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수학에서 놓쳐서는 안 될 결정적 시기
1. 수학 공부 정서 만들기(초1~초6) 처음부터 수학을 잘하는 아이는 없습니다 수학의 출발점, 초5 수학적 사고력의 기초를 심어라 중학교 입학 전, 꼭 알아야 할 3가지 2. 수학 공부 습관 만들기(중1~중3) 중학교 1학년 첫 시험을 대비하라 수학을 포기하게 되는 첫 번째 시기 선행에 액셀을 밟아라 고등학교 입학 전, 꼭 알아야 할 3가지 3. 수학 공부 몰입하기(고1~고3) 중학교 A등급이 고등학교 가면 4등급을 받는다고? 개념 학습이 수학 공부머리를 이긴다 수학을 포기하게 되는 두 번째 시기 내신과 끝까지 같이 가라 2부 1등급으로 올라서는 5단계 수학 공부법 1단계 개념 익히기 수학은 개념이다 수학 문제는 개념으로 푸는 것 뼈대 학습법은 곧 개념 학습법이다 2단계 공식 암기 수학은 암기다 수학은 증명하는 과목 개념서의 풀이와 목차는 반드시 외운다 3단계 백지 테스트 한번에 개념을 확인하는 법 기초부터 심화까지 할수록 쉬워진다 방대한 양을 체계적으로 공부한다 어떤 문제에도 응용할 수 있다 4단계 문제 풀이 한 권의 문제집을 완벽하게 끝내는 법 기출 문제는 최고의 교과서 빈틈 메워 주는 기초뿌리뽑기 학습법 5단계 오답체크 오답체크는 개념학습이다 제대로 된 오답체크가 오답을 줄인다 문제집 자체가 가장 좋은 오답 노트다 3부 부모님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수학공부 Q&A Q1. 바뀌는 수능,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Q2. 숙제만 간신히 하고 오답은 안 한다면? Q3. 이번 방학, 선행할까요? 후행할까요? Q4. 고난도 수학 문제에 도전하는 방법은? Q5. 흔히 실수하는 수학 공부습관 7가지 Q6. 문제 푸는 속도가 느린 학생 어떻게 할까요? Q7. 성적이 오르는 수학 혼공 공부법 Q8. 학원을 오래 다녀도 성적이 안 오르는 이유 Q9. 절대 가면 안 되는 학원 유형 3가지 Q10. 중학수학 공부 방법 vs 고등수학 공부 방법 Q11. 시험 기간 체크리스트 8가지 |
김현정의 다른 상품
이때 아이들은 아직 혼자서 공부하기 힘듭니다. 뇌과학에 따르면, 공부하는 태도와 능력은 뇌의 전두엽이 가장 큰 역할을 하는데 이 전두엽은 고등학교를 졸업할 무렵에 완성됩니다. 더군다나 수학은 추상적 개념으로 논리적 사고를 해야 하기에 어렵습니다. 아직 공부를 할 만큼 뇌가 성장하지 않았는데 지나치게 학습을 강요하면 아이는 점점 지쳐가 정작 공부에 몰입해야 할 때 학습을 놓아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니 부모님이나 선생님께서는 아이의 학습을 세심히 관찰하고 친절하게 이끌어주시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1부 1. 수학 정서 만들기(초1~초6)」중에서 이 점을 잘 알고서 수학 실력을 탄탄히 쌓아 온 학생이라면 중2 여름방학 이후에 선행에 속도를 내도 좋습니다. 늦어도 중2 겨울 방학 때부터는 선행에 액셀을 밟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런 학생들은 고등학교 가기 전, 중3 2학기 또는 중3 겨울 방학 때 선행을 하려고 시작하려고 하다가는 마음만 급해질 수 있습니다. 늦어도 중 2 겨울 방학 때부터는 선행을 해야 중3에 안정적으로 선행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보통의 학생이라도 중3 겨울 방학이 끝날 무렵에는 최소한 고등학교 1학기, 실력이 받쳐 준다면 2학기까지 끝내면 고등수학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1부 2.수학 공부 습관 만들기(중1~중3)」중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을 잘하는 아이, 끝까지 상위권을 유지 하며 원하는 목표를 이루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요? 수학 1등급을 받는 아이들은 공부법이 다릅니다. 상위권은 수학의 기본인 개념, 원리, 공식을 이해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쏟습니다. 하위권일수록 그 내용을 대충 훑어보거나 소홀히 여기며 바로 문제 풀이에 들어갑니다. 정확한 개념 이해 없이 문제가 풀릴까요? 시간만 더 걸릴 뿐 결국 개념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1부 3.