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내 마음의 지도 _ 김선우 11
그 외발 소년은, 무사히 집에 잘 돌아갔을까 _ 박형준 29 시성(詩聖)의 숨결 밴 땅에서 자연과 교감하는 삶을 만나다 : 샨티니케탄에서 콜카타까지 _ 박형준 41 잃어버린 여행 가방 _ 박완서 51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묘소 타지마할 _ 법정 63 날마다 죽으면서 다시 태어난다 _ 법정 75 나의 시체를 미리 태운 바라나시 _ 동명 87 별을 찾아서 _ 신경림 107 인도 소풍, 나는 아직 수염을 깎지 않았다 _ 문인수 117 소중한 만남 _ 이해인 139 속도, 그 수레바퀴 밑에서 _ 나희덕 151 고독한 원시의 시간, 라다크 _ 이재훈 169 바람의 계곡 라다크 투르툭에서의 이틀 _ 이재훈 187 갠지스강에서의 이별 _ 강석경 199 |
저박완서
관심작가 알림신청朴婉緖
박완서의 다른 상품
저법정
관심작가 알림신청法頂,박재철
법정의 다른 상품
저신경림
관심작가 알림신청申庚林
신경림의 다른 상품
저이해인
관심작가 알림신청李海仁
이해인의 다른 상품
저문인수
관심작가 알림신청文仁洙
문인수의 다른 상품
저강석경
관심작가 알림신청姜石景
강석경의 다른 상품
저나희덕
관심작가 알림신청羅喜德
나희덕의 다른 상품
동명
차창룡의 다른 상품
저박형준
관심작가 알림신청朴瑩浚
박형준의 다른 상품
저김선우
관심작가 알림신청Seon Woo Kim,金宣佑
김선우의 다른 상품
저이재훈
관심작가 알림신청이재훈의 다른 상품
인도를 여행하는 일은 어딘가 아파지는 일이다. (…) 아파진 후 문득 성장해 있는 자신을 발견하는 기쁨. 인도 여행이 ‘순례’라는 이름에 적합해지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리라.
---「내 마음의 지도」중에서 저 생판 얼굴을 모르는 인도 소년과 아버지, 들판이라는 액자 속에서 겨우 한 귀퉁이를 차지하고 있는 작은 길 위에 펼쳐진 풍경이 또 한 번 나를 유년 시절로 되돌려 보냈다. 일을 끝내고 들판에서 돌아오는 아버지를 동구 밖에서 기다리다가, 지게를 짊어지고 오는 아버지가 저쪽에서 나타나면 신이 나서 껑충껑충 뛰며 앞장서 아버지를 인도하던 그때로. ---「그 외발 소년은, 무사히 집에 잘 돌아갔을까」중에서 나는 인도 대륙에서 일찍이 그 어디에서도 배우지 못했던 삶의 양식을 많이 배웠고, 또 나 자신도 모르고 살아온 그 인내력을 마음껏 실험할 수 있었다. 인도는 나에게 참으로 고마운 스승이었음에 거듭 머리를 숙이고 싶다. ---「날마다 죽으면서 다시 태어난다」중에서 바라나시는 시바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많은 신이 함께 공존한다. 신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온갖 인간들도 공존한다. 성자로부터 마약쟁이, 깔끔한 공무원으로부터 양아치까지, 사제로부터 장사꾼까지, 온갖 사람들이 바라나시라는 독특한 오케스트라를 연주하고 있다. 신과 인간의 공동체가 이곳에 있고, 선과 악의 공동체가 여기에 있으며, 성(聖)과 속(俗)의 공동체가 이 땅에 있는 것이다. ---「나의 시체를 미리 태운 바라나시」중에서 나를 따라온 모든 속도가 그 그늘 아래서 숨을 멈추고, 오랫동안 잊었던 또 하나의 내가 비로소 숨 쉬기 시작하는 느낌이었다. 마치 내가 기대어 앉은 나무의 나이테가 처음 생겨나기 시작했을 때부터 거기 그렇게 앉아 있었던 것만 같았다. ---「속도, 그 수레바퀴 밑에서」중에서 |
인도를 여행하는 일은 어딘가 아파지는 일
시작은 분명 여행이었다. 한 달을 주기로 먹고살아야 하는 버거운 일상, 플래너를 꽉 채운 약속들을 피해서 좀 쉬기 위해 떠난 여행이었다. 갠지스강에서 몸을 씻는 순례자들, 떠돌이 개들이 어슬렁거리고 소들이 태연하게 주저앉아 있는 길, 그것을 무심하게 쳐다보고 있는 사람들. 그곳에 가면 하루가 아주 느리게 흘러갈 것 같았고, 문명과 약간 거리를 둔 채 잠시만이라도 자연에 스며들 수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공항에 내리는 순간, 알게 된다. 인도는 결코 여행객에게 우호적인 곳이 아니라는 사실을. 특히 기본적인 생리 문제에 조금도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던 문명국가의 사람들에게 대단히 불친절한 곳이라는 것을. 반듯하게 잘 갖추어진 체계에 익숙한 이들에게 인도는 혼란스럽고 비위생적이며 지루하다. 이때부터 여행은 고행이 된다. 시인 김선우의 말대로 “인도를 여행하는 일은 어딘가 아파지는 일이다.” 