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4년 03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7쪽 | 573g | 153*224*20mm |
ISBN13 | 9788968171147 |
ISBN10 | 8968171149 |
발행일 | 2014년 03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7쪽 | 573g | 153*224*20mm |
ISBN13 | 9788968171147 |
ISBN10 | 8968171149 |
01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1. 다문화 배경 학생의 개념 1.2. 다문화 배경 학생 현황과 특성 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2.1.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2.2.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 및 국어교육 관련 연구 2.3.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3. 연구 주제와 방법 02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을 위한 이론적 검토 1. 다문화 사회 학교 내 언어 교육 1.1.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표 1.2. 다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 1.3. 다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 2. 다문화 시대의 문식성 교육 2.1. 문식성의 개념 확장 2.2. BICS와 CALP 2.3. 기본 문식성과 학업 문식성 2.4. 다문화 문식성 3. 다문화 배경 학생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교육 접근법 3.1. 내용 중심 접근법 3.2. 과제 기반 접근법 3.3.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관점 03 KSL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해외 및 국내 사례 분석 1. 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과 ESL 교육과정 1.1. 영어 학습자(ELL)의 개념 1.2. 자국어 교육과정과 ESL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1.3. 자국어 교육과정의 특징 1.4. ESL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2. 미국의 ESL 교육과정, WIDA 2.1. WIDA의 개발 배경 2.2. WIDA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구성 요소 2.3. 모델수행지표(MPIs)와 구성 요소 3. 일본의 JSL 교육과정 3.1. JSL 교육과정 개발 배경과 교육 현황 3.2. JSL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3.3. 토픽형과 교과지향형 3.4. JSL 교육과정의 특성과 시사점 4. 유럽공통참조기준 4.1. 유럽공통참조기준의 개발 배경과 특징 4.2. 유럽공통참조기준의 등급 체계 5. 한국어 교육과정 5.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5.2. 초,중,고등학교 한국어(KSL) 교육과정 6. 미국, 일본, 한국 교육과정의 비교 04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요구 분석 1.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분석 1.1.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2.2. 다문화 배경 학생 한국어 교육 현장 참관 2.3. 다문화 배경 학생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분석 2. 다문화 배경 학생용 한국어 교재 분석 2.1. 다문화 배경 학생용 한국어 교재 현황 2.2. 분석 대상 선정 및 분석 기준 설정 2.3. 교재 분석 결과 3. 다문화 시대 문식성 교육 관점에서의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3.1.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와 목표 3.2.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성격 4.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요구 분석 4.1. 설문 조사 방법과 표본 구성 4.2. 설문 조사 내용과 결과 분석 4.3. 서술형 응답 및 면담 결과 분석 05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1.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와 원리 1.1.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상 1.2.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원리 2.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2.1.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 2.2.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문식성의 개념 설정 2.3. 한국어 교육과정의 범주(scope) 설정 2.4. 한국어 교육과정의 위계(sequence) 설정 3.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방안 06 결론 참고문헌 참고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