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A+ 글쓰기

A+ 글쓰기

: 논술, 작문, 보고서 작성의 고수로 가는 길

심훈 | 파워북 | 2008년 10월 10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리뷰 총점9.9 리뷰 11건 | 판매지수 270
정가
15,000
판매가
13,500 (10% 할인)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8년 10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280쪽 | 512g | 188*254*20mm
ISBN13 9788981601058
ISBN10 8981601054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여는 글 i

제1부: ‘글은 요리다’

11. ‘글은 요리다’
12. ‘아이언 셰프’와 「미스터 초밥왕」
13. “‘셜록홈즈’의 이름으로”
14. ‘TV는 가정교사’


제2부: 문장론

11. ‘띄어쓰기 I: 보조사 이야기
12. ‘띄어쓰기 II: 보조동사 이야기
13. ‘엉터리 문장 죽이기’
14. “녹차는 마시고, 잠은 푹 자자”
15. “필요 없는 ‘본야스키’의 경호
16. ‘유유상종의 법칙’
17. ‘한자 이야기’
18. ‘열거 3·3의 법칙’과 대구-대조의 미
19. “주인 없는 동사에는 주어를 챙겨주세요”
10. ‘마술사의 ‘요술봉,’ 작은따옴표

제3부: 문단론

11. “글맛을 오래가게 하는 힘, 접속부사”
12. ‘용서받지 못한 자’
13. “하나의 주제로 일관성을 살려라”
14. “사무라이의 이름으로”
15. “늘어지는 서두(序頭)는 구조조정 ‘1순위’
16. “들머리가 전부다” - Ⅰ
17. “들머리가 전부다” - ⅠⅠ
18. “들머리가 전부다” - ⅠⅠⅠ
19. ‘글의 화룡점정(畵龍點睛), ‘결말’
10. “정민을 읽으면 ‘결말’이 보인다”


제4부: 독서 이야기

11. “여하튼 그들은 읽었다”
12. ‘e-book vs. 종이책
13. ‘독서의 으뜸은 감수성 키워주는 ‘문학’
14. ‘풍부한 선례(先例)는 ‘역사’에서
‘깊은 사유 능력은 ‘철학’에서
15. ‘가을에 온 편지’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 심훈
언론사에서 자칭 ‘4천만’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를 업으로 삼은 사람이다. 공부에 뜻을 두고 도미(渡美)했다. 이후, 소수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학술용 논문에 매달리게 되면서 극(極)과 극(極)을 오가는 글쓰기를 경험했다. 대학에 돌아와 학생들의 글쓰기 교육을 담당하게 되면서, 언론사의 쉬운 글에 학자들의 조리 있는 글을 접목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나와 세계일보에서 근무하다 텍사스 주립대학교에서 언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에 재직 중이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모든 글쓰기는 독학(獨學)이다."

