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시인의 붓

시인의 붓

: 김주대의 문인화첩

리뷰 총점10.0 리뷰 1건 | 판매지수 600
베스트
시/희곡 top100 15주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05월 02일
쪽수, 무게, 크기 280쪽 | 578g | 170*220mm
ISBN13 9791160401578
ISBN10 1160401578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부 물의 시 011
다시 봄
이유
새치기
꽃이 온다
수목장
무너미 물버들
가로수 새잎
새싹
감각
완전한 소통
저희끼리
지난여름의 기억
표절하지 말았어야
소나무
폭포1
폭포2
배경
땅끝
어부의 말
산성 포장마차
사냥 중
우포
순천만 물길

겨울밭
안행
기차
죽음에 대한 기억

2부 깨지고 굽은 것들 069
어머니를 나누어드립니다
능소화
화엄경
첫길
고요를 듣다
귀소
진달래꽃
다육이 아들
터미널
최고급 스테레오 시스템
기도
이유
경계
한 사람씩
우묵한 봄
낙향
나의 신
나전칠기
슬픈 탕수육
두꺼비 연적

3부 따스한 서쪽 113
김선미 선생님
미황사 가는 길
조상님요, 부처님요, 하느님요
감자 캐는 여인
좋은 날이 올까요
고소한 대화
귀가
풍경
나물 캐는 남자와 여자
궁디
난전 식사
난전 할머니
대화
불쌍한 다리
여자의 일생
동행
안부 전화
낮잠
인생
봄 전화
어려진 남편의 사진

4부 돌 속으로 번진 미소 157
우리 동네 석탑에는 칸트가 산다
조각
사월
표정
에밀레종
화엄경
마애여래삼존상의 미소
우리 집 상상도
고이고 흩어지며 물들고 번져가다
2015년 원점 타격
염화미소의 발원지
오붓하다
개구쟁이 부처님
놔둬라
산중문답

5부 둥글게 깎인 눈빛 189
개나리
시선
슬픈 속도
매화 아래 자폐
의논
스스로 빛
가을 아기


꽃 보는 아이
묘한 대화
소외감
출처
무아지경
먹먹한
길고양이
기지개
검은 고양이
부자 상봉

6부 쓰다 버린 시간 229
힘찬 슬픔
설날
오월
노동의 저녁
나무 그림자와 벽
꿈다방 종친회
사람이 쓰다 버린 시간
신라 이용소 간판
지워지지 않는 1974년
이 방에서
도화동 사십계단
세한도
폐가

7부 시인의 붓 257
땅에서

안 슬픈 자화상
음악을 듣다
이산가족
발자국
여, 저 빌빌 돌아댕기는 이유
결실
큰스님 고무신

해설
어둠으로 그린 높고 위태롭고 환한 길 276

저자 소개 (1명)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뒷산 진달래꽃 피는 소리 붉다. 모으면 한 독도 채우겠다. 그대 숨소리에 젖던 첫날처럼 몸이 붉어진다.
_〈진달래꽃〉 p.82

잘린 목에서 자란 팔, 베어진 어깨에서 빠져나온 손이 허공을 더듬어 죄악 같은 몸뚱이에 파랗게 매단 봄, 사람들 머리 위에 각혈하듯 토해놓은, 사람들이 보지 않는.
_〈가로수 새잎〉 p.25

미세먼지 해를 가린 뻑뻑한 허공을 저으며 줄지어 날아가는 새의 가족. 홀아비가 된 시인 형들과 내가 낳은 가난한 아이들도 거기 함께 어기영차 날아간다. 나도 날아간다. 저토록 힘찬 슬픔이라니! 끈도 없이 서로를 놓치지 않는구나.
_〈힘찬 슬픔〉 p.230

안개처럼 흩어져 세계를 구축하는 기억. 지우려는 자도 기억할 것이고, 지워진 자도 이미 어떤 기억이다. 기억을 지운 자리도 기억이어서 뿌리를 떠나지 않은 마른 콩대들 눈 덮인 묵정밭에 솟았다.
_〈겨울밭〉 p.60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시인의 붓끝에 차오른 슬픔과 아름다움
김주대의 문인화 125점

그림 그리는 시인, 김주대의 문인화첩 『시인의 붓』이 출간되었다. 『창작과 비평』을 통해 등단한 김주대 시인은 1만 3000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페이스북 시인’으로도 유명하다. 5년 전, 페이스북 친구들에게 방법을 물어물어 배워서 서툴게 문인화를 그리기 시작한 시인은 이제는 믿을 수 없이 정교한 붓질로 깊고 너른 작품 세계를 펼쳐 보인다. 시와 그림이 조화를 이룬 그의 문인화는, 글과 그림이 각자 줄 수 있는 감동의 합, 그 이상을 불러일으킨다.

