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21세기 환태평양지역의 문화변동과 글로벌리제이션
가격
30,000
5 28,500
YES포인트?
600원 (2%)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서문

01. 동아시아 발전전략과 경제민족주의의 역사적 변동
박상현

02. 중국 지방도시의 도시화와 시민화에 대한 연구
예동근·박유옥

03. 중국의 에너지 정책
정해조·Liekai Bi

04. 시진핑 시대의 중국문화정책
정보은

05. 일본의 해양정책
사토 노리코·김진기

06. 한국-멕시코 문화간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김우성

07. 말비나스 영유권 분쟁
노용석

08. 동남아시아의 도시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나희량

09. 필리핀 2017: 호전적 내치와 줄타기 외교
정법모

10. 인종적 정체성의 수용과 확대: 리영 리 초기시의 몸과 음식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윤희수

11. 아시아-태평양 농식품 무역구조와 기업식량체제의 동향
송인주

12. 남태평양 멜라네시안 권역의 카고컬트와 식민지 건축
곽데오도르·이정욱

저자 소개17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수학하고 사회학과에서 문학석사 및 사회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BK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2013년 이후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박상현의 다른 상품

부경대학교 대학원 중국학과를 졸업했다.
2009년 한국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도시연구, 민족(이민)연구, 국경(이주)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에 미국-멕시코국경을 비릇하여 다양한 국경과 이주, 도시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범위를 환태평양 도시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주요한 사회학저서를 번역하였고 한중 학술교류에 관심을 갖고 학술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예동근 의 다른 상품

부산대학교에서 독문학으로 문학박사, 부경대학교에서 건설관리공학으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글로벌지역학회 전신인 국제지역연구학회 창립회원이며, 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유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독일 에너지정책과 패시브하우스의 성공요인』, 『유럽해양도시재생』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중국에너지산업투자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Extraction and Analysis of Technical Management Factors for Passive Houses in Korea”, “지역연구의 연구방법론(1)” 등
부산대학교에서 독문학으로 문학박사, 부경대학교에서 건설관리공학으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글로벌지역학회 전신인 국제지역연구학회 창립회원이며, 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유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독일 에너지정책과 패시브하우스의 성공요인』, 『유럽해양도시재생』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중국에너지산업투자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Extraction and Analysis of Technical Management Factors for Passive Houses in Korea”, “지역연구의 연구방법론(1)” 등이 있다.

정해조의 다른 상품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교수. 인류학박사이다.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졸업. 「중국 오·사(五·四)시기 지식인의 계몽적 역할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사회학 박사학위 받음. 저서로는 『현대중국학 특강』, 『21세기 환태평양지역의 문화변동과 글로벌리제이션』등. 역서로는 『지식분자와 중국사회』. 논문으로는 「중국 변경, 신장(新疆)지역의 문화적 갈등 심화에 대한 소고」, 「중국 동북진흥전략과 소수민족정책 변화의 함의」등 다수.

정보은의 다른 상품

현재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세계화와 지역연구: 국가의 재등장과 서구중심주의의 극복」(JGA, Vol.6 No.2, 2022), 「문재인 정부 시기 한일갈등을 보는 하나의 시각」(『日語日文學』 第89輯, 2021), 「아베 정권의 방위산업·기술기반 강화전략」(『국방연구』, 제60권 제2호, 2017)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일본의 방위산업: 전후의 발전궤적과 정책 결정』(아연출판부, 2012), 『정치학으로의 산책(제4개정판)』(공저, 한울아카데미, 2020) 등이 있다.

김진기의 다른 상품

사토 노리코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국 다람대학교에서 중동 기독교도들의 정치적 동일성에 관한 사회인류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술활동으로 학술지 “Mediterranean Review” 창간이래 편집위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생태환경과 역사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Memories of the WWI and Interpretations of Japanese Activities in the Mediterranean and Asia” (2019), “Payinga Visit to the Memorials of the Japanese War
영국 다람대학교에서 중동 기독교도들의 정치적 동일성에 관한 사회인류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술활동으로 학술지 “Mediterranean Review” 창간이래 편집위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생태환경과 역사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Memories of the WWI and Interpretations of Japanese Activities in the Mediterranean and Asia” (2019), “Payinga Visit to the Memorials of the Japanese War Dead in Malta” (2019), “The Memory of Sayfo and Its Relation to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Assyrian/Aramean Christians in Syria” (2018) 등이 있다.
멕시코국립대학교에서 스페인어학(사회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중남미 스페인어의 다양성과 통일성』(2021),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오해와 갈등』(2019, 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멕시코의 포용언어 사용에 관한 고찰”(2022), “한국-멕시코 문화간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갈등과 장애요인 연구”(2018) 등이 있다.
2005년 영남대학교에서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관련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국가폭력과 제노사이드에 대한 연구 범위를 라틴아메리카로 넓혀 현재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국가폭력 구조와 과거사 청산, 그리고 민족주의 기원의 양상 등을 연구하고 있다. 부산외대 중남미지역원과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라틴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과거사 청산과 민주주의 수립 과정을 기술한 《라틴아메리카의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기초 입문서 《라틴아메리카의 이해》, 한국과 라틴아메리카의 국가폭력
2005년 영남대학교에서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관련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국가폭력과 제노사이드에 대한 연구 범위를 라틴아메리카로 넓혀 현재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국가폭력 구조와 과거사 청산, 그리고 민족주의 기원의 양상 등을 연구하고 있다. 부산외대 중남미지역원과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라틴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과거사 청산과 민주주의 수립 과정을 기술한 《라틴아메리카의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기초 입문서 《라틴아메리카의 이해》, 한국과 라틴아메리카의 국가폭력 피해자 유해 발굴 과정을 분석한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환태평양 게이트웨이 지리학》(공역)과 《환태평양 연구》(공저) 등이 있다.