수학 공부 몰입하기(고1~고3)」중에서 개념 학습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고 문제 이해력이 높아지면서 올바른 답을 풀어낼 수 있습니다. 수학 문제를 성급하게 풀려고 하기 전에 개념을 먼저 알고 외워야 합니다. 외우지 않으면 문제를 풀 때 그 개념들이 쉽게 떠오르지 않아 문제 풀이가 어렵습니다. 흔히들 수학은 사고력으로 푸는 학문이라고 말하지만, 기반이 있어야 사고할 수 있고 문제도 풀 수 있습니다. 개념 학습은 수학의 기초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2부 1등급으로 올라서는 5단계 공부법」중에서 수학을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의 차이점은 수학머리가 아닙니다. 고교 수준의 수학에서는, 수학머리와 수학 점수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지만 절대적인 관계는 아닙니다. 수학 잘하는 학생의 가장 큰 장점은 올바른 방법으로 공부를 한다는 것입니다. 그 중의 하나가 오답으로 개념 공부를 다시 하는 것입니다.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 바로 오답 공부입니다. ---「2부 1등급으로 올라서는 5단계 공부법」중에서 내신 1등급은 불가능할지라도 수능 1등급은 목표로 삼아볼 만 합니다. 고1 겨울학기때부터 수능 보는 날까지 거의 22개월 동안 수능과목만 공부합니다. 이때 엄청난 양의 문제풀이를 연습하게 됩니다. 22개월 동안 대수, 미적분1, 확통 이 3개 과정을 철저히 공부하는 겁니다. 바뀐 수능 과목으로 미적분2 대신 확통을 공부하게 되면서 학습 분량도 줄었습니다. 정말 해 볼 만합니다. 중요한 것은 수능 목표를 2등급으로 잡으면 안 됩니다. 목표를 2등급으로 잡으면 3등급이 나올 수도 있고 4등급도 나올 수 있습니다. 반드시 1등급을 목표로 잡아야 합니다. ---「3부 ?부모님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수학? 공부 ?Q&A」중에서 |
“누가 끝까지 상위권 실력을 유지하며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수학 1등급으로 만드는 초중고 로드맵 중학교 A등급이 고등학교 4등급으로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시간과 돈을 들이고도 수학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왜 교실에는 수포자가 넘쳐 날까? 한국의 입시 수학은 제대로 된 전략과 올바른 공부 습관, 학생의 노력이 있으면 충분히 넘어설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럼에도 많은 학생들이 돈과 노력을 들이고도 수학 때문에 공부를 포기하고 원하는 꿈에서 멀어진다. 대치동에서 30년간 수많은 학생과 학부모를 만나며 이런 상황을 지켜봐 온 저자는 독자들에게 초등수학부터 고등수학까지 12년에 걸친 로드맵을 알려주고 수학의 본질 공부법을 제안하고자 이 책을 썼다. 수학에 대한 흥미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초등 시기(수학 정서 형성 시기)에는 ‘수학이 쉽다’, ‘수학이 재미있다’라는 긍정적 경험을 심어주기를 권한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연산에서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학교(수학 습관 형성 시기)로 올라가면 고등수학까지 나아가기 위한 올바른 수학 학습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수학을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첫 번째 시기가 중2. 이때를 잘 넘길 수 있도록 중학교 입학 전 탄탄한 기초를 바탕으로 수학 선행에 속도를 낼 수 있다. 고등학교(수학 공부 몰입 시기)에 올라가면 중학교 때 수학A 등급을 받던 아이가 4등급으로 떨어진다. 중학교와는 차원이 다른 수학 공부의 난이도와 학습량 때문에 입시에 발목이 잡힌다. 철저한 개념 공부와 백지 테스트를 통해 수학의 뼈대를 다시 잡아야 할 때다. 12년에 걸친 수학 공부는 결국 고교 내신 성적과 수능 수학을 위한 과정이다. 수학에서 놓쳐서는 안 될 이 세 시기를 단계적으로 잘 거칠 때 수학 공부의 결실을 거둘 수 있다. 