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마음 닦는 요긴한 편지글

마음 닦는 요긴한 편지글

: 원오극근 스님의 원오심요

성철스님이 가려 뽑은 한글 선어록-05이동
리뷰 총점10.0 리뷰 1건 | 판매지수 144
베스트
불교 top100 6주
정가
18,000
판매가
16,200 (10% 할인)
배송안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1(여의도동, 일신빌딩)
지역변경
  • 배송비 : 무료 ?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11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512쪽 | 148*210*35mm
ISBN13 9788993904826
ISBN10 8993904820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01

화장(華藏) 명(明)수좌(首座)에게 주는 글
강녕부(江寧府) 천녕사(天寧寺)에 머물다

곧바로 보여주는 조사선에 어찌 샛길을 용납하리오. 여기서는 향상인(向上人)만을 오직 귀하게 여길 뿐이다. 그들은 듣자마자 곧 들어 보이고 뽑아들자마자 당장 가니, 설사 밝은 눈으로 엿본다 해도 벌써 바보짓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한 모서리를 들어 주었는데도 나머지 세 모서리를 돌이켜 알지 못하는 사람은, 내 상대하지 않겠다.”라고 하였으니, 하나를 들면 나머지 셋을 알고 눈대중으로 아주 작은 차이를 알아내어 수레바퀴가 데굴데굴 굴러가듯 전혀 막힘이 없어야 ‘향상의 수단을 쓴다[提持]’고 할 수 있으리라.
듣지 못하였느냐? 양수(良遂)스님이 마곡(麻谷)스님을 찾아뵈었을 때, 뵙자마자 마곡스님은 방장실로 들어가 문을 닫아 버렸다. 그가 의심을 품고 있다가 두 번째 다시 찾아뵙자 이번에는 마곡스님이 채소밭으로 휙 가버렸다. 그러자 양수스님은 단박에 깨닫고 마곡스님에게 말하였다.
“스님! 저를 속이지 마십시오. 스님을 찾아와 뵙지 않았더라면 일생을 12부 경론에 속아서 지낼 뻔하였습니다.”
이렇게 한 것을 보면 그는 참으로 힘을 덜었다[省力] 하겠다.
양수스님은 되돌아와서 대중들에게 말하기를, “여러분이 아는 것을 나는 모조리 알지만 내가 아는 것은 여러분이 모르리라.” 하였다.
확실하게 알라. 양수스님이 안다 한 것은 바람 한 점 통하지 않는 자리여서 다른 사람들이 결코 알아차리지 못하니 진짜 사자라 할 만하다. 그 집안의 종지를 잇는 법손이 되려면 반드시 그의 경지를 벗어나야만 할 것이다.
달마(達摩)스님이 양(梁)나라에 갔다가 위(魏)나라로 가서 낙초자비(落草慈悲)로 사람을 찾으며 소림(少林)에서 9년을 홀로 앉아 있었다. 이때 깊은 눈 속에서 한 사람을 만났는데 마지막에 “무엇을 얻었느냐?”고 묻자 다만 세 번 절하고 제자리에 가만히 서니 마침내 “골수를 얻었다.”는 말이 있게 되었다.
그로부터 그루터기를 지켜 토끼를 기다리는[守株待兎] 무리들이 앞을 다투어 ‘말없이 절하고 제자리에 선 것’이 골수를 얻은 심오한 이치라고 여기게 되었다. 그들은 칼이 멀어진 지가 오래인 줄은 전혀 모르고 이제야 뱃전에 새기는 격[刻舟求劍]이니 어찌 꿈엔들 달마스님을 뵐 수 있겠는가.
진정한 본색도류(本色道流)라면 반드시 정견(情見)을 벗어나서 별도의 생애를 설정해야 하는 것이니, 결코 썩은 물속에서 살아날 계책을 짓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만 비로소 이 집안의 가업을 계승하리라. 여기에 이르러서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법이 있다는 사실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 말하자면 유하혜(柳下惠)의 일을 잘 배우면서도 결코 그의 자취를 본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옛사람은 “합당한 한마디 말이 만 겁에 노새를 매는 말뚝이다.”라고 하였는데, 참으로 옳다.