인도 여행 에세이집 『나의 인도』에 작품을 실은 11명의 작가는 저마다 다른 시선으로 인도를 바라본다. 그러니 인도에 대한 기억 역시 제각각이다. 누군가는 인도 여인의 검은 눈동자로 기억하고(문인수), 어떤 이는 릭샤의 페달을 밟던 소년의 종아리에 불거진 힘줄로(나희덕), 또 어떤 이는 버닝 카트(갠지스강가의 화장터)에서 타오르던 불꽃으로 떠올리며(동명), 마더 데레사와 자원봉사자들의 따뜻한 손길을 통해 인도를 추억한다(이해인). 자신의 마음 풍경에 따라 인도는 모습을 달리한다. 그러다가 문득 깨닫는다. 아프면서도 아픈 줄 몰랐던, 병들었으면서도 병든 줄 몰랐던 시간을. 그들이 아픈 이유는 인도 때문이 아니다. 병인(病因)은 인도 이전의 삶에 있었다. 인도는 나에게 참으로 고마운 스승 시인 나희덕은 각종 가축과 릭샤와 자동차와 자전거와 오토바이가 서로 다른 속도로 내달리는 인도의 도로 위에서 불안함을 느낀다. 더군다나 도심을 벗어난 대부분의 도로에는 차선도 없고 신호등도 없다. 하지만 한국에서라면 출퇴근길에 일상적으로 접하던 교통사고를 단 한 번도 목격하지 않았다는 데 생각이 미친다. 각종 교통 체계와 안전장치 안에서 위험이 통제되고 관리되고 있다는 착각 속의 ‘은폐된 위험’이 사실은 더 위험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인도는 투박하고 거칠고 혼란스러운 모습으로 가르침을 준다. 달리던 기차가 들판 위에서 갑자기 멈추면, 교행해서 지나가던 기차도 멈추어 선다. 그러면 느닷없이 두 기차 사이로 긴 골목이 만들어지고 사람들이 몰려나와 서로 인사를 나누고 장사꾼들은 물건을 판다. 시계에 삶을 맡겨 버린 이들에게는 이 즉흥적인 사건이 당혹스럽기 그지없지만, 인도에서는 그게 일상이다. 때때로 모든 것이 일시에 정지해 버리고 계획표대로 움직이는 삶을 포기하게 만든다. 작가들은 그 뜻하지 않은 멈춤 표지 앞에서 먼 들판을 바라보고 낯선 이들과 인사를 나누며 뜻깊은 생의 한순간을 지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모든 것을 효율과 능률로 가치를 매기는 문명 속의 시간을 향해 쓴웃음을 짓게 만든다. 『나의 인도』에 담긴 14편의 에세이가 여느 여행 에세이와 갈라지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낭만’은 눈을 씻고 찾으려야 찾을 수 없다. 작품 속 풍경들은 가난하고 더럽고 무질서하다. 그리고 아프다. 오래 간직했다가는 계속 가슴이 시릴 것 같아서 두고 올 수밖에 없었던 그 무언가를 자꾸만 끄집어낸다. 마주할 자신이 없어서 피하고 싶었던 어떤 것을 건드린다. 그것은 결코 언어로 규정할 수 없는 ‘무엇’이다. 바쁘고 각박하게 사는 것이 이 시대의 미덕이라고 치부하며 감추어 온 바로 ‘그것’이다. 작가들은 인도를 여행하면서 스스로 아파지는 선택을 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뒤 그 선택이 14편의 글로 남았다. 오랫동안 잊었던 또 하나의 내가 비로소 숨 쉬기 시작하는 느낌 인도는 땅덩어리가 넓은 만큼 각 지방마다 풍토가 달라진다. 우연찮게도 『나의 인도』에 참여한 작가들의 여행지는 북쪽의 라다크로부터 남부의 첸나이, 동쪽의 바라나시와 서쪽의 뭄바이까지 고루 분포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적 다양성은 이 책에서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왜냐하면 작가들이 여행한 인도는 그냥 인도가 아니라 ‘나의 인도’였기 때문이다. 그들의 인도 여행에 동행한 이는 다름 아닌 그들 자신이었다. 지치고 아프고 조금씩 속물이 되어 가는 그들을 가이드한 존재는 보다 시원(始原)에 가까운 오래전의 ‘나’ 또는 먼 훗날의 ‘나’였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뱀이 허물을 벗듯 인도에서 자신이라는 시체를 태우고 다시 태어난다. 법정 스님의 표현대로 “우리는 순간순간 죽어 가면서 다시 태어”나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인도 여행은 죽음과 소멸을 통해 새로운 삶을 맞이하는 시간이었다. 모든 것이 정지한 듯한 공간 속에서 오롯이 멈추고 내려놓는 순간, “오랫동안 잊었던 또 하나의 내가 비로소 숨 쉬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여행이었다. 그들에게 인도가 특별했던 이유이고, 이 책 『나의 인도』가 특별한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