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45,000
10 40,500
YES포인트?
2,2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4
추천사 1 (송태근 박사: 삼일교회 담임목사) 7
추천사 2 (김병모 박사: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9
추천사 3 (조석민 박사: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11
추천사 4 13
저자 서문 16
역자 서문 32
약어표 34


서론



제1장 장르와 역사적인 문제들 93

1. 복음서 장르와 관련된 제안들 95
1) 민속 문학 혹은 회고록? 97
2) 소설과 드라마 104

2. 전기 111
1) 그리스-로마의 전기와 역사 113
2) 역사는 어떻게 기록되었는가? 126
3) 특정한 저서의 정확성 평가 139
4) 유대의 전기 저술 관습 143

3. 역사적 전기로서의 복음서들 152

4. 비정경의 복음서 전승들 164

5. 제4복음서의 자료비평 170

6. 요한복음, 역사적 전승, 그리고 공관복음 176

7. 요한과 역사적 전승 183

8. 요한의 독특한 문체와 복음서 양식의 각색 193

9. 결론 203



제2장 제4복음서의 강화 206

1. 구전 전승, 필기, 기억 209
1) 구전 문화 209
2) 필기 212
3) 제자들, 배움, 암기 215
4) 연설의 암기 223
5) 담화 전승 226

2. 논쟁 양식 233

3. 요한의 강화와 고대의 연설 저술 239
1) 해석적인 사건으로서의 연설 240
2) 어떤 유대 역사가의 연설들 245
3) 더 정확한 연설들 248
4) 문체의 자유 252

4. 요한복음 강화의 특별한 요소들 256

5. 결론 264


제3장 저자권 266

1. 누가 제4복음서를 썼는가? 269

2. 사도 요한 271
1) 내적인 증거 273

(1) 사랑하는 제자의 정체
(2) 웨스트코트의 제거의 과정

2) 교회 전통 289

(1) 영지주의와 정통 교회의 견해 일치
(2) 2세기 정통 교회와 제4복음서
(3) 파피아스와 장로 요한

3) 다른 외적인 증거 305
4) 기타 반론들 310

3. 편집의 차원? 321
1) 레이몬드 브라운의 공동체 발전 이론 323
2) 초기 기독교의 요한 진영 330
3) 요한학파 332
4) 사랑하는 제자와 저자의 구분 336
5) 제4복음서는 대대적으로 편집되었는가? 339

4. 저자권에 관한 결론 344

5. 보혜사와 영감에 관한 내적인 주장들 346
1) 보혜사와 요한복음의 구성 350
2) 강화의 선지자적 구성? 352
3) 영감의 성질 358
4) 영감에 관한 결론 362

6. 저자와 다른 요한 문헌 363
1) 요한복음 vs. 요한서신 364
2) 요한복음 vs. 요한계시록 371

(1) 어휘의 차이?
① 두 책의 공통적인 언어
② 상황이나 장르에 기인한 차이점들
③ 어휘를 근거로 한 주장들

(2) 신학적인 차이?
① 신학적인 유사성
② 묵시적 세계관의 유사성

(3)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에 관한 결론



제4장 사회적인 상황 403

1. 연대 404

2. 기원과 청중의 소재지 410

3. 요한 공동체는 종파주의자들이었는가? 425

4. 일반적인 동지중해 배경 431

5. 일반적인 이방인 배경 438
1) 일반적인 헬라 배경 439
2) 요한 공동체의 이방인 구성원 445
3) 인도의 불교? 448
4) 신비주의적 배경? 451

6. 영지주의와 제4복음서 452
1) 요한복음 안에 영지주의의 특성이 있는가? 454
2) 나그함마디 문서, 헤르메스주의 문헌, 만다야교 458
3) 유대교 영지주의? 464
4) 기독교 이전의 영지주의 468

7. 복음서의 사마리아 배경 471


제5장 유대교의 환경 473

1. 요한복음의 유대성 476

2. 디아스포라 유대교의 배경 482

1) 어떤 종류의 디아스포라 유대교인가? 483
2) 로마 속주 행정부와의 관계 485

3.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환경? 493

1) 방법론 493
2) 초기 유대교의 다양성 496
3) 부기: 요한 문헌 연구에서 랍비 문헌의 가치 505
(1) 신약 학계와 랍비 문헌
(2) 누스너의 미니멀리즘
(3) 일부 전승에 관한 외적인 증거
(4) 전승비평에서의 난제들
(5) 결론

4. 회당과의 갈등 530

1) 갈등에 관한 학계의 논의 531

2) 신학적인 문제 539
(1) 교회론
(2) 성경론
(3) 기독론
(4) 성령론
3) 회당에서 환영받지 못함 558
4) 이러한 배경에서 요한복음의 목적 573