이 책은 『한겨레』 신문에 ‘시인의 붓’이란 코너를 통해 연재한 작품과, 페이스북을 통해 근래에 발표한 작품 등 총 125점의 작품을 엮은 시인의 두 번째 시화집이다. 깨진 사발부터 길고양이까지, 명절 때 못 내려간 사람들이 밝힌 불빛으로 빼곡한 도시의 풍광부터 눈으로 뒤덮인 적막한 묵정밭까지, 시인의 내면과 세상만사가 교차하며 삶의 본질과 근원을 향한 질문을 던진다.
격정과 성찰로 그려낸
삶의 민낯들

책에 실린 문인화 125점의 소재는 매우 다양하다. 1부는 사시사철의 다정한 풍경을, 2부는 그릇, 연적 등 일상의 소품을 모았다. 3부는 어르신의 여러 모습을 통해 삶을 통찰한다. 4부는 해태, 석탑, 불상 등 우리나라 불교 미술과 공예를 시인의 눈으로 재해석했다. 5부는 어린아이와 동물을 통해 기쁨을 그렸다. 6부는 도시와 골목의 풍경을, 7부는 시인의 일상을 담았다.

일찍이 김주대의 시는 ‘우리 시단에 매우 드문, 격정과 성찰의 결속’(유성호 문학평론가, 〈감각과 기억과 서사의 미시물리학〉, 『사랑을 기억하는 방식』 130쪽)이란 평가를 받은 적 있다. 그의 문인화 역시 시와 마찬가지로 격정과 성찰의 사이를 오간다. 진솔하면서 인간적인 토로가 있는가 하면 내향적이고 반성적인 인내와 성찰이 공존한다. 역동적이면서 잔잔하다. 세상을 향해 외치는 동시에 홀로 떨어져 자신의 삶을 돌아본다. 그 삶은 고마운 사람들과 미안한 사람들 그리고 그들에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는 자기 자신으로 가득 차 있다. 김주대 시인의 글과 그림을 읽다 보면 우리는 어느새 자신의 그리운 사람들을 떠올리게 된다. ‘생각함에 사악함이 없다(思無邪)’는 말은 이런 그림과 글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그림은 시의 시각적 확장이에요.
시는 제 작업의 기본이자 최종 목적지입니다”

“제 그림은 문인화의 전통 위에 서 있다고 믿습니다. 애초에 시가 없었으면 그림이 있을 수 없는 거죠. 제게 그림은 시의 시각적 확장이에요. 시는 제 작업의 기본이자 최종 목적지입니다. 전업 화가들 그림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지는 제 그림이 그나마 인정받는 게 있다면 그건 바로 ‘시적인 발상’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 『한겨레』 2015년 4월 1일 자

김주대 시인은 자신의 그림이 시의 확장이라고 생각한다. 시에서 출발해 시로 도착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의 작품에선 그림과 시가 유기적으로 얽혀 있다. 그림을 보면 시를 읽는 듯한 인상을 받고, 글을 읽으면 이미지가 눈앞에 펼쳐진다. 그의 문인화는 그림과 시가 만나 창조한, 시인 특유의 새로운 세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시 중에 그림 있고, 그림 중에 시 있다’(詩中有畵, 畵中有詩)는 시화본일률(詩畵本一律)의 묘리를 체험적 생활 화법으로 구현해내고 있다. 『시인의 붓』은 시와 그림이 서로 심미적 대화를 나누면서 어느새 독자들을 맑고 고요한 중심으로 인도한다. 시란 말하는 그림이고 그림은 말하지 않는 시라고 했던가. 그는 시를 통해 귀로만 볼 수 있는 풍경을 보여주고, 그림을 통해 눈으로만 들을 수 있는 말을 들려준다.
― 해설 〈어둠으로 그린 높고 위태롭고 환한 길〉 중에서