유(有)를 타파한 법왕(法王, 부처님)이 세간에 나오셔서 중생의 욕구에 따라 갖가지로 법을 설하시나, 그 설법은 모두 방편임을 미루어 알 수 있다. 그것은 다만 집착과 의심을 부수고 알음알이와 아견(我見)을 부숴주기 위해서이니, 그 많은 잘못된 깨달음과 잘못된 견해가 없다면 부처님이 세간에 나오시지도 않을 터인데, 더욱이 갖가지 법을 설할 까닭이 있겠는가.
옛사람은 종지를 체득한 뒤에는 깊은 산 초막이나 돌집 속에서 다리 부러진 솥에 밥을 해 먹으며 10년이고 20년을 지냈다. 그리하여 세상사를 모두 잊고 티끌세계를 영원히 떠났었다. 요즈음 시대엔 감히 그와 같기를 바라지도 않는다. 그저 명예와 자취를 버리고 본분을 지키며 무뎌진 송곳 같은 납자가 되어 몸소 깨달은 바를 자기 역량에 따라 쓰면서 지난 업을 소멸하고 오래도록 익혀 온 습성을 녹여야 한다. 이렇게 하고도 남은 힘이 있으면 다른 사람을 교화하여 반야의 인연을 맺어 주어야 한다. 자기의 근본이 익도록 연마하기를 거친 풀숲을 헤치고 한 개나 반 개를 얻듯이 하여 불법이 있음을 같이 알고 생사를 함께 벗어나야 한다. 미래세가 다하도록 이렇게 하여 부처님과 조사의 깊은 은혜에 보답해야만 한다.
설사 인연이 무르익어 부득이 세속에 나와 인연 따라 사람과 하늘 중생들을 제도하더라도 결코 무엇이라도 구하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 그런데 하물며 부귀하고 세력 있는 이들과 결탁하여 세속에 물들고 아부하는 그런 스님들의 행동거지를 본받아 범부와 성인을 속이는 짓을 하랴. 나아가 구차하게 잇속과 명예만을 탐내어 무간업을 지어서야 되겠는가! 설사 깨달을 계기는 없다 해도 이처럼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업을 지어 과보를 받는 일은 없으리니, 참으로 번뇌의 세계를 벗어난 아라한(阿羅漢)이라 할 수 있다.
어느 스님이 천황(天皇, 748~807)스님에게 “무엇이 계정혜(戒定慧)입니까?” 하고 묻자 천황스님이 “여기 나에겐 그런 부질없는 살림살이는 없다.” 하였다. 또 덕산(德山, 782~865)스님에게 “무엇이 부처입니까?” 하고 물었더니 덕산스님은 “부처는 서천(西天)의 늙은 비구다.” 하였다. 또 석두(石頭, 701~791)스님에게 “무엇이 도입니까?” 하고 묻자 “나무토막이다.” 하였고, “무엇이 선입니까?” 하고 묻자, “벽돌이다.” 하였다.
어느 스님이 운문(雲門, 864~949)스님에게 “무엇이 불조(佛祖)를 초월한 이야기입니까?” 하고 묻자 “호떡이지.” 하였고, 또 조주(趙州, 778~897)스님에게 “달마스님이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하고 묻자 “뜰 앞의 잣나무다.” 하였다. 또 청평(淸平, 832~906)스님에게 “무엇이 유루(有漏)입니까?” 하였더니 “조리(籬)”라 하였고, “무루(無漏)가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더니 “나무 국자”라고 하였으며, 삼각(三角)스님에게 “3보란 무엇입니까?” 하고 묻자 “쌀, 조, 콩”이라고 대답하였다.
이 모두는 지난날 본분종사(本分宗師)가 실제의 경지를 몸소 밟아 보고 본분자리에서 자비를 베푼 말씀이다. 그런데 그 스님들의 이런 말들만 뒤쫓는다면 은혜를 저버리는 짓이 될 터이고 그렇다고 그 스님들의 말을 따르지 않는다면 어떻게 깨달을 수 있겠는가! 금강정안(金剛正眼)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바로 귀결점을 알 수 없으리라.
이 선문(禪門)에서는 홀연히 벗어나 깨쳐야지, 애초부터 다른 사람이 어떻게 해주어서 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캄캄한 맹인처럼 아무것도 몰라도 일단 이근(利根)의 종성(種性)으로 맹팔랑(孟八郞)이어도 하루아침에 단박에 깨치는 것이다.
