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리뷰 총점9.0 리뷰 4건 | 판매지수 258
베스트
종교 top100 1주
정가
16,000
판매가
14,400 (10% 할인)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6년 06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304쪽 | 438g | 152*215*30mm
ISBN13 9788931010015
ISBN10 893101001X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저자 서문
옮긴이 서문

제1장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1. 사회적 기반
인종을 초월한 사람들 / 국가와 도시 / 계급의 붕괴
2. 다양한 사상가들
도덕부정론 - 뿌라나 / 일곱 가지 요소설 - 빠꾸다 / 숙명론 - 고살라와 아지위까교 / 유물론 - 아지따 / 회의론 - 산자야 / 원시 자이나교

제2장 부처님은 어떤 분이셨을까
태어남 / 젊은 시절 / 구도의 길 / 전도의 길 / 입멸의 순간 / 경전 말씀

제3장 불교의 본질을 말하다
여러 학설의 대립 / 부처님의 비판 / 논쟁 초월 / 합리적 사유 / 진리를 말하다 / 초월적.유화적 성격 / 마음의 평안을 목표로 삼다 / 법을 보는 자 / 모든 종교를 초월하다 / 교설의 실천적 성격

제4장 괴로움과 무상
불타는 세상 / 괴로움의 본질 / 인간을 움직이는 욕망 / 여러 가지 번뇌 / 죽음의 위기 / 무상이란 무엇인가 / 무상의 이론적 반성

제5장 자아 탐구
아와 무아에 대하여 / ‘내 것’이라고 보지 말라 / ‘내 것’이라는 관념 / 을 버려야 하는 이유 / 나는 잡을 수 없다 / 자기를 아는 사람 /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 / 윤리적 주체인 자아 / 두 가지 자기 모습 / 자아의 완성 / 법을 즐기다 / 영원한 이치 / 비아설이란 무엇인가

제6장 헷갈리는 것과 이상적인 것
윤회도 해탈도 자신이 만든다 / 불교는 인간 완성이 목표다 / 맑고 찬 호수 같은 고요함 / 인간을 초월한 즐거움 / 생사 초월 / 니르와나란 어떤 것인가 / 니르와나에 관한 설명 / 현실 속에 산다는 것 / 해탈한 사람의 사후

제7장 자비
자와 비는 어떻게 다른가? / 자비는 순수한 사랑이다 / 자비를 실천하다 / 남을 측은하게 여기는 이유 / 모든 생명 있는 것은 나의 자식이다

제8장 불안과 고독
현세적인 것에 대한 절망 / 밤낮이 지나가듯 생명도 사라진다 / 인간은 누구나 고독하다 / 자연을 즐기며 사는 사람들 / 불현듯 찾아오는 깨달음의 순간 / 고독한 사람들이 더불어 사는 길

제9장 초기의 교단
가르침을 듣는 사람들 / 출가 수행자가 된다는 것 / 부처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모임 / 계급적.신분적 차별을 떠난 사람들 / 부처님을 따르는 사람들 / 마음을 제어하여 성실하게 수행하라 / 쾌락의 맛은 짧고 고통은 길다 / 깨어 있는 마음으로 늘 조심해야 하는 계율 / 현명한 사람은 걸식해야 한다

제10장 생활윤리의 기초
불교에서 말하는 윤리란 무엇인가 / 어느 시대나 구현되어야 할 법이 있다 / 도덕적 품성이 갖춰졌는가

제11장 남녀 사이의 윤리
사랑한다면 도리를 지켜라 / 아내는 최상의 벗이다 / 남편은 아내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 / 아내는 남편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 / 결혼생활이란 무엇일까 / 여인으로 산다는 것

제12장 가정의 윤리
가족에 대한 생각 / 가정생활과 종교의 역할 / 부모·자식 사이의 윤리 / 자식이 지켜야 할 덕목 / 부모가 지녀야 할 의무 / 사회인으로서 부모의 도리

제13장 사회생활의 윤리
개인이 지켜야 할 도덕 / 오계란 무엇인가 / 사회인의 마음가짐 / 고용관계를 설명하다 / 사제 간의 윤리 / 친구 사이를 말하다

