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기서 하나님을 자기 어깨 위에 세계를 짊어지고 있는 아틀라스 같은 인물로 간주하려는 어떤 정적인 모델도 분명히 멀리하고자 한다. 창조주이신 하나님에 관한 어떤 개념도 하나님이 계속 창조 행위를 수행하시며, 계속해서 새로운 대상을 존재하게 하신다는 점을 이제는 주장해야 한다. 즉 하나님은 항상 창조하시는 창조주(semper Creator)시고, 세계는 계속 창조되고 있다(creatio continua). 일반적인 질서와 구조 안에서 세계를 유지하시는 하나님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은 이제 역동적이고 창조적 차원을 지닌 하나님 개념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이런 하나님 모델은, 하나님에 의해 진화 과정 가운데 세워지고 하나님에 의해 존재하게 된 “시간” 자체 안에 드러난 내재적 창조성을 지닌 진화 과정에 계속 존재성을 부여한다. 프레더릭 템플(Frederick Temple)이 1885년 뱀턴 강연(Bampton Lectures)에서 말했듯이, “말하자면 하나님은 그것들을 만드시지 않았다. 오히려 그분은 그것들이 스스로 자신을 만들도록 하셨다.” ---「2장, 새로운 삶의 비용」중에서
그러나 영혼은 어떤가? 신앙을 가진 많은 이들이 영혼이라 불리는 존재를 포함하는 우리 인간의 본성을 가정하면서, 영혼은 우리의 몸과 상호 작용하지만, 우리가 죽음을 맞이할 때 우리를 떠난다고 지금도 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몸/영혼 이원론은?플라톤(Plato),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 그리고 데카르트(Descartes)의 유산으로서?과학적 근거로는 제거할 수 없다. 다른 노벨상 수상자인 존 에클스 경(Sir John Eccles)은 마음과 영혼이 실은 육체인 몸과 상호 작용하는 비물질적 존재라고 믿었다. 뉴에이지 종교를 지지하는 많은 이들과 초심리학(parapsychology)에 몰두하는 몇몇 이들 역시 비슷한 견해를 지지한다. 그러나 모든 기독교 신경 과학자가?그들의 과학이나 또는 신앙에 이끌려?인간은 몸과 영혼이라는 두 개의 분리된 존재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와 같은 신경 과학자들은, 우리가 신체적?정신적 측면에서 “통일된 인간”(unified human beings, 이 용어는 영혼이란 성서 단어에 대한 현대 번역 중 하나다)임을 믿는다. ---「4장, 인격의 본성과 비움 행위의 창발」중에서
그러나 나는 믿는다. 우리는 하나님이 일반적인 창조 세계뿐 아니라 특별히 개별 피조물을 참으로 사랑하시고 돌보신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함을 안다. 아울러 우리는, 아무리 우리의 인식이 때때로 희미하고 혼란스러울지라도, 하나님이 창조된 세계 안에서 활동하심을 안다. 우리는 우리 인간을 위해 과학을 탐구하는 정신과 능력을 부여받았으며, 따라서 우리가 우주의 물리적 과정에 관해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사실도 안다. 이 모든 것은 우리가 감사해야 할 특권이며 우리가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통찰들을 제시해준다. 때때로 이것은 처음에는 낯선 결론처럼 보이는 것으로 우리를 이끌지도 모른다. 하나님의 섭리가 여러 원인 가운데 한 가지 원인처럼 행동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그 낯선 결론 중 하나다. 비움의 신학은 불가피하게 역설의 신학이다. 왜냐하면 비움의 신학은 하나님의 겸비하심이라는 개념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5장, 비움을 통한 창조와 하나님의 행동」중에서
우리가 물질과 생명이 속한 열린 체계들의 역사에서 하나님의 활동을 인식해야 하는 것은, 미래와 새로운 가능태들의 흐름이라는 선물 안에 서다. 우리가 인식하는 존재하는 세계는 이런 열린 체계들로부터 나왔다. 이것은 특히 모든 열린 체계가 자신을 넘어서 자신이 될 수 있는 것이 속하는 영역을 가리킨다. 이 열린 체계들은 미래의 참된 상징으로서 신학적으로 해석되는데, 그것들은 하나님 안에 있고 하나님은 그들 안에 계신다. 이때 열린 체계들은 하나님의 내주하시는 가능태의 충만함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그것에 방해받지 않고 참여할 것이며, 하나님이 그들을 예정한 바 될 것이다. 세계를 창조하고 보존하시는 가운데 나타나는 하나님의 비우심은,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 새 창조, 또는 “종말 없는 세계”라는 상징을 통해 서술하는 미래다. ---「8장, 세계의 창조와 완성 안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비움」중에서
한층 더 관계 지향적이거나 참여적인 하나님 관점에서 볼 때, 피조물의 경험이 어떤지를 정서적으로 알지 못하는 것은 불완전한 모습일 것이다. 만약 고난 받는 피조물들과 공존하는 어떤 존재가 그 피조물들이 경험하는 것들을 정서적으로 아는 데 실패한다면, 그 존재는 덜 완전한 존재일 수 있다. 만약 누군가가 그것을 진지하게 고려한다면, 하나님 편에서는 단지 성육신뿐 아니라 의식과 이성을 가진 존재를 창조했다는 사실 자체가 비움의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신으로서 마땅히 소유할 순전한 지복을 포기하는 것이며, 고통과 고난을 많이 경험하겠다고 받아들이는 행동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완전한 통제를 포기하며, 아무리 잘못된 방향으로 갈지라도 피조물이 스스로 결정할 자유를 용인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완전한 지식을 포기하며, 미래에 관한 많은 지식이 피조물의 행동에 따라 결정되기 전까지는 알 수 없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들은 실제 한계들이다. 그리고 이것은 자유로운 창조 세계가 독립적으로,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창조성을 띠고 존재하게 하기 위해 어떤 위대한 선을 포기하는 일종의 비움으로 생각될 수 있다.
---「9장 우주와 비움」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