여기에서 곧바로 알아차려, 쓰고 싶으면 쓰고 가고 싶으면 갈 뿐, 허다한 일들이 없다. 마음씀[心行]이 익어져 모든 것을 단박에 놓아 버리면 어디에서든지 문득 쉬어서 안락해지고 종일토록 배부르게 밥 먹고 코를 골며 잠을 자도 바름을 그르치지 않는다.
처리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함이다. 그림자를 인정하여 우러러보거나 소리를 듣되 그것을 따르지 않고, 맑고 고요한 성품을 꼭 붙들어 큰 보배를 얻은 양 가슴에 품고는 종일 소소영영(昭昭靈靈)하다고 하며, 잡된 알음알이로 스스로 자부하고 나도 한 소식 했다고 하는 것들이다.
그런가 하면 더 나아가서는 종사에게 인가를 받았다고 하여 아견만을 늘리고, 고금의 문장을 이리저리 천착하여 불조의 말씀을 확인해 보고는 일체를 업신여긴다. 묻기만 하면 재주를 부리며 그것에 착 달라붙어 한 무더기가 되었는데도 정반성(定槃星)을 잘못 읽었다는 것도 끝내 모르는 것이다. 그러다가 누군가 그에게 방편을 베풀어 끈끈한 것을 떼어 주고 결박을 풀어 주면 도리어 “나를 가만두지 않고 옥죄는구나. 도대체 무슨 심보냐!”라고 하니, 이래 가지고야 어찌 구제될 수 있으랴!
오로지 단박에 그릇된 줄을 스스로 알아서 가지고 있던 것을 다 놓아 버려야 하리라. 선지식이 되어 이와 같은 무리들을 만나면 큰 솜씨로 단련시키되, 한 개나 반 개만이라도 깨치게 했다면 삿됨을 뒤집어 올바름을 이루었다 하리라. 이런 사람이야말로 도량을 헤아릴 수 없는 큰 인물이라 하겠으니, 병을 많이 앓아 보아야 약의 성질을 잘 알기 때문이다.
깨달은 사람은 마음 기틀[心機]이 모두 끊어져 비추는 체[照體]도 이미 사라졌다. 그런가 하면 알음알이도 전혀 없고 그저 무심한 경지만 지킬 뿐이어서 하늘 사람이 그에게 꽃을 바치려 해도 길이 없고 마군 외도가 가만히 엿보려 해도 보지 못한다.
깊고 깊은 바다 밑을 가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으로 헤아리고 하는 일이 모두 평상심(平常心)이어서 한가한 시골에 사는 것과 다름이 없다. 당장에 모든 생각을 놓아 버리고 본성을 길러서 이런 경지가 되어도 거기에 머물러 있지 않으니, 털끝만큼이라도 무언가 있기만 하면 태산이 사람을 가로막는 것처럼 여겨서 바로 털어 버린다. 비록 이렇게 하는 것이 순일한 이치이긴 하나 취할 만한 것이 없으니, 취했다 하면 바로 ‘견해의 가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는 무심히 사람에게 합하고, 사람은 무심히 도에 합한다.”고 하였으니, 스스로 나는 체득한 사람이라고 자랑하려 해서야 되겠는가. 살펴보건대, 본분종사들은 사람들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으려 하였는데 사람들이 그 스님을 ‘배울 것이 끊겨 함이 없어 옛사람과 짝할 만한 참 도인’이라 부르게 된다.
덕산스님이 하루는 공양이 늦어지자 발우를 들고 방장실에서 내려오는데 설봉(雪峰, 822~908)스님이 말하였다.
“종도 울리지 않고 북도 치지 않았는데 발우를 들고 어디로 가십니까?”
그러자 덕산스님은 머리를 푹 숙이고 그냥 되돌아가 버렸다. 암두(巖頭, 828~887)스님이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가엾은 덕산스님이 말후구(末後句)도 모르는군.”
그러자 덕산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나를 긍정하지 않는가?”
암두스님이 이윽고 은밀히 그 뜻을 사뢰니 이튿날 덕산스님이 법좌에 올랐을 때는 평상시와는 전혀 달랐다. 암두스님은 손뼉을 치면서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기쁘도다. 덕산 늙은이가 말후구를 알아 버렸네. 그렇기는 해도 앞으로 3년밖에 살 수 없도다.”