‘알파벳 시리즈’로 유명한 미국의 추리소설가, 수 그래프턴(Sue Grafton)은 오랜 시간에 걸쳐 충분히 글을 쓰는 것만으로도 글쓰기에 필요한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책이나 강의를 통해서 글쓰기를 '이해하기'보다 습작(習作)을 통해 글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글쓰기의 소재 선택에서부터 서두는 물론, 결론에 이르기까지 글을 시작하고 완성하는 것은 누가 도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자의 각고의 노력 끝에 탄생한 전작『한국인의 글쓰기』에 이어 고집스럽게 후속작 『A+ 글쓰기』를 1년 만에 출간한 저자의 의도는 무엇일까? 그것은 비록 수 그래프턴의 말이 전적으로 옳다고 하더라도, 필자의 오랜 경험상, 글쓰기 훈련을 할 때 흘리는 같은 양의 땀방울도 방법에 따라 그 결과는 천양지차(天壤之差)인데, 이 책이 글쓰기 훈련에 훌륭한 도우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총 4부로 이뤄져 있다. 먼저 '글은 요리다'라는 1부에서는 요리에 대한 비유를 통해 글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또 '왜' 중요한지, 그리고 중요한 '무엇'을 챙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함께, 2부와 3부에서는 톡톡 튀는 글쓰기를 위한 여러 글쓰기 요령들을 문장과 문단 별로 모아놓고 있다. 더불어, 해당 주제를 완전히 습득할 수 있도록 단문-중문-장문 등 3단계에 걸친 독자들이 직접 해볼 수 있는 ‘연습문제’를 차례로 제공한다.
제4부에서는 '다독'(多讀)이라는 주제를 통해 독서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수필 형식으로 소개한다. 이는 남의 글을 읽지 않으면 좋은 글을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굳이 스포츠를 통해 비유하자면, 세계적인 팀들의 수준 높은 경기를 접해보지 않는 이상, 자신과 팀의 기량 향상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혼자만의 개인기 습득은 일정 수준에 머무르게 마련이며, 고만고만한 동료들과의 팀플레이 역시 어느 이상의 성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과 매한가지다. 반면, 국내외 프로팀 또는 일류 클럽들의 수준 높은 게임을 접하면서 얻게 되는 생생한 노하우들은 자신과 팀이 거듭날 수 있는 또 하나의 견인차 역할을 하게 마련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글을 쓰고자 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을 소개하고 자신의 글쓰기 약점을 돌아보게 유도하는 독서는 풍성한 과실을 생산하기 위한 밑거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A+ 글쓰기』는 작가의 기획력과 구성력이 단연 돋보이는 '명작(名作) 중의 명작(名作)'이다. 무엇보다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주제별 칼럼들은 그 자체로 하나하나가 글쓰기의 모범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마치, '글이란 이렇게 써야 한다'라는 작가의 강변이 소리 없이 전달되는 것처럼.
읽다 보면 절로 감탄이 나올 수밖에 없는 각양각색의 연습문제들 역시 작가가 학생들의 보고서와 더불어 신문과 잡지, 포스터와 광고 문고 등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 둘씩 어렵사리 건져 모은 인고(忍苦)의 결정체들이다. 특히, 필자가 무한한 애정을 표시하고 있는 장문(長文)의 연습문제들은 칼럼 주제에 맞게 작가가 직접 제작했기에 '칼럼 속의 칼럼'으로 더욱 신선하게 와 닿는다.
서두에서부터 본문, 결말에 이르기까지 한시라도 긴장감을 잃지 않은 채, 독자들의 시선을 붙들어 매는 작가의 흡입력으로 인해, 특히 좋은 글쓰기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나도 명품 글을 쓸 수 있다'는 발칙한(?) 상상을 독자들에게 의도적으로 선사한다.

회원리뷰 (11건) 리뷰 총점9.9

혜택 및 유의사항?
A+ 글쓰기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콘*코 | 2008.11.04 | 추천1 | 댓글0 리뷰제목
최근 역사서를 주로 보다가 다소 딱딱한 마치 국어공부를 하는 생각이 들법한 책 '글쓰기' 책을 읽었다. 그러나 내 예상과는 달리 아주 만족스럽고 한 권쯤 소장하면 좋겠다 싶다. 평소 말이 빠르지 않아서인지 소위 말발이 없고 일상에서 서평이나 여러 글을 씀에 있어서도 문맥이나 띄어쓰기가 신경이 쓰이곤 했으나 이 책을 접하면서 안도감이라 해도 좋을 편안함이 들었다.  ;
리뷰제목

최근 역사서를 주로 보다가 다소 딱딱한 마치 국어공부를 하는 생각이 들법한 책 '글쓰기' 책을 읽었다. 그러나 내 예상과는 달리 아주 만족스럽고 한 권쯤 소장하면 좋겠다 싶다.

평소 말이 빠르지 않아서인지 소위 말발이 없고 일상에서 서평이나 여러 글을 씀에 있어서도 문맥이나 띄어쓰기가 신경이 쓰이곤 했으나 이 책을 접하면서 안도감이라 해도 좋을 편안함이 들었다.