제14장 경제에 관한 윤리
불교의 경제윤리 / 중도에 의한 균형 있는 경제생활 / 베푸는 것에도 도덕이 있다 / 생산문제와 분배문제

맺음말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불교는 붓다(Buddha)가 창시한 가르침입니다. 붓다는 한자로 ‘佛’ 또는 ‘佛陀’라고 쓰는데 원음을 따라 쓴 것입니다. ‘붓다’라는 것은 ‘깨달은 사람’, ‘깨어 있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우리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미혹 속에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지만, 탁 하고 어느 순간 깨달았다고 해서 이렇게 불립니다.
부처님의 성은 고따마(Gotama), 이름은 싯닷따(Siddhatta, 悉達, 悉陀)라고 합니다. 고따마란 ‘가장 좋은 소’라는 의미로 인도에서는 고귀한 성으로 인식합니다. 싯닷따는 빨리어로 ‘목적을 달성한 사람’이라는 뜻이며, 가계는 예로부터 ‘태양의 후예’라고 일컬어졌습니다. --- p.45

왕비가 물었습니다.
“대왕이시여, 당신께서도 자기보다 더 사랑스러운 것이 있습니까?”
“말리까여, 나도 나보다 더 사랑스러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 《 쌍윳따니까야 》 Ⅲ, 1, 8 vol.Ⅰ, p. 75).
빠세나디 왕은 홀로 궁전에서 내려와 부처님에게 가서 이 이야기를 털어놓았습니다. 그때 부처님은 이것을 알고 다음과 같은 게송을 설했습니다.
“생각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향한다 해도 자기보다 더 사랑스런 것은 없다. 그와 같이 다른 사람도 자신이 가장 사랑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은 남도 해치지 말아야 한다.” --- p.114~115

우리 존재의 깊은 곳에 숨어 있는 맹목적 근본충동인 망집은 실로 끊어내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것을 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 의문에 부처님은 ‘망집을 없앤 모습’을 가르쳤습니다. “이 세상에서 보거나 듣거나 생각하거나 식별한 모든 좋은 것에 대한 욕망이나 탐욕을 제거하는 것이 불멸의 니르와나의 경지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조심하여 현세에서 완전히 번뇌를 제거한 사람들은 항상 평안에 들어간다. 세상의 집착을 초월한 것이다” ( 《 쌍윳따니까야 》, 1086 ; 1087). 따라서 “아름다운 모습에 애착을 일으키지 말라” ( 《 쌍윳따니까야 》, 943)고 말했습니다. --- p.146

음주를 금했다는 것은 초기 불교가 가진 세속적인 도덕 가운데 큰 특징입니다.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인도 및 남아시아에 남아 있습니다. 인도의 바라문은 술을 마시지 않고, 인도 정부의 공적인 모임에서는 술을 내놓지 않습니다(하지만 오늘날에는 개인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들 이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인도에서는 왜 술 마시는 것을 싫어하는 걸까요? 인도 사람들은 가난하기 때문에 좀처럼 술을 살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야자나무에 올라가서 열매를 따 내려와 칼로 상처를 내어 놔두면 하루 만에 발효되는 그것을 마십니다. 다만 정제되지 않아 건강에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또 더운 나라에서는 함부로 술을 마시면 몸을 망가뜨리기 쉽습니다. 그래서 음주를 금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북방으로 가면 금주에 관한 계율이 느슨해집니다. 네팔의 칼리 여신 등을 모시는 힌두교 사원에는 경내에 주점도 있습니다. 이런 것으로 보아 초기 불교에서 술을 금했던 것은 아마도 풍토적·사회적인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 p.266~267

그렇다면 불교는 왜 생산에 관한 윤리를 설하지 않고, 오직 분배의 도덕만을 강조한 것일까요? 그것은 결국 인도 고유의 경제 풍토 때문으로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도는 풍토의 특성상, 의식주에 관해서는 그렇게 신경을 쓰지 않고도 살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인도인은 더운 기후 탓에 의류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았습니다. 주거에 관해서도 대부분의 사람이 작은 집에 사는 것을 불평하지 않았습니다. 식량 생산을 위해서도 그다지 인위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았습니다. 벼를 1년에 두 번 수확한다는 것이 그리스인 메가스테네스에게는 경이로운 일이었으니까요. 그 대신 가뭄이라도 생기면 어이없이 굶어 죽는 사람들이 속출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운명이라 여기며 체념했
습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생산하는’ 도덕보다 ‘나누는’ 도덕이 강조되는 것이 더 마땅한 일이겠지요.
--- p.298~299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20세기 대표 불교사상가가 풀어낸 초기 불교의 모습을 담다

