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관에 박힌 마지막 못
새로운 과학적 발전이 이루어질 때마다 신의 관에 또 하나의 못질을 했다는 인식이 대중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다. 영향력 있는 과학사상가들은 이러한 인식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 옥스퍼드대학의 화학 교수 피터 앳킨스는 이렇게 썼다. “인류는 우주의 목적이 존재한다고 믿을 만한 정당성을 과학이 제거했고 우주의 목적이 조금이라도 살아남는다면 그것은 감정 때문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우주의) 목적과 관련된 질문들을 다루지 않는다고 여겨졌던 과학이 실제로 어떻게 그 일을 할 수 있는지는 그리 분명하지 않기에 이 점은 나중에 살펴볼 것이다. 분명한 사실은, 앳킨스가 신에 대한 믿음을 그냥 감정도 아니고 과학에 적대적인 감정으로 일격에 축소시켰다는 것이다. 앳킨스만 그런 것이 아니다. 리처드 도킨스도 그에 질세라 한 걸음 더 나간다. 그는 신에 대한 믿음을 제거해야 할 악으로 여긴다. “에이즈 바이러스, 광우병, 그 밖의 많은 질병들이 인류를 위협한다는 묵시록적 경고를 늘어 놓는 것이 유행이다. 하지만 나는 신앙이 세계의 가장 큰 악 중 하나이며, 천연두 바이러스에 비길 만큼 위험하지만 그보다 더 퇴치하기가 어렵다는 논증을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보다 최근에 들어서 그는 믿음이 악의 상태에서 (이것이 올바른 용어라면) 졸업하여 망상이 되었다고 본다. 그는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 에서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Zen and the Art of Motorcycle Maintenance)의 저자 로버트 피어시그의 말을 인용한다. “한 사람이 망상에 시달리면 정신이상이라 부른다. 많은 사람이 망상에 시달리면 종교라고 부른다.”
도킨스에게 신은 망상일 뿐 아니라 치명적 망상이다. 도킨스의 이런 견해는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한 여러 입장 중 한쪽 극단에 해당한다. 그의 견해가 전형적인 것이라 생각하면 오해이다. 많은 무신론자들은 이런 견해의 억압적인 어조, 더 나아가 전투적이고 전체주의적이기까지 한 어조를 전혀 달가워하지 않는다. 하지만 늘 그렇듯, 극단적 견해들이 대중의 관심을 받고 언론에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이 그 견해를 알게 되고 그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러한 견해들을 무시하는 것 또한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도킨스의 말을 참고해 보면, 그가 신에 대한 믿음에 적대감을 갖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안타깝게도) 다음과 같은 인상을 받았기 때문임이 분명하다. “과학적 신념은 공개적으로 시험 가능한 증거에 근거한 반면, 종교적 신앙은 증거가 없을 뿐 아니라 증거와 완전히 독립해 있다. 이 사실이야말로 지붕 위에서 외쳐야 할 신앙의 기쁨이다.”
다시 말해, 그는 모든 종교적 신앙을 맹신으로 여긴다. 글쎄, 정말 그렇다면, 종교적 신앙을 천연두와 같이 분류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도킨스의 조언을 받아들여 이렇게 묻게 된다. 종교적 신앙이 증거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증거는 어디에 있는가? 그런데, 불행히도 신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면서 명백히 반과학적이고 몽매주의적인 관점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태도 때문에 신에 대한 믿음이 비방을 받게 된다. 리처드 도킨스는 그런 사람들만 유난히 많이 만나는 불행을 겪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설령 그렇다 해도 주류 기독교는 믿음과 증거가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는 사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참으로, 믿음은 증거에 대한 반응이지 증거의 부재를 기뻐함이 아니다. 기독교의 사도 요한은 그가 쓴 예수 전기에서 이렇게 적고 있다.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믿게 하려 함이니라.”
즉, 그는 자신이 기록하는 내용이 믿음의 토대가 되는 증거의 일부로 여겨질 것임을 이해하고 있다. 사도 바울은 근대과학을 개척한 많은 이들이 믿었던 것, 즉 자연 자체가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의 일부라고 말한다.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 증거가 없는데 무엇인가를 믿어야 한다는 것은 성경적 견해가 아니다. 과학이 그렇듯, 믿음과 이성과 증거도 한 무리를 이룬다. 그러므로 믿음이 맹신이라는 도킨스의 정의는 성경적 믿음과는 정반대라는 것이 드러난다. 그가 이런 불일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이것이 그의 맹신의 결과일 가능성은 없을까?
믿음에 대한 도킨스의 특이한 정의는 도리어 그가 혐오한다고 주장하는 사고 ? 증거에 의거하지 않은 사고 ? 의 두드러진 사례가 된다. 그는 증거와 독립적이라는 사실이 믿음의 기쁨이라는 자신의 주장에 대해 어떤 증거도 제시하지 않으며 깜짝 놀랄만한 일관성 부족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가 그런 증거를 제시하지 않는 이유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증거가 없는 것이다. 중요한 성경학자나 사상가들 중 누구도 믿음에 대한 도킨스의 정의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데는 대단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 프랜시스 콜린스는 도킨스의 정의에 대해 “역사상 대부분의 진지한 신자들의 믿음에도, 내가 아는 대부분의 신자들의 믿음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콜린스의 논점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무신론자들이 모든 믿음을 맹신이라고 거부하면서 스스로의 신뢰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기 때문이다. 존 호트의 말을 들어 보자. “모든 까마귀가 검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 주는 데는 하얀 까마귀 한 마리만으로 충분하다. 그러므로 새로운 무신론자들의 단순화된 믿음 정의를 거부하는 수많은 신자들의 존재는 종교인들 대부분을 겨냥한 그들의 비판이 적용 가능한 것인지 의문을 품게 하고도 남는다.”
알리스터 맥그래스는 아주 잘 읽히는 최근 저서에서 도킨스의 입장을 평가하며 도킨스가 중요한 기독교 사상가들 중 누구도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 의미심장하다고 지적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의 탁월한 금언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다음번에 누군가 당신에게 뭔가가 사실이라고 말하거든 이렇게 말해 주라. ‘그 말에는 어떤 증거가 있습니까?’ 그리고 그 사람이 합당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하거든, 그가 하는 말을 한마디라도 믿기에 앞서 아주 신중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10 도킨스의 금언을 바로 그 자신에게 적용하고 싶은 강력한 유혹에 굴복하여 그가 하는 말을 한마디도 믿지 않는다 해도 용서받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신에 대한 믿음이 그 어떤 증거도 없다는 잘못된 개념을 내세우는 사람은 도킨스만이 아니다. 내 경험에 따르면, 표현 방식이 다소 다를 수는 있지만 과학자들 사이에서 이런 오류가 상대적으로 흔하다. 가령 이런 말을 종종 들을 수 있다. 신에 대한 믿음은 “사적 영역에 속하고, 과학적 신념은 공적 영역에 속한다.” “신에 대한 믿음은 우리가 과학에서 발휘하는 믿음과는 종류가 다르다.” 다시 말하면, 종교적 믿음은 맹신이라는 것이다. 4장에서 우주의 합리적 이해가능성을 다룰 것인데, 그때 이 문제를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1장, 세계관들의 전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