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상담전문가로서 생각하고 행동하기 제1장 상담 분야로의 여행 도입 상담에 대한 간략한 역사 전문가적 정체성 지금 우리는 누구인가 지금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2장 상담을 효과적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도입 효과적인 상담자의 개인적 특성 치료적 동맹 조력 관계를 지지하는 촉진 조건 전이와 역전이 관계 불화 상담자 자기 인식 다문화적 역량 책임 이론적 지향 내담자는 어떠한가 종합하기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3장 효과적인 사례개념화 도입 진단과 문제 확인 사례개념화 T/C 모델: 사례개념화에 대한 통합적 접근 모델의 개요 Katy의 사례 치료 계획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2부 DSM-5 진단에 대한 사례개념화와 증거기반 치료 제4장 우울장애 도입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주요우울삽화를 동반한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물질/약물 치료로 유발된 우울장애 달리 명시된 혹은 명시되지 않은 우울장애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과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이용한 우울증의 사례개념화 James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5장 양극성 장애 도입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과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이용한 양극성 장애의 사례개념화 Jason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6장 불안장애 도입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특정 공포증 사회불안장애 광장공포증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과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사용한 불안의 사례개념화 Jim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7장 강박 및 관련 장애 도입 강박장애 신체이형장애 수집광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과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사용한 강박 및 관련 장애의 사례개념화 Sandy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8장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도입 급성 스트레스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과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이용한 외상 관련 장애의 사례개념화 Sora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9장 급식 및 섭식장애 도입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과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사용한 섭식장애의 사례개념화 Rebecca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10장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 도입 물질사용장애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 및 인구요인 병인 및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사용한 물질관련 장애의 사례개념화 JJ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11장 성격장애 도입 동반이환 문화적 고려사항 및 인구요인 병인과 위험요인 치료적 개입 T/C 모델을 사용한 성격장애의 사례개념화 Jerry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_ 340 더 나아가기 제12장 전형적인 아동기 발병 장애 도입 자폐스펙트럼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품행장애 T/C 모델을 사용하여 사례개념화할 때 고려사항 Phillip의 사례 상담의 핵심 실습 더 나아가기 제3부 사례개념화와 상담 및 심리 치료의 실제 제13장 사례개념화의 실제 사례개념화와 T/C 모델 앞으로 나아가기: 실제에서의 T/C 모델 실습 참고문헌 찾아보기 |
저Lynn Zubernis
관심작가 알림신청저Matthew Snyder
관심작가 알림신청역이동훈
관심작가 알림신청이동훈 의 다른 상품
제1부에서는 상담 과정을 상담자라는 직업의 역사적 맥락과 상담자의 독특한 전문가적 정체성 내에서 설명한다. 상담은 복잡한 과정이다. 우리가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기 전에, 상담자로서 우리가 누구인지 이해해야 한다. 상담자로서 우리는 어떤 역사를 갖고 있으며, 우리의 목적은 무엇이고, 우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이를 통해 우리는 기법, 자질 그리고 이론적 지향을 포함한 상담의 효과성에 관한 문헌들을 개관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대부분의 상담 프로그램 도입과정에서 다루어지지만, 사례개념화의 과정에서 이 개념들의 쓰임새를 보여 주기 위해 그것들을 적용하려 한다. 이 책은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모두 다루기보다는 상담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론을 간단히 논의하면서 사례개념화와 치료 계획에서의 적용을 강조한다.
제2부에서는 상담 장면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문제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경험적으로 입증되고 문화적 및 상황적으로 민감한 개입들도 포함한다. 이 책은 가장 최근의 증거 기반 연구에 기초하여 정신적·정서적·행동적 질환들의 치료를 위한 통로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진단과 치료가 인간의 다양성과 개별성을 포용하는 역동적이고 발전하는 분야의 일부임을 인지한다. 따라서 이 책은 평가, 예방과 개입을 위한 엄격한 공식을 제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상담자들이 그들의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게끔 현명하고 윤리적이며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기 위해 설계되었다. 미국상담학회의 윤리강령은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개입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해당 질환에 대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 기반 치료 전략에 초점을 둔다. 제3부에서는 발전하는 전문가적 정체성 내에서 상담에 대한 정보, 원칙, 실무를 통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당신이 앞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이 책의 T/C 모델은 사례개념화가 맥락 속에서 수행되며 그 과정이 합목적적임을 확실히 함으로써 상담의 질을 높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