저자인 나카무라 선생은 저명한 인도 철학자로서 인도 철학과 불교사상은 물론, 서양철학에도 폭넓은 지식을 지닌 20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불교학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그의 책을 접해보았을 것이고, 그의 눈을 통해 불교의 기초 지식을 튼튼히 했을 것이다. 나카무라 선생의 방대한 문헌학과 현대 서양철학적 분석법으로 불교 최초기 시대의 사상과 생활을 해박하게 풀어내는 이 책은 20세기를 대표하는 불교 고전이다. 이 책은 NHK 방송에서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서 묶은 것으로 전문 서적이라기보다는 누구나 불교를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쓴 개론서에 가깝다.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는 빨리어 경전과 당시 사회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부처님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초기 불교의 본질을 풀어나간다. ‘제1장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에서는 불교 탄생 무렵의 사회상과 도덕부정론, 일곱 가지 요소설, 숙명론, 유물론, 회의론, 원시 자이나교 등 불교 성립 당시 활동하던 다양한 사상과 사상가들을 소개한다. ‘제2장 부처님은 어떤 분이셨을까’에서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부처님의 생애와 가르침을, ‘제3장 불교의 본질을 말하다’에서는 부처님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과 자료를 바탕으로 합리적?실천적인 불교의 모습과 궁극적 목표 등을 말하며 불교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제4장 괴로움과 무상’에서는 괴로움의 원인을 짚어보고, 무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음을 초기 불교의 사상을 바탕으로 해석하며, ‘제5장 자아 탐구’에서는 아(我)와 무아(無我)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해탈에 이를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제6장 헷갈리는 것과 이상적인 것’에서는 니르와나(열반)와 해탈한 사람의 사후 등 현대에 제기되는 의문들을 초기 불교로 거슬러 올라가 풀어낸다. ‘제7장 자비’에서는 ‘자’와 ‘비’의 의미와 실천 등을, ‘제8장 불안과 고독’에서는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것 중에 하나인 불안과 고독을 부처님의 말씀으로 해법을 모색한다. ‘제9장 초기의 교단’에서는 초기 불교의 교단 모습을 당시의 사회적?역사적 풍토로 풀이해 현대의 불교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써내려간다. ‘제10장 생활윤리의 기초’는 불교가 강조하는 윤리의 모습을, ‘제11장 남녀 사이의 윤리’에서는 사랑과 결혼의 문제를, 그리고 ‘제12장 가정의 윤리’에서는 가족의 의미와 부모 자식 간의 윤리를 강조한다. ‘제13장 사회생활의 윤리’에서는 초기 불교 당시의 지리적?사회적인 의미가 담긴 오계에 대한 해석과 사회인, 사제 간, 친구 간의 관계를 불교적인 시각으로 이야기한다. ‘제14장 경제에 관한 윤리’에서는 소득에 관한 초기 불교의 시선과 이에 대한 분배의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이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불교 탄생 시기의 사회적인 모습을 통해 불교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부처님은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 실제로 어떤 사상을 갖고 계셨는지, 또 현재 불교에 대해 궁금한 교리나 사상 등은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해볼 때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그 윤곽이 그림처럼 펼쳐질 것이다.

혼탁한 세상을 밝힐 불교의 윤리성과 자비로운 목소리

또 한 가지 이 책의 특성은 생활윤리, 남녀 사이의 윤리, 가정의 윤리, 사회생활의 윤리를 개별 장으로 담는 등 윤리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불교는 믿음을 강조하기 이전에 지계(持戒)를 통해 이미 윤리적인 생활을 하라고 가르쳤으며, 최초기 불교에서부터 부파불교를 거쳐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환경에 맞는 윤리를 전달해왔다. 때문에 세계가 위험할 정도로 양극화되고, 부와 권력의 위태로운 불균형 상태가 심각한 지금, 이 책의 옮긴이 원영 스님은 이런 혼탁한 세상을 바로 잡을 등불로 불교의 윤리성과 자비로운 목소리를 꼽는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초기 불교가 전하는 윤리적 가르침을 배우는 일이야말로 우리에게 큰 힘이 되고, 우리 삶의 중심에 윤리와 자비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 이야기한다. 이 책이 더 많은 이에게 읽혀서 불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따뜻한 자비의 꽃이 가슴 가득 피어나길 기원한다.