이 공안(公案)을 총림에서 알음알이로 아는 경우는 매우 많지만 정확하게 뚫은 자는 드물다. 어떤 사람은 “참으로 이 구절[此句]이 있다.”고 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아비와 아들이 서로 부르고 화답하지만 실로 이 구절[此句]은 없다.”고 하기도 하며, 어떤 사람은 “이 구절[此句]은 비밀스럽게 전수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모두는 말로만 이해한 것이어서 으로 기로(機路)만 늘릴 뿐이니 본분도리와는 거리가 대단히 멀다 하겠다. 이 때문에 “으뜸 가는 제호(醍)의 맛은 세상에서는 진미이지만 이런 사람을 만나면 도리어 독약이 된다.”고 하였던 것이다.
본분종사는 활구(活句)를 참구했지 사구(死句)를 참구하지 않았다. 활구에서 깨달으면 영겁토록 잊어버리지 않겠지만 사구에서 깨치면 자신마저도 구제하지 못하리라. 불조의 스승이 되고자 하거든 활구만을 분명히 취해야 한다. 소양(韶陽, 운문)스님은 한마디 꺼냈다 하면 마치 날카로운 칼로 자르는 것과도 같았다. 또 임제스님도 “취모검(吹毛劍)을 쓰고 나서 얼른 갈아 두어라.” 하였으니, 이것이 어찌 5음(五陰, 5온) 18계 가운데의 일이랴. 세간의 지혜와 총명함으로는 전혀 미칠 수가 없다.
밑바닥까지 깊이 사무쳐서 이제껏 남에 의지해 일으켰던, 밝고 어둡고 맞고 거슬리고 하는 알음알이를 모두 떨어버려, 금강정인(金剛正印)으로 도장을 찍고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劍)을 휘둘러 본분의 수단을 사용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을 죽이는 데는 반드시 살인도(殺人刀)라야 하며 사람을 살리는 데는 꼭 활인검(活人劒)이라야 한다고 하였다.
사람을 죽일 수 있다면 사람을 살릴 수도 있어야 하며, 사람을 살릴 수 있다면 사람을 죽일 수도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고 한쪽만 한다면 치우치게 된다.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손을 쓰려면 반드시 방편을 살펴보아 칼끝을 상하게 하거나 손을 다치지 않게 해야만 한다.
어디에나 몸을 벗어날 길이 있어서, 8면으로 영롱하여 저들을 비추어 보고서 비로소 칼날을 대야 한다. 여기에서 반드시 치밀해야 하며, 조금이라도 느슨했다간 일곱 번째 여덟 번째에 떨어지리라. 그저 자신이 무심하다는 그것도 털끝만큼이라도 남겨 두지 말아야 하며, 설사 조금 있다 해도 잘라서 세 동강을 만들어 버려야 한다.
그런데 더구나 예로부터 이 종문에 내려오는 본분수단은, 이 문중의 납자를 만나서 드러내 보였을 때 기연에 투합하면 함께 쓰고 기연에 투합하지 못하면 이로써 요점을 삼을 것이니, 그리하면 깨닫지 못할 일이 없다. 힘써 실천할 것을 간절히 바라노라.

화장 명 수좌는 금관(錦官), 협산(夾山), 종부(鐘阜)로부터 나를 따라 행각한 지 10여 년이더니, 그 정리(情理)의 뛰어난 이해력을 이미 모두 드러내 보였도다. 이 문중에 들어와서는 조용(照用)과 기지(機智)와 견해의 길을 모조리 물리쳐 버리지 않음이 없는데, 오로지 향상일로의 도리 하나만은 조실에서 백천 번 단련하였다. 요즈음 민(民) 노덕을 보살피느라 아침저녁으로 떨어져 나가 있으므로 붓으로 몇 마디를 얻어듣고자 한다기에 여기 몇 장을 조목별로 열거하여 함께 부치노라.