5. “유대인들”과 요한의 아이러니 575
1) “유대인”의 부정적인 사용 579
2) 요한복음의 “유대인”에 관한 이전의 논의들 586
3) 제4복음서의 아이러니의 사용 595
4) 제자들의 유대성 602
5) “유대인”과 요한의 삶의 정황: 바리새파의 권력 604
6) 결론 606
6. 갈릴리 vs. 유대 607
1) 갈릴리 사람들은 얼마나 “정통”이었는가? 608
2) 갈릴리인들은 폭도들이었는가? 612
3) 도시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차이 613
4) 엘리트의 소재지 614
5) 신학적인 동기 615

7. 결론 617


제6장 계시의 모티프: 지식, 봄, 표적 618

1. 하나님을 아는 지식 620

1) 헬레니즘의 지식의 특별한 개념 622

(1) 헬레니즘의 지식
(2) 헬레니즘과 자기를 아는 지식
(3) 헬레니즘의 신을 아는 지식
(4) 요한과 영지주의의 지식

2) 여러 유대교 자료의 지식 634

(1) 필로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

(2)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지식
① 쿰란 문서의 지식
② 하나님을 아는 것에 관한 다른 유대교의 개념들
③ 구약의 기초

3) 요한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 642

(1) 용어의 분포

(2) 요한복음의 지식에 대한 강조

2. 계시적인 봄 650
1) 헬레니즘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0
2) 더 헬라화된 유대교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3
3) 덜 헬라화된 유대교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6
4) 제4복음서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8

3. 고대 시대, 예수 전승, 제4복음서의 표적 660
1) 요한의 표적 자료 661

2) 고대의 기적들과 기적 기사들 663
(1) 기적 기사들에 관한 이교의 평행들
(2) 이교 전승에서 기적을 행하는 자들
(3) 복음서 기적에 관한 유대교의 평행들

3) 예수 전승 기적들의 역사적인 평가 672
(1) 초기 기독교와 고대의 다른 기적 이야기들 사이의 차이점
① 초기 기독교와 이교의 기적 이야기들의 차이점
② 예수님의 기적들과 유대 전승의 기적들의 비교
③ 예수님의 기적의 평행과 진위

(2) 기사들의 역사적 진정성
① 고대 기사들의 회의적인 해석
② 자연 기적들
③ 기적에 관한 현대의 회의주의

4) 기적과 예수님의 정체 698
(1) 신적인 사람에 관한 가설
(2) 카리스마적인 이적을 행하는 자

5) 표적의 기능 708
(1) 증명으로서의 표적
(2) 제4복음서에서 표적의 목적
(3) 표적-믿음
(4) 성경적 암시로서의 표적-믿음

4. 결론 724


제7장 기독론과 기타 신학 725

1. 요한의 기독론의 요점 727

2. 요한의 기독론의 독특성 732

3. 그리스도 734
1) 유대교의 메시아 대망 735
2) 메시아 대망 안의 다양성 740
3) 예수님과 메시아 746

4. 하나님의 아들 751
1) 그리스-로마의 하나님의 아들들 751
2) “하나님의 아들”의 유대교 용례 757
3) 초기 기독교와 요한복음의 아들 됨 762

5. 주님 765


6. 초기 기독교 전승에서 예수님의 신성 767

1) 헬라의 신격화 혹은 유대교의 유일신 사상? 768

2) 지혜 기독론 772

3) 요한의 기독론과 기독교 전승 775
(1) 공관복음 전승에서 하나님이신 예수님?
(2) 다양한 그러나 상호 보충적인 기독론들

7. 대리인 모티프 793
1) 고대 사회에서 대리인 793
2) 신약 배경으로서 유대의 대리인? 796
3) 대리와 사도직의 의미 800
4) 대리에 관한 요한의 용례 806