회원리뷰 (4건) 리뷰 총점9.0

혜택 및 유의사항?
포토리뷰 불교를 배우고 싶은 이를 위해 스님이 서재에서 꺼낸 책,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스타블로거 : | 2016.06.17 | 추천6 | 댓글0 리뷰제목
  ■ 출간 이야기누군가에게 선물을 건네며 하는 말엔 선물을 주는 사람이 살아가고자 하는 삶의 태도가 녹아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선물을 추억으로 간직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요.​BBS 불교방송에서 '좋은 아침 원영입니다'를 진행하시며, 많은 사람의 멘토로서 활동하고 계시는 원영 스님은 젊은 시절 불교를 공부하며 읽은 한 권의 책을 서재에서 꺼내 출;
리뷰제목

 

 

■ 출간 이야기


누군가에게 선물을 건네며 하는 말엔 선물을 주는 사람이 살아가고자 하는 삶의 태도가 녹아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선물을 추억으로 간직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요.

BBS 불교방송에서 '좋은 아침 원영입니다'를 진행하시며, 많은 사람의 멘토로서 활동하고 계시는 원영 스님은 젊은 시절 불교를 공부하며 읽은 한 권의 책을 서재에서 꺼내 출판사에 소개하여 주셨습니다.


좁게는 불교를 배우고자 하는 이에게 올바른 지식을 주기 위해서이고, 넓게는 불교가 말하는 윤리를 이 시대의 불자들에게 전하고 싶어서입니다.


원영 스님이 추천하신 《최초의 불
교는 어떠했을까》는 최고의 불교연구자인 도교대 나카무라 하지메 교수가 1970년에 펴낸 책으로, 50년 가까이 읽히고 있는 불교 이해의 고전입니다. 일반인을 위한 불교입문서로 저술된 이 책은 불교의 역사와 붓다의 가르침을 설명하기도 하지만 불교의 윤리, 즉 삶의 태도에 관한 성찰이 돋보이는 책이기도 합니다.


삶을 살아가는 태도가 아름다운 사람은 오래 기억되기 마련인 것처럼, 읽혀지는 이유가 아름다운 책도 오래 기억되기 마련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불교 입문서를 찾고 계신 분이라면, 원영 스님이 불교를 배우고자 하는 분을 위해 서재에서 꺼낸 한 권의 책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6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6 댓글 0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y*****9 | 2016.07.17 | 추천2 | 댓글0 리뷰제목
불교와 아주 멀리 떨어진 사람들은 불교를 기복신앙이나 우상숭배 정도로 치부한다. 불교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거나 우호적인 사람들은 불교를 어렵다고 생각한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나는 전자에 속해있었고, 그 후  후자편에 서있었다.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이 책을 만나기 전까지는. 아무런 사전 지식없이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어떤 느낌이 왔다.  봄날 여린;
리뷰제목

불교와 아주 멀리 떨어진 사람들은 불교를 기복신앙이나 우상숭배 정도로 치부한다.

불교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거나 우호적인 사람들은 불교를 어렵다고 생각한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나는 전자에 속해있었고,

그 후  후자편에 서있었다.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이 책을 만나기 전까지는.

아무런 사전 지식없이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어떤 느낌이 왔다.

 봄날 여린 잎을 흔들고 가는 부드러운 바람처럼,

여름날 시원하게 내리는 소나기처럼,

누군가 곁에서 조곤조곤 명쾌하게 이야기해주고 있다는 느낌.

아하 그랬구나!

원작자 나카무라 하지메가 방송에서 한 강의를 책으로 낸 것을

 BBS불교방송 '좋은아침 원영입니다'를  진행하는 스님이 번역하셨구나!!!!!

