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2년 06월 07일 |
---|---|
쪽수, 무게, 크기 | 344쪽 | 548g | 153*224*30mm |
ISBN13 | 9788992825634 |
ISBN10 | 8992825633 |
출간일 | 2012년 06월 07일 |
---|---|
쪽수, 무게, 크기 | 344쪽 | 548g | 153*224*30mm |
ISBN13 | 9788992825634 |
ISBN10 | 8992825633 |
오늘 우리에게 새 희망을 줄 “2천 년의 지혜” 『사도신경』은 밀리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인 『무지개 원리』의 저자 차동엽 신부의 신작으로, 그리스도교의 신앙고백인 「사도신경」을 현대인의 삶에 밀접한 언어로 풀이한 책이다. 비전을 찾고있는 이들과 교회의 위기를 말하는 이들에게, 저자는 사도신경에서 건져 올린 그리스도교 신앙과 기도의 중심을 고백한다. 이 책은 '올바른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잘못 믿으면 믿어도 헛것이 된다. 믿어서 영원한 생명을 얻는 것이 아니라 파멸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믿음에는 중심이 필요한데, 저자는 이 '신앙의 중심'을 사도신경에서 찾는다. 총 21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PBC TV에서 방영 중인 ‘사도신경’ 강의 엑기스가 통으로 집약되었다. 특히, 누가 읽어도 이해되기 쉬운 스토리텔링적 설명과 체계적인 구성이 돋보인다. 그래서 이 한 권만 읽어도 그리스도교의 '중심'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더 깊은 영성에 눈뜨게 하고, 더 높은 희망을 바라보도록 깨우쳐 주는 저자의 단상이 페이지마다 반짝인다. |
추천사 헌사 1. 프롤로그 2. 나는 믿나이다 3. 전능하신 천주 성부 4. 천지의 창조주 5.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 6.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 마리아께 잉태되어 나시고 7. 본시오 빌라도 통치 아래서 8. 고난을 받으시고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시고 묻히셨으며 9. 저승에 가시어 사흗날에 죽은 이들 가운데서 부활하시고 10. 하늘에 올라 전능하신 천주 성부 오른편에 앉으시며 그리로부터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 11. 성령을 믿으며(1): 성령강림 12. 성령을 믿으며(2): 은사계발 13.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1): 우리가 교회다 14.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2): 성사인 교회 15. 모든 성인의 통공 16. 죄의 용서 17. 육신의 부활 18. 영원한 삶(1): 종말 19. 영원한 삶(2): 은총이 흐르는 삶 20. 아멘! 21. 에필로그 |
모태신앙인 나는 어릴 때부터 사도신경을 외우고 있었지만 사실 내용을 자세히 알지는 못했다. ‘사도신경’을 읽고 간파했던 부분들이 ‘아!’ 소리가 나게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쓴 저자는 ‘무지개원리’로 유명한 차동엽 신부님이다.
이 책은 신앙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사도신경’을 현대적인 언어로 풀이해 놓은 책이다.
신앙에 관한 유머나 감동적인 이야기를 곁들여 쉽게 읽혀지게끔 쓴 것 같다.
-창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사랑이 충만한 때다. 사랑이 차고 차서 넘치면 창조를 하게 되어 있다. 연인이나 배우자에게 혹은 자녀에게 자꾸 이것저것 만들어 주는 모습을 생각해 보자. 사랑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꾸 뭘 만들어 주고 싶다. 이것이 사랑의 속성이다. 이처럼 하느님은 사랑으로 인간을 창조하셨다.
창조의 원인도 사랑이지만, 창조의 목적도 사랑이다. 결국 하느님은 왜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주셨는가. 사랑을 주고받고 싶어서다. 우리를 당신 사랑의 파트너로 만드신 것이다. 이 사실을 깨달을 때 인간의 위상은 하염없이 격상된다.-
하느님의 창조의 목적이 사랑이고 사랑을 주고받기 위해서 사람에게 자유의지를 주셨다는 말씀이 마음에 와 닿았다. 신앙생활의 많은 부분이 습관적이었던 내게 이 말씀은 힘이 되는 것이다. 찬찬히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사도신경은 신앙인이라면 익숙한 기도문일 것이다. 나 역시 미사 때마다 습관적으로 외워오긴 했는데 이 책을 읽으며 사도신경의 본질에 대하여 생각해 보게 되었다.