1 화장(華藏) 명(明)으로 보이는 인물은 우선 화장사(華藏寺) 명극혜조(明極慧祚)를 떠올릴 수 있으나 ‘명극’이라는 법호를 ‘명’이라고 줄여 부른다고 생각하기 어렵고 명극혜조가 조동종 정자사(淨慈寺) 혜휘(惠暉, 1097~1183)의 법을 이었다는 점에서 『심요』가 설명하는 행적과 맞는다고 보기 어렵다. 또 ‘화장 명 수좌’를 정자사(淨慈寺) 초명(楚明)이라고 한 경우도 있는데 초명 역시 운문종의 법운선본(法雲善本, 1035~1109)의 법을 이었다는 점에서 원오극근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심요』에서 설명하는 행적을 고려하면 ‘화장 명 수좌’는 경산보인(徑山寶印, 1109~1190)으로 보인다. 경산보인은 원오극근의 제자인 화장안민(華藏安民)의 법을 이었는데 『심요』에서 “명 수좌가 민 노장을 모시고 있다.”고 한 민 노장이 바로 화장안민이다. 특히 경산보인은 원오극근처럼 사천성(四川省) 출신인데다가 원오가 사천성의 소각사(昭覺寺)에 있을 때 처음 만난 후에 곳곳에 머물렀다. 또한 『화엄』과 『기신』 등 경론에 능한 인물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현재의 강소성(江蘇省) 남경시(南京市) 강녕구(江寧區).
3 『논어』 「술이(述而)」 “不憤不(불분불계) 不不發(불비불발) 一隅不以三隅反(거일우불이삼우반) 則不復也(즉불부야)”(알고 싶어 분발하지 않으면 깨우쳐주지 않고, 표현을 못해 더듬거리거나 답답해하지 않으면 말을 거들어주지 않는다. 또한 한 모서리를 가르쳐주어 나머지 세 모서리를 알아차리지 못하면 더는 가르치지 않는다.)
4 수주양수(壽州良遂) : 당대(唐代) 스님. 마곡보철(麻谷寶徹) 스님의 법을 이었다.
5 마곡보철(麻谷寶徹) : 당대(唐代) 스님.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 스님의 법을 이었다.
6 이상의 양수스님 이야기는 『오등회원(五燈會元)』 권4 「수주양수선사(壽州良遂禪師)」(X80-99b).
7 낙초(落草) : 입초(入草)라고도 한다. 원래는 풀숲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양민이 난세를 피해 초야에 묻혀 초적(草賊)이 된다는 의미이다. 비유로 쓴 ‘초(草)’는 세속의 세계를 뜻한다.
8 혜가(慧可, 487~593)스님은 달마스님을 처음 만나 눈 속에서 팔을 잘라 구법의 의지를 드러내었으며 달마스님에게 “골수를 얻었다.”는 평을 들음으로써 깨달음을 인가받아 선종 제2조가 되었다.
9 수주대토(守株待兎) : 『한비자(韓非子)』에 전하는 이야기이다. 송나라에 어떤 농부가 밭을 갈고 있었는데 갑자기 토끼 한 마리가 뛰어오다가 밭 가운데 있는 그루터기에 부딪쳐 목이 부러져 죽었다. 덕분에 토끼 한 마리를 공짜로 얻은 농부는 농사일보다 토끼를 잡으면 더 수지가 맞겠다고 생각하고 농사일은 집어치우고 매일 밭두둑에 앉아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오기만 기다렸다. 그러나 토끼는 두 번 다시 나타나지 않고 농부는 웃음거리가 되었다. 한비자(韓非子)는 요순(堯舜)을 이상으로 하는 왕도(王道)정치는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비유를 들었다. 낡은 관습을 지키며 새로운 시대에 순응할 줄 모르는 사상이나 사람에게 이 비유를 적용한다.
10 각주구검(刻舟求劍) : 『여씨춘추(呂氏春秋)』에 전하는 이야기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자신의 칼을 매우 소중하게 여기던 초(楚)나라의 한 젊은이가 양자강(揚子江)을 건너다 실수로 들고 있던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젊은이는 허둥지둥 허리춤에서 단검을 빼 들고 칼을 떨어뜨린 그 뱃전에다 표시를 한 후 배가 나루터에 닿자마자 칼을 찾으려고 표시를 한 뱃전 밑의 강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시세의 변천도 모르고 낡은 생각만 고집하며 이를 고치지 않는 어리석고 미련함을 비유한다.
