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는 딴짓에서 나온다
마라톤을 완주한 5천명이 실격한 이유 유리 감옥에 주도권을 빼앗긴 현대인 번 아웃이 되어버린 사람들 과감히 덜어내는 힘이 필요하다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딴짓이 필요하다 갭타임(Gap time) 효과 제2장, 딴짓은 ‘멈춤’에서 시작된다 인디언들이 일제히 멈춘 이유 때로는 디폴트 모드에 빠져라 속도를 늦추는 시간의 힘 나만의 박자와 속도를 만들자 비행기모드와 사바스 제3장, 딴짓을 발견하라 1. 눈으로 시작하는 딴짓 2. 손으로 시작하는 딴짓 3. 발로 시작하는 딴짓 4. 딴짓하기 좋은 시간과 공간 확보 요령 제4장, 이것이 딴짓이다 1. 내면을 정리하는 딴짓 2. 정신을 새롭게 하는 딴짓 3. 머리를 식히는 딴짓 4. 함께하는 딴짓 제5장, 그들은 이미 딴짓의 고수들이었다 워런 버핏 스티브 잡스 마크 주커버그 우디 앨런 아이작 뉴턴 아인슈타인 윈스턴 처칠 임마누엘 칸트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손정의 김정운 제6장, 딴짓의 진가를 알면 삶이 즐겁다 워라밸(WOLIBAL) 딴짓과 몰입의 관계 딴짓과 창조성의 관계 피트인(Pit in)과 킹핀(Kingpin) 딴짓과 휘게(Hygge) 제7장, ‘딴짓의 힘’을 뒷받침하는 지혜들 휴식과 성찰의 지혜 전환과 도약의 지혜 |
저김충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위험한 지배와 조종의 네트워크가 판치고 있는 세상입니다. 잠시 나를 멈추고 서서 자신을 돌아볼 여백이 없다면, 거센 세상의 물결에 휩쓸려 순간의 생존에 허덕이다 삶의 묘미와 축복을 다 놓쳐버릴 수밖에 없는 척박한 나날입니다. 토마스 머튼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회가 난파한 배와 같으므로 각 개인은 자신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거기서 헤엄쳐 나와야 한다.” 호화 크루즈 여객선 같지만 실상은 난파선에 불과한 이 사회에서 우리는 살 길을 찾아 부지런히 헤엄쳐야 합니다. 사막의 교부들은 고독과 침묵이라는 딴짓의 길로 나아갔고, 신영복 선생님은 20년의 수형 생활이라는 강요된 딴짓을 통해 대중을 이끄는 따스하고 빛나는 지도자로 세상에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교부들이나 선각자들처럼 극단적인 딴짓을 하지 않아도, 일상의 틀을 유지하되 자신을 멈추고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지혜로운 딴짓의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딴짓은 헛된 낭비가 아니라 자신을 위한 소중한 투자입니다. -조신영 <경청>의 저자, 한국인문고전독서포럼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