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철학의 숲
고전의 숲 신화의 숲 |
김태완의 다른 상품
김헌의 다른 상품
Brendan O’Donoghue
브렌던 오도너휴의 다른 상품
허성심의 다른 상품
“유럽 아이들은 수학 대신 철학부터 배운다”
10대가 반드시 철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 오래전부터 유럽은 철학을 필수 교육 과목으로 지정했다. 이들은 일찍이 철학을 통해 다른 과목에서는 배울 수 없는 주체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실제로 프랑스의 중고등학교 교육 기관인 리세(lycee)는 문·이과의 구분 없이 공통으로 철학을 가르치며, 이밖에도 여러 학교가 수업 중 토론을 통해 의견을 자유롭게 나눈다. 이런 분위기가 만연한 가운데, 2013년 아일랜드의 대통령 마이클 히긴스 역시 철학 교육의 중요성을 말했다. 대통령은 철학은 불확실한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된다고 강조했다. 철학으로 깊이 사유하게 되면 비판력과 논리력이 자라고, 나아가 자아 정체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정서적 안정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 변화가 급격하게 찾아옴과 동시에 자아 형성이 이뤄지는 아주 중요한 시기다. 인생의 첫 전환기를 맞은 10대에게 철학은 고정관념의 벽을 부수고 아이 스스로 세상 밖으로 나가게 해줄 것이다. “철학이 이렇게 재밌는 거였어?” 재미와 상상력을 동시에 잡는 스토리텔링 철학 아이가 철학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길은 결국 책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책 한 권을 완독하지 못하는 청소년이 너무나 많다. 사실 이들이 책을 잘 읽지 못하는 이유는 집중력이나 끈기 부족이 아닌 ‘재미’의 문제다. 아이들에게는 재미가 없다면 의미도 없다. 더구나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가 익숙한 요즘 세대에게 재미없는 책을 끝까지 읽으라고 강요하는 것은 고통만 안겨줄 뿐이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아이들의 특성을 간파한 저자는 『철학의 숲』에 딱딱한 이론은 아예 배제했다. 따분한 건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해 짧고 흥미진진한 이야기만을 골랐다. 몸에서 뇌가 분리된 남자, 저승에서 자신이 먹은 동물로부터 심판을 받게 된 사람, 신을 저버리고 인간을 도운 프로메테우스, 갑자기 나타나 목 자르기를 제안하는 기사까지 아주 다양한 장르의 동화와 신화를 수록했다. 또한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플라톤, 칸트 같은 철학자의 사상은 오로지 핵심만 간단하게 담았다. 더불어 환상적인 북유럽풍 일러스트까지 더해져 이 책은 철학에 대한 기존의 거부감을 모조리 없애줄 것이다. “인생의 정답은 하나가 아니야” 철학은 알을 깨고 나올 용기를 준다 책 속에는 한 ‘이상한 쥐’의 세상 모험기가 수록돼 있다. 주어진 삶에 순응하며 사는 다른 쥐들과 달리 호기심이 가득한 이상한 쥐는 매일 두 발로 서서 돌아다니기 바쁘다. 어느 날 의문의 소리를 듣게 된 쥐는 결국 살던 마을을 뛰쳐나오고, 소리의 근원을 찾아 산을 넘고 강을 건너는 모험을 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다른 쥐들은 알지 못하는 세계를 겪고 ‘깨어나게’ 된다. 늘 궁금증이 많던 이상한 쥐는 다른 세상이 궁금했고, 생각을 과감히 행동으로 옮겼기 때문에 남들은 보지 못하는 것을 보게 된 것이다. 이 이상한 쥐는 보통의 쥐들과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용기의 힘을 보여준다. 호기심을 놓지 않았고, 모험을 위해 안정적인 삶을 과감히 포기한 것이다. 이 모습은 오늘날 우리 청소년과는 정반대다. 요즘의 10대는 남들처럼 답을 ‘찍는’ 공부의 기술만 지나치게 강요받는다. 하지만 하나의 정답만 좇다가는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된다. 철학자 폴 발레리는 “사람은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라고 했다. 사는 대로 생각하는 삶은 수동적이고, 삶에 끌려다니는 것이다. 반대로 자신만의 생각을 갖고 살게 되면 이야기 속의 쥐처럼 주체적으로 삶을 그려나가게 된다. 소중한 내 아이가 누군가에게 휘둘리지 않고, 자신만의 진로를 찾고, 선택의 기로에서 올바른 판단을 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면 이제 철학 속 이야기 숲으로 떠나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