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타인에 대한 감각
미숙하므로 뽐낸다---------- 9 잘난 척하는 사람 상대하는 법---------- 17 자기를 드러내지 않는 자의 힘---------- 21 인생은 인간보다 정직하다---------- 25 보답은 하는 것이지 받는 것이 아니다---------- 31 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37 존재의 무게는 똑같다 누가 대신할 수 없는 존재---------- 45 수업 시절이 필요하다---------- 53 눈에 띄지 않는 사람의 위용---------- 59 엄살 부리지 말고 건강은 각자 알아서---------- 63 살려주세요, 라고 기도한다 ---------- 69 어른의 자세를 갖춘다---------- 75 타인의 고통 타인의 행복이 궁금하지 않은 사람은 불행하다---------- 87 도와주는 사람은 누구인가---------- 91 타인의 고통을 대하는 자세---------- 95 인간의 행복에는 정해진 모습이 없다---------- 99 인간에게 성숙이란 무엇인가 ‘하면 된다’는 인생의 정답이 아니다---------- 107 단념이란 반드시 배워야 할 인생의 지혜다---------- 115 삶의 시간은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 119 수비적인 태도는 자칫 삶을 비겁하게 만든다--------- 127 나이 때문에 서투름이 용서받아서는 안 된다--------- 131 정작 자유를 지키는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135 실패하더라도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한다--------- 141 나만의 특별한 목적을 정하고 이룬다 --------- 145 상대방과 다르면서 비슷하다--------- 149 |
저소노 아야코
관심작가 알림신청Ayako Sono,その あやこ,曾野 綾子,본명 : 三浦知壽子
소노 아야코의 다른 상품
역김욱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욱의 다른 상품
성숙은 모든 것의 숨은 가치를 읽어낼 수 있는 힘
우리는 보여지는 삶에 익숙하다. 성공, 출세, 성장 등 플러스적인 요소를 지향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인간에게 성숙함이란 보이지 않는 가치, 드러나지 않는 삶에도 시선을 보낼 수 있는 능력이다. 어느 날 TV로 올림픽 경기를 보던 소노 아야코는 ‘하면 된다’는 사고방식에 대해 반론 한다. ‘하면 된다’ 라는 말은 마치 정답처럼 고무적이지만, 저자는 오히려 단념이야말로 인생에 필요한 성숙이라고 말한다. 단념이란 패배가 아니라 나름대로 생각하고, 노력하고, 마지막 순간까지 노력해본 사람만이 끌어낼 수 있는 지혜이기 때문이다. 인생은 누구나 노력한 만큼 보답받고 싶어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실패할 때가 있는 법이다. 노력한 만큼 대가가 따라오는 것이라면 세상에 슬퍼할 사람은 없다. 인생은 자연과학이 아니며 성공과 실패를 구별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저자는 예전에 도쿄올림픽 이후 작가협회에서 책을 펴냈던 일화를 떠올린다. 당시 소노 아야코는 ‘하면 된다’에 순종할 수 없는 이유를 써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본인의 글만 책에서 빠진 책이 출간되었다. 상대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는 사람은 피곤하다 성숙은 타인의 존재를 의식한다는 것 자기밖에 모르는 것은 미성숙의 증거다. 상식은 상대의 존재를 의식하는 데서 시작되는 것으로, 상대가 어떻게 나오든 나랑 무슨 상관이냐는 무관심에서 비상식이 비롯된다고 말한다. 타인과 외부 세계에 대한 감각의 부재에서 미숙한 어른이 태어난다. 타인과 나 사이의 성숙함이란 서로에 대한 존중과 균형을 기반으로 한다. 물론 집단과 그 이해관계 속에서 개개인의 존재감이 번번이 무시되던 때와 비교하면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누구에게나 타인의 존재는 여전히 난제다. 그래서 한번쯤 생각한다. 무인도에 살고 싶다고…. 상대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는 사람은 피곤하다. 타인과 외부 세계에 대한 감각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누구나 타인을 이해하고 싶고, 그만큼 이해받고 싶지만 타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며 살아가지는 못한다. 타인은 늘 내 생각처럼 되지 않는다. 우리는 상대방과 결정적으로 다른 어떤 점이 없다. 결정적으로 동일한 것도 없다. 다르면서 비슷하다. 그래서 대립한다. 이처럼 숙명적으로 불순하고 불안정한 인간성의 본질을 알려 하지 않을 때 우리는 어른이 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