일본 방송 강의를 당연히 들어본 바가 없고 원영스님 방송도 아직 들어보지 않았지만

책을 읽는다는 생각보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다는 느낌이 난 이유가 .

그래서 그 이야기를 쉬엄쉬엄 들었다. 마음에 새기면서.....

 

최초의 불교는 석가모니부처님 시대의 불교에 관해 주로 이야기한다.

2500년 전 말과 생각이 오늘 날 그대로 대입해도 하나도 어색하지 않다.

"설령 화폐로 비를 뿌린다 해도 욕망이 만족하는 일은 없다."(담마빠다,186)

그렇다고 두손 놓고 있으라는 말은 아니다.

"계를 지키는 현명한 사람은 산마루에서 타오르는 불처럼 빛난다. 벌이 꿀을 모드듯이 일한다면 그의 재산은 절로 모일 것이다.  ...,"

 

"동료와 같이 있으면

쉬는 데도, 서는 데도, 가는 데도, 유행하는 데도,

항상 그에게 불려 다닌다.

남이 바라지 않는 홀로 사는 자유를 위해서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쌍윳따니까야,40f)

"좋은 벗들과 사귀어라."(쌍윳따니까야,388)

이 두가지 가르침은 모순처럼 보이지만,고독을 자각한 사람사이에서의 협동과 공감은 필요하다.

 

 

혹자는 불교를 철학이라고, 심리학이라고, 논리학이라고 한다.

이 책을 읽은 왕초보 나는 '불교는 청정한 삶의 지침'이라고 어줍잖게 생각해본다.

그래서 감히 권해본다.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이 책을 읽고 청정한 삶을 누리시기를.....

 

 

 

 

 

 

 

2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2 댓글 0
구매 초기 불교의 사회 경제학적 이해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YES마니아 : 로얄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g********m | 2018.07.09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초기불교(부처님이 살아 계셨을 때 불교)에 대해 이야기한다. 불교 사상과 생활 계율 같은 것들이 왜 그렇게 만들어졌는 지 사회적 경제적으로 풀고 있다.  이미 출판되었는데 절판 됐다가 다시 나온 책이라고 한다. 이해하기 쉽게 잘 풀고 있다. 사회 경제적 배경을 통해 설명하니까, 불교에 대한 환상이 걷힌다. 그렇다고, 불교를 얕잡아 보게 된다는 얘기는 아니다.  불교에;
리뷰제목

초기불교(부처님이 살아 계셨을 때 불교)에 대해 이야기한다. 불교 사상과 생활 계율 같은 것들이 왜 그렇게 만들어졌는 지 사회적 경제적으로 풀고 있다.

 

이미 출판되었는데 절판 됐다가 다시 나온 책이라고 한다. 이해하기 쉽게 잘 풀고 있다. 사회 경제적 배경을 통해 설명하니까, 불교에 대한 환상이 걷힌다. 그렇다고, 불교를 얕잡아 보게 된다는 얘기는 아니다.

 

불교에서 얘기하는 사상이나 계율 같은 것들이 당시 사회에서 충분히 받아들여 질 수 있는 상식 선에서 형성되었다고 말한다. 즉, 계율이라는 것이 종교적 신비주의의 일부가 아니라, 우리 삶의 윤리의 일부이다.  

 

또, 왜 '무아'를 얘기하고, 당시 사회적 배경하에서 '무아'의 의미는 무엇이고, 오계는 무엇이고, 당시 사회적 상황에서 오계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왜 하필 그런 계율이 만들어졌는 지 등을 말한다.

 

이외에도 경제 활동 문제, 가족, 여성 등등 흥미로운 것들이 많았다. 또 놀라운 것은 기원 전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21세기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는 이야기가 많았다. 불교가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자리잡기 위해 어떻게 타협을 해야 했고, 주술이나 점과 같은 것들에 대해서는 왜 그렇게 비타협적인지도 알게 됐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댓글 0

한줄평 (2건) 한줄평 총점 9.0

혜택 및 유의사항 ?
평점5점
내용이 어렵지않고 재밌게볼수있는책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김*장 | 2016.07.13
평점4점
부처님께서 가르침을 펼치시던 바로 그 시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책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c****l | 2016.09.12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4,4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