 

책의 구성을 보면 총 4부로 이뤄져 있는데 글을 씀에 있어서의 핵심이 무엇인지 그 핵심을 글을 쓰는 것에 어떻게 융화시켜 문맥적으로 잘 맞게 하는지 등 글쓰기의 엑기스들을 모아놓았다. 그리고 단순히 그러한 글쓰기의 강의에 그치지 않고 독자가 실제 글쓰기를 연습해보고 잘못된 것들을 고쳐가며 공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글을 쓴다는 것이 특정인 또는 특정한 일로 치부될 수 있지만 리포트 쓰는 일이 잦은 대학생들 뿐 아니라 보고서 등을 제출해야 하는 직장인들도 읽어 두면 유용한 책이 될 것 같다. 실로 글을 쓴다는 것이 현실과 먼 얘기이고 거시적인 느낌이 들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일상에서 크고 작은 글쓰기를 해야 하는 일이 잦음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책의 제목이 글쓰기인지라 나와 상관 없고 그다지 필요치 않은 책으로 여겼고 읽기에 딱딱하고 공부를 위한 책인 것 같아 망설여 졌지만 다 읽고 난 후 정말 다시 한번 주위에 추천하고 싶고 필요한 책임을 느꼈다. 특히 책의 4부에서 다독이란 주제로 여러 얘기들을 수필형식으로 소개를 하고 있는데 남의 글을 읽지 않으면 좋은 글을 만들어 낼 수 없는 것이 동서고금(東西古今)의 진리다라며 작가는 다시 한번 다독의 중요성을 예시를 들어 강조한다. 나 역시 많은 글을 읽고 지식과 교양을 쌓고 동시에 이 책에서 배운 대로 글을 쓰는 것 역시 유창하지는 못할지언정 바르게 알맞게 쓰기를 고대한다.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1 댓글 0
글쓰기 실력을 높이자.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j*******s | 2008.11.25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살아가면서 보고, 듣고, 말하는것, 그리고 이 세가지를 글로 표현 한다는것은 또다른 표현 방식이다. 하지만 직접 글로 쓰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스트레스가 쌓이게 마련이다. 이 표현이 맞을까? 띄어쓰기는 잘하고 있는지, 글씨는 틀리지 않았는지 등등... 글을 쓰는내내 떠나가지 않는 의문들이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쓴다는 말을 들을수 있을까? 누구나 한번은 생;
리뷰제목
살아가면서 보고, 듣고, 말하는것, 그리고 이 세가지를 글로 표현 한다는것은 또다른 표현 방식이다.

하지만 직접 글로 쓰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스트레스가 쌓이게 마련이다. 이 표현이 맞을까? 띄어쓰기는

잘하고 있는지, 글씨는 틀리지 않았는지 등등... 글을 쓰는내내 떠나가지 않는 의문들이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쓴다는 말을 들을수 있을까? 누구나 한번은 생각을 해보는 질문일것이다.

A+ 글쓰기는 나에게 뒤도 돌아보지 않고 선택하게 했던 책이다. 책을 읽고 난 뒤엔 글쓰기 학원에 한달은

다닌것 같은 느낌이 팍팍들게 했다. 제목 밑에 쓰여있는 한줄의 글이 나에 걱정을 덜어주는 듯하다.

'논술, 작문, 보고서 작성의 고수로 가는길'

저자 심훈은 신문 방송학과를 나와 언론사에서 근무하다 텍사스주립대에서 언론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제 대학에서 언론정보학부에서 학생들의 글쓰기 교육을 하고 있다.

 이책의 여는글에 "모든 글쓰기는 독학이다?" 라고 미국의 추리소설가 '수 그래프턴의 말을 인용해 글쓰기가

교재나 강의를 통해서 글쓰기를 이해하기보다 습작을 통해 익히는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적어 놓았지만,

저자 심훈은 이러한 '수 그래프턴'의 말에 수긍을 하지 않고 자신이 그동안 익히고 공부한것을 토대로 정말

우리말이 글로서 표현하면서 틀릴수 있는, 아니 조금은 더 발전한 글쓰기 실력을 발휘할수 있도록 책을 썼다.