저자는 장기적 안목으로 앞을 내다보면서 수학 공부의 최적화 로드맵을 제시하고, 수학 공부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공부는 아이가 하는 것이지만 먼저 학습해 본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길을 제시해 줄 때, 지금보다 훨씬 많은 아이들이 수학을 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수학 공부의 여러 갈래 속에서 수학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면서 효과적인 공부법을 제안해 자녀의 수학 학습에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제대로 된 수학 공부 습관이 수학 실력자와 수학 포기자를 가른다” 개념파악부터 문제풀이까지 1등급으로 올라서는 5단계 공부법 김현정 저자는 중고등학교 때 반에서 수학 1등을 놓쳐 본 적이 없고 전교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을 만큼 수학 성적이 좋았지만 자신도 학창시절에 결코 수학 공부가 쉽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서울대 수학교육과에 합격하고 경기여고 교사를 거쳐 대치동 수학퀸으로 불릴 만큼 최고의 수학 교육 전문가가 될 수 있었던 저자만의 공부 비결은 무엇일까? 저자가 이 책에서 설명하는 수학 공부법은 학창 시절 학교 선생님들로부터 배운 방법대로 공부해서 성공한 내용과 30년간 대치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성적이 오른 경험을 정리한 것이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저자가 수학 공부에 자신감을 가지고 1등을 놓치지 않았던 공부법이 지금의 학생들에게도 적중할 만큼 본질적인 수학 공부법이라 말할 수 있다. 1단계 개념파악, 2단계 공식암기, 3단계 백지테스트, 4단계 문제해결, 5단계 오답체크로 이어지는 '5단계 공부법'으로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이 공부법을 실천해 명문대에 합격할 만큼 결과로 증명된 방법이다. 특히 이 5단계 공부법은 개념으로 시작해 개념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수학머리가 좋지 않아도 개념 중심으로 충실히 공부한 결과 끝까지 수학 상위권을 유지하면서 원하는 결과를 거둔 학생들이 많이 있다. 『수학 1등급 로드맵』을 읽으면 수학 실력자와 수학 포기자를 가르는 5단계 공부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추천의 글 김현정 선생님의 공부법을 반복, 또 반복하고 연습해 보세요. 이 책에서 제시하는 전략에 따라 공부법을 실천하면 분명 눈에 띄는 변화를 만나게 될 것입니다. 수학을 더 쉽게, 더 즐겁게, 더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길이 담겨 있습니다. _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재학생 제가 수포자의 길을 피해 갈 수 있었던 것은 김현정 선생님 덕분입니다. 부디 많은 후배들이 이 책을 읽고 수학을 통해 공부 꿈을 이룰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_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재학생 제가 수학 공부의 길을 잃고 있었을 때 김현정 원장님이 명확한 길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이 책 『수학 1등급 로드맵』에는 그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이 수학에서 길을 잃은 후배들에게 1등급으로 가는 이정표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_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졸업생 이 수학 공부 방법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수로 결과가 나타납니다. 저는 중요한 시기에 김현정 선생님을 만나 제대로 된 수학 공부 방법을 알게 된 것이 큰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_ 고려대학교 이공계열 재학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