노용석의 다른 상품

국립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은행 조사역, 포스코경영연구원 지역연구센터 연구위원,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스위스 University of Bern, World Trade Institute 방문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아시아지역학 석사(수료), 미국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경제, 국제통상, 아세안 경제 등을 주로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화폐의 본질과 화폐·통화시스템의 개혁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국립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은행 조사역, 포스코경영연구원 지역연구센터 연구위원,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스위스 University of Bern, World Trade Institute 방문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아시아지역학 석사(수료), 미국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경제, 국제통상, 아세안 경제 등을 주로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화폐의 본질과 화폐·통화시스템의 개혁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국-베트남 반덤핑분쟁 관련 시사점: 비패턴거래 제외방식을 중심으로’, ‘아세안 역내 분쟁해결제도 연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의 WTO 분쟁 연구: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에 따른 특성 및 과제를 중심으로’, Effects of Urbanization on Economic Growth of Southeast Asia: based on the Williamson’s Hypothesis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WTO 무역분쟁의 이해』, 『쉽게 읽는 WTO와 무역 이야기』, 『아세안의 WTO 무역분쟁 연구』, 『동남아 도시화에 따른 한 동남아 경제협력 방안』(공저), 『글로벌 시대의 신무역학 개론』(공저), 『말씀으로 다시 보는 한국교회』 등이 있다.

나희량의 다른 상품

필리핀국립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필리핀의 도시 빈곤과 국제개발협력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개발 사업이 소외 계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개발에 대한 저항과 투만독Tumandok 토착민 공동체 형성”, “Developmentinduced Dislocat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Poor”, “초법적 살해extrajudicial killing, 위험관리의 아웃소싱?” 등이 있다.

정법모의 다른 상품

필리핀국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1990년대 한국과 필리핀의 통신서비스산업 자유화 정책에 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술 활동으로 현재 학술지 『아시아연구』 편집위원장이며, 한국동남아학회 총무이사와 부회장을 역임했다. 최근 저서로는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2019, 공저), 『동남아의 이슬람화 2』(2017, 공저), 『민주화운동의 세계사적 배경』(2016, 공저), 『나를 만지지 마라 I & II』(2015, 역서), 『동남아의 역사와 문화』(2012, 공역) 등이 있다.

김동엽의 다른 상품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서 수학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국립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채플힐 소재) 영문과에서 풀브라이트 방문 학자로, 버지니아대학교 영문과에서 방문 교수로 연구한 바 있으며, 생태주의적 성향을 보여 주는 미국 작가들에 대한 논문을 꾸준하게 발표해 왔다. 그 가운데 〈《월든》의 생태주의적 지향성에 관한 연구〉(2001)와 〈쏘로우와 현대 미국 생태주의 시의 상관성〉(2002)은 생태주의적 사고의 원형으로서 소로의 《월든》이 지닌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현대 및 동시대의 문학적 성과들과 접목하려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서 수학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국립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채플힐 소재) 영문과에서 풀브라이트 방문 학자로, 버지니아대학교 영문과에서 방문 교수로 연구한 바 있으며, 생태주의적 성향을 보여 주는 미국 작가들에 대한 논문을 꾸준하게 발표해 왔다. 그 가운데 〈《월든》의 생태주의적 지향성에 관한 연구〉(2001)와 〈쏘로우와 현대 미국 생태주의 시의 상관성〉(2002)은 생태주의적 사고의 원형으로서 소로의 《월든》이 지닌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현대 및 동시대의 문학적 성과들과 접목하려는 연구의 결과다. 생태주의 문학 이외에도 미국 소수 인종 시인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했고, 현재는 문학과 영화, 영시와 대중문화의 접점 찾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영미문학의 길잡이》와 《영화로 세상 읽기》 등이 있다.

윤희수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원광대학교 사회적경제연구센터 소속으로 「SSK 글로벌 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먹거리 연구센터」에 참여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시간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농업·기술·생태체계의 자본주의적 현대화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요 연구로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 “소비주의 식생활양식의 형성: 미국의 대량육식문화를 중심으로”, “네덜란드 수출농업의 발전과정”(공저) 등이 있다.

곽데오도르

관심작가 알림신청

KWACK Theodore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원광대학교 사회적경제연구센터 소속으로 「SSK 글로벌 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먹거리 연구센터」에 참여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시간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농업·기술·생태체계의 자본주의적 현대화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요 연구로 “한국의 쇠고기 등급제”, “소비주의 식생활양식의 형성: 미국의 대량육식문화를 중심으로”, “네덜란드 수출농업의 발전과정”(공저) 등이 있다.
가천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이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4월 29일
쪽수, 무게, 크기
469쪽 | 152*225*30mm
ISBN13
9788926899342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