11 유하혜(柳下惠, 기원전 720~621) : 유하(柳下)는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은 땅 이름이고 혜(惠)는 시호이다. 춘추전국시대 노(魯)나라의 현인이다. 성은 전(展)이고 이름은 획(獲), 자는 계(季)?금(禽)이다. 유하혜의 성정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맹자』 「공손추(公孫丑) 상」에 유하혜를 백이(伯夷)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내용이 있다. 백이는 “자기의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아니하며 자기의 벗이 아니면 벗하지 아니하며 악인들의 조정에는 서지 아니하며, 악인들과 함께 말도 하지 아니하였다. … 이런 까닭에 제후들이 비록 그가 인사말을 훌륭하게 해 가지고 오더라도 받아들이지 아니하니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또한 나아가는 것을 깨끗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이니라.”고 하였고, 유하혜는 “더러운 임금이라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하며 사소한 관직이라도 낮게 생각하지 아니하며 사람을 천거함에는 덕행이 있는 사람을 숨기지 아니하여 반드시 그 도로써 하였고 자기를 내버려도 원망하지 아니하며 곤궁하여도 근심하지 아니하였다. … 그러므로 스스로 만족스러운 모양으로 그 사람들과 함께 하여 자기를 잃어버리지 아니하여 남이 끌어당겨서 만류하면 멎으니 끌어당겨서 만류하는 대로 멈추는 것은 이것 또한 무조건 떠나가는 것을 깨끗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이니라.”고 하고는 “백이는 너무 좁고 유하혜는 공손하지 못한 편이니 좁고 공손하지 못한 것은 군자가 둘 다 따르지 않은 것이다.”라고 평가한다.
12 “善學柳下惠(선학유하혜) 終不師其迹(종불사기적)” : 왕숙(王肅, 195~256)이 편찬한 것으로 일려진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好生)」 제10에 유하혜와 관련한 이야기가 전한다.
“어느 노(魯)나라 사람이 홀로 살았고 이웃의 과부도 홀로 살았다. 밤에 몰아치는 폭풍 때문에 과부의 집이 무너져 달려가 부탁했으나, 노나라 사람은 문을 닫고 들이지 않았다. 과부가 창가에서 ‘어찌 인자하지 못하게 나를 들이지 않소?’라고 하자 ‘남자와 여자는 60살이 되지 않으면 같이 거처하지 않는다고 들었소. 지금 우리는 아직 젊으니 그대를 들일 수 없소’라고 했다. 여인이 ‘그대는 어찌 유하혜처럼 하지 않소? 오갈 데 없는 여자를 거둬 보살폈지만 나라에서 그를 문란하다 하지는 않았소’라고 하자 ‘유하혜라면 할 수 있으나, 나는 진실로 할 수 없소. 내가 장차 나의 할 수 없음으로 유하혜의 할 수 있음을 배우겠소’라고 했다. 공자께서 이를 듣고서 ‘훌륭하도다. 유하혜를 배우고자 하는 자 중에 아직 이와 유사한 자가 없었다. 지극히 좋은 점을 목표로 하면서도 그 행위는 답습하니 않으니, 지혜롭다 할 만하도다’라고 하셨다.”
이 이야기는 ‘좌회불란(坐懷不亂)’으로 알려진 유명한 이야기인데, 마지막의 공자의 평가를 따와 다양한 선종 문헌에서 선사들이 화두처럼 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13 골률추(骨律錐) : 날카로움이 사라진 송곳. 예리함을 감춘 송곳에 수행자의 원숙함을 비유한 말.
14 천황(天皇, 748~807) : 당나라 천황도오(天皇道悟). 속성은 장(張) 씨, 절강성 무주 금화현(金華縣) 출신. 14세에 출가하여 25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경산도흠(徑山道欽, 715~793)에게 참학하고 대력(大曆) 연간(766~779)에 대매산(大梅山)으로 들어갔다가, 건중(建中, 780~783) 초기에 강서성 종릉(鍾陵)에 이르러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에게 참학한 후 석두희천(石頭希遷, 701~791)을 친견하고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형주성(荊州城) 동쪽 천황사(天皇寺)로 옮겨 머물렀다. 제자에 용담숭신(龍潭崇信, 753~823)이 있다.
