된 채 도형이나 알기 쉬운 모양을 띠고 있다. 미간이나 손등처럼 사다리꼴, 상자 형태로 간단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자전거 손잡이 모양의 쇄골, 나비 모양의 대둔근, 머리를 잡은 스패너 같은 장경인대처럼 재미있게 표현하기도 했다. 여기에 부위마다 형태와 기능, 그리는 방법을 명료하게 덧붙인다. 타원을 늘리거나 줄여서 팔다리 근육의 수축과 이완 상태를 표현하고, 두개골의 세로 비율에 맞게 눈, 코, 입을 그려 넣고, 손뼈 비율에 따라 손가락뼈 길이를 맞추는 방법 등 유용한 설명이 곳곳에 담겨 있다. 그림 그리는 입장에 맞게 해부학을 재구성하여 인체 드로잉에 편하게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이 책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체 드로잉을 혼자서 시작하는 사람도 해부학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림에 설득력을 더할 수 있다. 이 책 후반부에는 7가지 옷주름과 명암 표현 방법을 덧붙여 더욱 효과적인 인물 묘사를 끌어낸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꾸준한 연습’을 강조한다. 책 곳곳에 담긴 예시 그림과 스케치는 저자의 기법을 따라 하며 점차 발전시켜 나갔을 때 효율적인 드로잉이 가능하다는 점을 일깨운다. 수년간 인체 드로잉, 해부학 학습서로 자리매김한 이 책을 통해 올바른 인체 드로잉 습관을 길러 보자. |
사람을 그리는 일은 어렵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몸의 모든 부분이 수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206개의 뼈와 650개의 근육이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그야말로 무한에 가까운 형상의 패턴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체 드로잉은 ‘어떻게 그릴 것인가’보다 ‘무엇을 볼 것인가’가 중요하다. 들리면 말할 수 있듯, 보이면 그릴 수 있다. 이때 해부학은 몸 구석구석의 발견을 돕는다. 그러나 보아야 할 것들이 워낙 많아, 곳곳에 이정표를 꽂아 주는 능숙한 길잡이가 꼭 필요하다. 숙련된 강사이자 저자 마이클 햄튼이 인체를 바라보는 정제된 시선을 공유하고 싶다면, 두말 말고 이 책을 모조리 따라 그려 보길 권한다. 적어도 사람을 그리는 일이 이전보다는 훨씬 재미있어질 것이다. 일단은… 나부터. - 석정현 (그림꾼,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석가의 해부학 노트』 저자)
|
좋은 그림은 보고만 있어도 드로잉에 도움이 됩니다. 이 책은 복잡하고 어려운 인체의 제스처, 근육 등을 단순한 형태로 도형화하고 색을 넣어 보기 쉽게 표현했을 뿐 아니라 좋은 그림, 탄탄한 내용까지 담고 있어 소장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드디어 한국어로 번역된 『마이클 햄튼의 인체 드로잉』은 드로잉을 잘하고 싶은 많은 독자분께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타코 (작가, 『시크릿 캐릭터 드로잉』 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