8. 비전통적인 기독론적 이미지 811

9. 기독론에 관한 결론 816

10. 요한의 다른 주제들 817
1) 실현된 종말론 817
2) 사랑 824
3) 믿음 828
4) 생명 833
5) 세상 837

11. 결론 839


참고문헌 840

저자 소개2

크레이그 S. 키너

관심작가 알림신청

Craig S. Keener

신약 배경사 및 주석 분야의 세계적인 신약학자다. 신약과 기독교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스턴 침례신학교에서 15년 가까이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필라델피아 소재 아프리카계 미국인 침례교회의 협동 목사로 섬겼으며, 현재는 켄터키주 윌모어에 위치한 애즈버리 신학교의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4년에서 2019년까지 「불레틴 포 비블리컬 리서치」(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의 편집자로 활약했으며, 많은 신약 관련 주석과 논문을 저술했다. 2020년에 미국 복음주의 신학회(Evangelical Theological S
신약 배경사 및 주석 분야의 세계적인 신약학자다. 신약과 기독교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스턴 침례신학교에서 15년 가까이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필라델피아 소재 아프리카계 미국인 침례교회의 협동 목사로 섬겼으며, 현재는 켄터키주 윌모어에 위치한 애즈버리 신학교의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4년에서 2019년까지 「불레틴 포 비블리컬 리서치」(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의 편집자로 활약했으며, 많은 신약 관련 주석과 논문을 저술했다. 2020년에 미국 복음주의 신학회(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의 의장으로 섬겼다. 저서로는 『IVP 성경배경주석』(IVP), 『요한계시록: NIV적용주석』(솔로몬), 『오늘날에도 기적이 일어날 수 있는가?』 『현대를 위한 성령론』 『예수 그리스도 전기』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성령 해석학』(이상 새물결플러스), 『키너 요한복음 1, 2, 3』(CLC) 등이 있다.

크레이그 S. 키너의 다른 상품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와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원,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외국의 문학을 아름다운 우리 글로 옮기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역서로 프레드릭 포사이드의 『오페라의 유령2』, 『인디언 서머』, 제인 오스틴의 『엠마』와 『맨스필드 파크』, 토니 애버트의 『드룬의 비밀』, 리처드 바크의 『페렛』, 케빈 길포일의 『그림자의 무게』,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음식』 등 다수의 문학작품과 『메시아의 탄생』(CLC, 2014), 『키너 요한복음 1, 2, 3』(CLC, 2018)『메시아의 이름들』(CLC, 2018), 『고대 근동 신들과의 논쟁』(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와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원,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외국의 문학을 아름다운 우리 글로 옮기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역서로 프레드릭 포사이드의 『오페라의 유령2』, 『인디언 서머』, 제인 오스틴의 『엠마』와 『맨스필드 파크』, 토니 애버트의 『드룬의 비밀』, 리처드 바크의 『페렛』, 케빈 길포일의 『그림자의 무게』,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음식』 등 다수의 문학작품과 『메시아의 탄생』(CLC, 2014), 『키너 요한복음 1, 2, 3』(CLC, 2018)『메시아의 이름들』(CLC, 2018), 『고대 근동 신들과의 논쟁』(새물결플러스, 2017), 『가장 잘못 사용된 성경 구절』(새물결플러스, 2015) 등의 신학작품 들이 있다.

이옥용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11월 02일
쪽수, 무게, 크기
1008쪽 | 153*224*60mm
ISBN13
9788934118787

책 속으로

저자가 자기 저서를 고칠 수 있었던 것은 확실하지만, 저서들의 다양한 판본이라는 이미지는 14세기 이전에 인쇄기가 나오기 이전에는 사람을 “다소 호도할 수” 있었다. 필자의 견해로는, 만약 요한복음이 아마도 회람되지 않았던 초기의 초고 단계를 제외하고, 더 이전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면, 그것은 아마도 사랑하는 제자 혹은/그리고 제4복음서 저자가 설교했던 구전의 형태(oral form)였을 것이다. - p. 173


이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장로 요한은 다름 아닌 사도 요한이었을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 또한 앞서 필자는 “사랑하는 제자”는 열두 제자 중 한 명이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다른” 요한이 있을 가능성은 없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 p. 305


복음서의 영감의 개념은 초기 기독교가 나중에 정경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결과는 아니다. 제4복음서의 저자와 첫 번째 독자들(first readers)은 틀림없이 영감을 가정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수님이 그 문서의 기초이며 문서 안에서 말한다고 확신했기 때문에 그 문서의 권위를 인정했다. - p. 362


예수님은 분명히 자신의 사명, 즉 고난과 승귀 둘 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니엘서 7장의 인자와 관련해서 정의했다. - p. 780

--- 본문 중에서

추천평

본서를 통해 저자는 설교자로 하여금 요한복음의 세계 속으로 깊이 빠져들게 한다. 요한복음이 기록된 당시의 정황들, 요한복음을 연구하는 다양한 해석자들의 견해는 텍스트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진의를 파악하게 하는 데 훌륭한 안내자가 된다. 본서를 통해 한국 교회의 강단이 한층 더 단단히 서기를 소원하며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 송태근 (박사 | 삼일교회 담임목사)
본서는 요한복음을 제대로 연구하려는 사람들이라면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아니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무게 있는 주석서이다. 이 땅의 많은 목회자들, 신학생들, 그리고 성도들이 본서를 통하여 깊은 울림이 담겨 있는 요한복음의 메시지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을 기대하면서, 본서를 기꺼이 추천한다. - 김병모 (박사 |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요한복음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가르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복음서를 사랑하며,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적용하려는 모든 독자들과 이 복음서를 연구하며 설교하려는 신학생들 및 목회자들에게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 조석민 (박사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40,500
1 4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