15 덕산(德山, 782~865) : 당나라 덕산선감(德山宣鑑). 속성은 주(周) 씨, 검남(劍南, 사천) 출신. 20세에 출가하여 처음에는 경과 율을 공부하였다. 『금강경』에 정통하여 주금강(周金剛)이라고도 하였다. 용담숭신(龍潭崇信, 753~823)을 만나 30여 년 동안 참학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덕산(德山)에 머물면서 분방하고 호쾌한 선풍을 널리 선양하였다. 당시의 두 가지 대표적 선풍을 ‘덕산방(德山棒) 임제할(臨濟喝)’이라는 어구로 표현하고 있다. 제자에 설봉의존(雪峰義存, 822~908), 암두전활(巖頭全, 828~887) 등이 있다.
16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권15(T51-318a).
17 석두(石頭, 701~791) : 석두희천(石頭希遷). 속성은 진(陳) 씨, 광동성 단주(端州) 출신. 조계에 가서 6조 혜능(慧能)에게 출가하였으나 얼마 안 있어 혜능이 입적하자 청원행사(靑原行思, 671~741)에게 참학하였다. 천보(天寶) 연간(742~756) 초기에 형산(衡山)의 남사(南寺)에 가서 그 절 동쪽의 석상(石上)에 암자를 짓고 항상 좌선하였으므로 석두(石頭)화상이라고 불렸다. 광덕(廣德) 2년(764) 문인들의 청에 응하여 종풍을 선양하다가 약산유엄(藥山惟儼, 746~829)에게 법을 부촉하였다. 시호는 무제(無際)대사. 저서에 『참동계(參同契)』 1권, 『초암가(草庵歌)』 1권이 있다.
18 『경덕전등록』 권14(T51-309c).
19 운문(雲門, 864~949) : 운문종의 운문문언(雲門文偃). 속성은 장(張) 씨, 절강성 가흥(嘉興) 출신. 어려서부터 출가에 뜻을 두어 17세에 출가, 20세에 구족계를 받고 『사분율(四分律)』 등을 배웠다. 그 후 황벽희운(黃檗希運, 751~850)의 법을 이은 목주도명(睦州道明, 780~877)에게 참구하고, 다시 설봉의존(雪峰義存, 822~908)에게 참구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설봉을 떠나 여러 곳을 떠돌아다니며 교류하다가, 건화(乾化) 원년(911)에 광동성 조계(曹溪)로 가서 6조의 탑에 예배하고, 복주대안(福州大安, 793~883)의 법을 이은 영수여민(靈樹如敏, 862~912) 회하로 들어갔다가 영수의 입적 후 그 법석을 이어 운문산(雲門山)에 30여 년을 머물렀다. 어록집으로 수견(守堅)이 엮은 『운문광진선사광록(雲門匡眞禪師廣錄)』 3권이 있다.
20 『운문광진선사광록(雲門匡眞禪師廣錄)』 권1(T47-548b).
21 조주(趙州, 778~897) : 조주종심(趙州從). 속성은 학() 씨, 산동성 조주(曹州) 학향(鄕) 출신. 남전보원(南泉普願, 748~835)에게 참학하여 깨달음을 얻고 남전에게 귀의하였다. 여러 곳을 유력하다가 나이 80이 되어서야 조주성(趙州城) 동쪽 관음원(觀音院)에 머물면서 40년 동안 선풍을 드날렸다. 시호는 진제(眞際)대사. 어록인 『조주록(趙州錄)』이 널리 읽힌다.
22 『고존숙어록(古尊宿語錄)』 권13(X68-77c).
23 청평(淸平, 832~906) : 청평영준(淸平令遵). 속성은 왕(王) 씨, 악주(鄂州) 동평(東平) 출신. 어린 시절에 출가하여 율학을 배웠다. 취미무학(翠微無學)에게 참학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대통선원(大通禪院)을 창건하여 종풍을 널리 선양하였다. 시호는 법희(法喜)선사.
24 『선림유취(禪林類聚)』 권17(X67-101a).
25 삼각(三角) : 삼각법우(三角法遇). 위산영우(山靈祐, 771~853)에게 참학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기주(州) 삼각산(三角山)에서 법문하였다.