 

 책은 총 4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1부 '글은 요리다'.  제 2부 '문장론'. 제3부 '문단론'. 제 4부 '독서이야기'로

나누어 서서히 실력을 키울수 있도록 난이도도 높여나간다. 책 안의 작은 주제가 끝나갈때마다 자신의 실력을

점검할 요양으로 연습문제를 풀어볼수 있도록 실어놓고 단문, 중문, 장문 연습문제와 해답을 적어놓아 애매모호

했던 생각을 틀을 다질수 있도록 배려했다.

 시험문제를 푸는듯는 느낌이 학생시절로 되돌아간 느낌이 팍팍든다. 아마도 약간은 문제를 풀면서 내 실력이

이정도였나 반성이 들것이다. 난 거의 맞춘것이 없었다. 지금 서평을 쓰는 순간도 아주많이 내글에 의심을

품고 창피해하고 있으니.... 소설책과는 다른 늘 손에, 곁에 가까이 놓고 많이 읽어볼 요량으로 잘보이는곳에

놓아야겠다.

 

 이 책 한권이 나의 글쓰기 실력을 순간에 늘게 할수는 없다.  중요한건 많이 읽고 많이 써보면서 고쳐나가는

것이 자신의 색깔있는 표현방식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하지만, 잊고 지내면서 늘 써나가던

글의 표현방식이 틀렸다는 것을 안다면 자신을 부끄러워할것이 아니라 그자체가 자신의 실력이 앞으로

나아지고 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 편한듯 싶다.

 

 제 4부 독서이야기 편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할 수 있습니까?"

한 젊은이가 중국 송나라의 대 문장가 구양수에게 물었다.

"다독,다작,다상량"(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 이것이 이책이 독자들에게 전해주려했던

핵심이 아닌가 싶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댓글 0
글쓰기의 교과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h****i | 2008.11.18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A+ 글쓰기 책을 한마디로 얘기하자면, 교과서이다. 처음에 이 책을 받았을 때 "많이 배울 수 있겠구나" 하고 좋아했었다. 그런데 이 책은 지하철에서 읽으면서 얻을 수 있는 것 보다, 직접 책상에 앉아서 본문 설명 못지않은 많은 양의 연습 문제를 풀어봐야 실제 실력이 늘 것 같다. 나는 주로 지하철에서 출퇴근 길에 책을 읽기 때문에 이 연습 문제를 풀어 보지는 못 했다. 우;
리뷰제목

A+ 글쓰기 책을 한마디로 얘기하자면, 교과서이다. 처음에 이 책을 받았을 때 "많이 배울 수 있겠구나" 하고 좋아했었다. 그런데 이 책은 지하철에서 읽으면서 얻을 수 있는 것 보다, 직접 책상에 앉아서 본문 설명 못지않은 많은 양의 연습 문제를 풀어봐야 실제 실력이 늘 것 같다. 나는 주로 지하철에서 출퇴근 길에 책을 읽기 때문에 이 연습 문제를 풀어 보지는 못 했다. 우리가 학교 다닐 때, 국어책에 문법 부분은 설명만 읽는다고 실력이 늘지 않는 것 처럼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고마운 부분은 작문 책이라 그런지 바닥글 부분에 어려운 어휘를 국어 사전처럼 상세히 설명 해 놓은 것이다. 하지만 바꿔 말하면, 실생활에서 잘 쓰지 않는 어려운 한자 어휘를 저자가 많이 썼다는 느낌도 받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물론 글쓴이의 문필이 뛰어나긴 하나, 영어를 아주 잘하는 사람도 쉬운 단어를 골라 상대방과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고, 박학 다식한 사람일수록 어려운 단어보다는 쉽게 전달하려 노력한다는 점을 본다면, 이 점에서 그리 적절한 집필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 실제 내 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반복해서 읽고, 내 글을 다시 이 책에 기초하여 점검해보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줄로 믿는다. 이 책은 아주 좋은 책이고,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집필하였음을 책 곳곳의 세세한 설명과 풍부한 연습문제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책은 두고 두고 보면서 조금씩 내 글을 고쳐나가는데 사용할 것이다. 다시 한번 느끼지만, 국어가 가장 어려운 것 같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댓글 0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3,5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