회원리뷰 (1건) 리뷰 총점10.0

혜택 및 유의사항?
파워문화리뷰 그림으로 듣는 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무* | 2018.10.08 | 추천4 | 댓글0 리뷰제목
그림으로 듣는 시좌충우돌 어디로 튈지 모르는 불안함이 있다. 대놓고 싸움도 하고 당당하게 읍소도 한다. 간혹 미움 받을 상황에 스스로 뛰어들기도 하지만 자신을 둘러싼 불안정한 환경의 모든 것을 품는 가슴을 지녔다. 하여, 밉지 않은 사람이다. 페이스북에서 글로 만나는 김주대 시인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이 이렇다는 것이다.   그의 시집 ‘사랑을 기억하는 방식’;
리뷰제목

그림으로 듣는 시

좌충우돌 어디로 튈지 모르는 불안함이 있다. 대놓고 싸움도 하고 당당하게 읍소도 한다. 간혹 미움 받을 상황에 스스로 뛰어들기도 하지만 자신을 둘러싼 불안정한 환경의 모든 것을 품는 가슴을 지녔다. 하여, 밉지 않은 사람이다. 페이스북에서 글로 만나는 김주대 시인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이 이렇다는 것이다.

 

그의 시집 사랑을 기억하는 방식이후 그리움은 언제나 광속그리고 시인의 붓에 이르기까지 좌충우돌하는 일상의 모습과 날마다 몰라보게 변화되어가는 그림을 만나는 즐거움은 결코 놓치고 싶지 않은 일상이다.

 

이 책은 한겨레신문에 시인의 붓이란 코너를 통해 연재한 작품과, 페이스북을 통해 발표한 작품 등 총 125점의 작품을 엮은 시인의 두 번째 시화집이다. 사시사철의 다정한 풍경, 일상의 소품, 어르신들의 여러 모습, 불교 미술과 공예, 어린아이와 동물, 도시와 골목의 풍경, 시인의 일상 등으로 테마별로 세분화된 이야기를 담았다.

 

죽어서 오는 사람은 꽃으로 온다더니 꽃이 피기 시작하였다. 꽃 냄새, 꽃 냄새, 그대 여기서 멀지 않구나.” <다시 봄

 

잘린 목에서 자란 팔, 베어진 어깨에서 빠져나온 손이 허공을 더듬어 죄악 같은 몸뚱이에 파랗게 매단 봄, 사람들 머리 위에 각혈하듯 토해놓은, 사람들이 보지 않는.” 가로수 새잎

 

뒷산 진달래꽃 피는 소리 붉다. 모으면 한 독도 채우겠다. 그대 숨소리에 젖던 첫날처럼 몸이 붉어진다.” 진달래꽃

 

눈으로만 들을 수 있는 말이 있다.” <

 

한마디로 끝내주는 그림이다. 특히 고양이 그림 앞에선 꼼짝을 못한다. 조선 숙종 때의 화가 변상벽의 고양이 그림을 생각나게 한다. 고야이의 눈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나 스스로를 보는 듯 착각이 일어날 정도다.

 

그림은 시의 시각적 확장이에요.

시는 제 작업의 기본이자 최종 목적지입니다

 

촌철살인에 위트 절묘한 상황묘사에 이르기까지 한 폭의 그림에 마음이 머무는 시간이 퍽이나 길다. 거기에 어우러지는 화제까지 마음에 얹으면 하루에 한 점에 멈추기도 한다. 한권의 화첩을 다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지를 짐작하는 건 의미가 없다. 이 모든 것의 출발은 그가 시인이라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김주대 시인만의 시의 운율이 그림 속에서 독특한 리듬으로 살아난다.

 

김주대 시인의 가슴으로 담아낸 사람과 세상의 이야기가 꽃으로 피었다.

댓글 0 4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4

한줄평 (1건) 한줄평 총점 10.0

혜택 및 유의사항 ?
구매 평점5점
너무 멋진 책입니다. 뭉클거리는 시와 그림이 마음을 따뜻하게 합니다.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YES마니아 : 골드 n******y | 2021.10.19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8,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