26 맹팔랑(孟八郞) : 맹(孟)씨 네 여덟 째 아들이라는 말이다. 도리나 관습에서 벗어난 일을 억지로 하려는 사람을 뜻한다.
27 정반성(定槃星) : 저울의 기준이 되는 눈금.
28 “道無心合人(도무심합인) 人無心合道(인무심합도)” : 『균주동산오본선사어록(筠州洞山悟本禪師語錄)』 권1(T47-510a).
29 설봉(雪峰, 822~908) : 설봉의존(雪峰義存). 속성은 증(曾) 씨, 복건성 천주(泉州) 남안(南安) 출신. 12세에 출가하였으나 24세에 회창(會昌)의 파불(破佛)을 만나, 속복을 입고 부용영훈(芙蓉靈訓, ?~851)에게 참구하였다. 그 후 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의 회하에서 반두(飯頭)의 일을 맡아 보았지만 특별한 계기를 맺지는 못했다. 동산의 가르침에 따라 덕산선감(德山宣鑑)에게 참구하였다. 어느 날 암두전활(巖頭全, 828~887)과 흠산문수(欽山文邃)와 함께 행각하다가 호남성 오산(鰲山)에 이르렀을 때, 내리는 눈 속에 파묻혀 지관좌선(只管坐禪)을 하다가 암두에게 한마디를 듣고 깨달아 덕산의 법을 이었다. 중화(中和) 2년(882)에 당 희종(禧宗) 황제로부터 진각(眞覺)대사라는 호와 자색 가사를 받았다. 문하에 현사사비(玄沙師備, 835~908), 장경혜릉(長慶慧稜, 854~932), 운문문언(雲門文偃, 864~949), 보복종전(保福從展, ?~928) 등 많은 선승이 있고,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독특한 종풍을 드날렸다. 『설봉진각대사어록(雪峰眞覺大師語錄)』 2권이 있다.
30 암두(巖頭, 828~887) : 암두전활(巖頭全). 속성은 가(痂) 씨, 천주(泉州) 출신. 설봉의존(雪峰義存, 822~908)과 흠산문수(欽山文邃)와 도반이 되어 앙산혜적(仰山慧寂, 807~883)에게 참학하고 덕산선감(德山宣鑑, 782~865)의 법을 이었다. 시호는 청엄(淸儼)대사.
31 『무문관(無門關)』 권1(T48-294b) 등에서 ‘덕산탁발(德山托鉢)’로 널리 알려진 공안이다. 특히 성철스님 『본지풍광』의 제1칙으로 등장한다.
32 『천동각화상송고(天童覺和頌古)』 권2(X67-454c).
33 현재의 광동성(廣東省) 소관시(韶關市). 운문문언(雲門文偃, 864~949) 스님의 광태선원(光泰禪院)이 이곳에 있었기 때문에 운문스님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34 『경덕전등록』 등에 따르면 임제스님이 입적할 때에 남긴 전법게의 일부이다. 전체 게송은 다음과 같다. “흐름 따라 머무르지 않는 도리를 묻는다면 참다운 관조는 끝없는 것이라 말해 주리라. 모습과 이름을 떠난 것 본래 성품 없으니 예리한 칼날을 쓰고서 얼른 갈아 두어라.”(沿流不止問如何[연류부지문여하] 眞照無邊說似他[진조무변설사타] 離相離名如不[이상이명여불품] 吹毛用了急須磨[취모용료급수마], 『경덕전등록』 권12, T51-291a).
35 이 편지는 『원오불과선사어록(圓悟佛果禪師語錄)』 권14(T47-777b~778b)에도 전한다.
36 원오극근의 법을 이은 화장안민(華藏安民, 1086~1136)을 가리킨다. 호는 밀인(密印), 속성은 주(朱) 씨, 사천성 가정부(嘉定府) 출신. 처음에는 교학을 배웠으며 성도(成都)에서 『능엄경(楞嚴經)』을 강의하였다. 원오극근에게 참학하여 인가를 받고 법을 이었다.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회원리뷰 (0건) 회원리뷰 이동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1건) 한줄평 이동

총 평점 10.0점 10.0 / 10.0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예스24 배송
  •  배송비 : 무료배송
포장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 포장안내1
  • 포장안내2
  • 포장안내3
  • 포장안내4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6,2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