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1부 회상첫 만남 / 함부르크 / 슈타인바흐 / 빈 / 마지막 시절2부 성찰오페라 감독 / 지휘자 / 작곡가 / 인품옮긴이의 말 / 구스타프 말러 연보 / 찾아보기
|
브루노 발터,Bruno Walter Schlesinger
Bruno Walter의 다른 상품
金炳華
김병화의 다른 상품
2022년 영화 [헤어질 결심]에 삽입된 말러 교향곡 5번 4악장 ‘아다지에토’가 말러 음악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다시 한 번 불러일으켰다. (토마스 만은 1910년 말러 교향곡 8번 초연을 듣고 감동한 나머지 《베네치아에서의 죽음》(1912)의 주인공 구스타프 폰 아센바흐에게 말러의 이미지를 덧씌웠다. 훗날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이 동명의 영화(1971)에서 ‘아다지에토’를 사용하며 이 곡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다.) 이 책은 말러 애호가에게는 거장 발터의 증언을 통해 말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말러를 처음 만나는 입문자에게는 그의 삶과 예술을 조망할 수 있는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책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부 ‘회상’에서 발터는 말러와의 첫 만남부터 함부르크, 슈타인바흐, 빈 궁정 오페라를 거쳐 뉴욕 그리고 다시 빈으로 돌아와 숨을 거둘 때까지 음악 여정을 따라간다. 발터가 말러와 가장 오래 함께 일한 도시는 빈이었다. 발터는 말러의 빈 시절은 “한 위대한 음악가가 동료 예술가와 청중들을 위해 펼친 10년간의 축제였다”라고 말한다. 이후 말러는 미국으로 떠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와 뉴욕 필에서 일한 3년여간 8, 9번 교향곡과 〈대지의 노래〉를 완성했다. 세상을 떠나기 1년 전에는 교향곡 8번의 대성공에도 불구하고 부인 알마와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의의 불륜으로 고통스러워했다. 심장병이 악화되어 다시 유럽으로 돌아온 말러는 빈에서 수많은 군중의 애도 속에 1911년 5월 18일 눈을 감았다.2부 ‘성찰’에서는 오페라 감독, 지휘자, 작곡가로서 말러의 음악적 성취와 인품에 대해 이야기한다. 말러는 연극을 깊이 이해하고 정통했다. 오페라와 연극에서 음악 정신을 불러일으키려 했다.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그의 위대함은 연주의 엄밀성과 명료함, 존재의 의미를 찾기 위한 고통스러운 노력, 인간과 세계에 대한 따뜻하면서도 격정적인 마음에서 우러나온다고 발터는 말한다. 체코 칼리슈테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말러는 스스로 평생 경계인으로 살았다고 말했다. “나는 3중의 이방인이다. 오스트리아 사람 가운데서는 보헤미아 사람이요, 독일인 가운데에서는 오스트리아 사람이요, 세계인 사이에서는 유대인이다.” 말러만큼 음악과 삶이 밀접하게 연관된 작곡가가 있었을까? 말러의 교향곡은 자신의 인생이자 거대한 이 세계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교향곡은 세계와 같아야 한다. 모든 것을 포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불우한 성장기, 버거운 가장의 무게, 두 동생과 어린 딸의 죽음 그리고 불안과 혼돈의 세계 속에서 말러는 평생 죽음, 고통, 선과 악, 고귀함과 비천함, 고상하고 시시한 것 등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음악에 담고자 했다. 작곡가이자 지휘자 말러는 여전히 누군에게는 열렬한 숭배의 대상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시끄럽고 지루한 음악을 만든 괴팍한 사람이다. 그의 강렬한 개성과 재능, 음악에 대한 절대적 헌신은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한편 많은 사람을 적으로 만들기도 했다. 