사도신경은 주님과 우리가 서로 반씩 맞추어 보는 정표라는 것에 공감을 한다. 그리고 하느님과 우리 사이의 소통에 대하여 고민하게 만든다.
-우리는 3차원 공간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차원에 계신 더 힘 있고, 더 풍요로운 어떤 존재를 향해 우리 방식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3차원의 언어로 '나는 당신을 믿나이다.'하고 위로 '짝' 해 드리면, 주님은 그 초월적인 은총을, 당신의 임재를 '요거'하고 밑으로 짝을 딱 맞춰 주셔서 하나가 된다. 주님의 기운이, 천상의 가치가, 천국이, 사도신경 반쪽을 통해서 마주 내려오는 것이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들에 우리도 반응을 해야 소통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스도께서 백번을 부활해도 내가 부활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나의 부활이 없이는 그리스도의 부활도 헛된 것이라는 이 말.
이 세상에서의 삶에서 소생하여 변화된 삶의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뜻이다. 왜냐 하면 예수님은 지금 살아 역사하고 계시기 때문일 것이다.
-예수님의 말씀과 하느님을 믿는 사람은 그 풍요를, 그 용서를, 그 자비를, 그 지혜를 누리지만, 그래서 이 세상도 신나게 살아가지만 그것을 거부하고, 부정하고, 안 믿는 사람은 그냥 그대로 옛날 그대로 산다. 옛날 그대로 사는 자체가 뭔가? 하느님의 부재다. 이 좋은 삶을 누리지 못하니 그 자체가 심판이라는 말이다.-
하느님을 믿어야 말씀 안에서 자유를 얻는다는 말의 답을 얻은 것 같다. 믿음이 나에게 자유를 줄 때까지 나는 주님을 향하여 열심히 기도하고 그 은혜에 보답해 드려야 할 것이다. ‘사도신경’을 통하여 이런 것을 깨닫게 되었다.
사도신경이 그리스도교 문화의 보물이라고 차동엽 신부는 이야기한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세 가지 보물 즉 성경, 주님의 기도, 사도신경을 공유하고 있다는 말에 동감한다. 교회에 다니는 나에게도 성당에 다니는 친구에게도 이것은 모두 공유하는 것이니 말이다.
“그분께서는 부유하시면서도 여러분을 위하여 가난하게 되시어, 여러분이 그 가난으로 부유하게 되도록 하셨습니다”(2코린 8,9)
‘이렇듯 그분이 낮은 데로 오신 것은 우리를 높은 곳으로 데려가시기 위해서였으며, 가난하게 오신 것은 우리를 부유하게 만들기 위해서였다. 놀라운 교환이다.
나는 예수님의 이 강생을 “저인망 그물을 가지고 내려오셨다”라고 표현하곤 한다. ‘저인망 그물’이 뭔가? 바다 밑까지 쌍끌이로 끌고 다니는 것이다. 저인망으로 오셔서 우리네 가장 밑바닥 인생들을 긁고 다니신 것이다. 더 밑이 없을 정도로 맨 밑에만 긁고 다니신 것이다. 왜? 맨 밑으로 가지 않으면 다 구원을 못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예수님의 ‘저인망 영성’은 감동적이다.’
나는 예수님이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하여 이 땅에 오시고 가난을 실천하신 영성을 ‘저인망 그물’로 표현한 부분이 마음에 와 닿았다.
또 ‘화낼 일을 만들지 마라’ ‘상처는 절대로 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도 깊이 생각할 거리를 주는 부분이었다. 평소에 사람들로부터 상처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했던 나에게 도움이 되는 충고 같았다. ‘상대가 상처를 주려고 해도 내가 안 받아들이기로 작정을 하면 상처가 안 된다’ 안창호 선생의 일화도 멋진 가르침이다.
예수님의 말씀을 통하여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실생활 안에서 깨달아지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