가수와 오케스트라를 너무 가혹하게 몰아붙여 원성을 사기도 했지만, 음악적 완성도와 무관한 일상에서 말러는 매우 친절했다.발터는 말러가 어린아이처럼 맛있는 음식을 좋아했으며, 숲속의 모든 생명체에 따뜻한 감정을 품었다고 전한다. 생활고로 허덕이는 발터에게 1년치 생활비를 대주겠다고 제안할 정도로 따뜻한 품성을 지녔다. 열정과 재능, 진실함에 귀기울였고, 타인에게 관대하고 동정적인가 하면, 경악스러울 만큼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 그것은 그가 예술에 온통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이었다. 말러는 충동적이고, 우울하며, 죽음에 대한 생각을 평생 안고 살았지만, 사실은 천성적인 낙관주의자였고 엉뚱하고 유머 감각이 뛰어났다고 한다. 단원들과 연습하던 중 혼자 생각에 몰두하다 느닷없이 “웨이터, 계산서”라고 외치는가 하면, 늘 실수하던 성악가가 극장에 화재가 나자 완벽하게 노래하는 것을 보고 “그 구절을 제대로 부르려면 불이 나야겠군”이라며 웃으며 말했다. 심각한 병에 걸린 단원을 위해 최선을 다해 도우려 했다.함께 읽으면 좋은 책말러와 1910년의 세계 - 〈교향곡 8번〉의 탄생말러는 그가 존경한 니체가 규정한 ‘자신의 시대가 남긴 흔적을 그대로 받아내 열린 상처처럼 떠안고 사는 창조적 유형의 전형’이었다. ‘천인千人 교향곡’으로도 불리는 〈교향곡 8번〉을 발표한 1910년은 ‘영원한 여성’과 같았던 아내 알마의 외도가 발각된 시점과 맞물려 말러에게는 결정적인 생의 전환점이자, 제2의 고향 빈에게는 거대한 두 전쟁을 앞둔 시대적 변곡점이기도 했다. 이 책은 말러 〈교향곡 8번〉의 음악적 요소와 의미 및 의의를 치밀하게 추적하고 분석하며, 말러의 개인사와 심리적 변화, 화려하게 꽃피웠지만 퇴폐적이고 불온한 기운이 감돌았던 20세기 초 빈의 시대상과 문화적 지형도를 섬세하게 파헤친다.스티브 존슨 지음 │ 이석호 옮김 │ 464쪽 │ 24,000원말러, 그 삶과 음악말러 전문가 스티브 존슨이 전하는 말러의 삶과 작품 이야기. 함께 제공되는 음반 2장과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주요 작품들을 고음질로 감상할 수 있다. 말러의 생애사, 음악사, 시대사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비교 연표와 주요 작품 해설 부록이 알차다.스티브 존슨 지음 │ 임선근 옮김 │ 260쪽 + CD 2장 │ 20,000원말러를 찾아서 - 세계적 지휘자 29인이 만난 말러탄생 100주년인 1960년 즈음에도 그의 음악은 정규 레퍼토리 바깥에 있었으나 지금은 베토벤과 견줄 만큼 빈번하게 연주된다. 어떻게 그런 변화가 생겼을까? 이 책은 우리 시대의 탁월한 말러 지휘자 29인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그 답을 찾는다. 한 위대한 작곡가를 이해하기 위한 여정은 클래식 음악 전체를, 결국 우리 삶 전체를 조망하게 해준다.볼프강 샤우플러 지음 │ 홍은정 옮김 │ 380쪽 │ 23,000원말러 앨범 - 서거 100주기 기념판구스타프 말러의 알려진 사진을 모두 모은 결정판. 유명한 말러 권위자 길버트 캐플런이 직접 이미지를 고르고 편집했다. 특히 말러의 사후인 1922년 아내 알마 말러가 남편의 친구이자 빈 궁정 오페라의 무대미술가였던 알프레트 롤러에게 부탁한 글에서 말러의 음악 세계와 인간적인 면모를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다.길버트 캐플런 지음 │ 임선근 옮김 │ 양장본 │ 336쪽 │ 100,000원음악과 연주 창조와 재창조에 대하여온화하고 진취적인 연주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는 지휘자 브루노 발터의 저서이다. 1959년, 자신의 음악 인생에서 길어 올린 생생한 경험과 깊은 통찰을 담은 이 책은 한 세기가 훌쩍 지난 오늘날에도 많은 음악인과 음악 애호가 들에게 ‘음악의 본질’과 ‘연주의 의미’에 대한 커다란 울림을 줄 것이다.브루노 발터 지음 │ 이기숙 옮김 │ 328쪽 │ 20,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