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1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소개1 탄생 배경2 엘라스틱서치 구성 및 소개 2.1 엘라스틱서치 2.2 로그스태시(Logstash)2.3 비츠(Beats) 2.4 키바나(Kibana)PART 02 알고 가면 도움이 되는 엘라스틱서치의 API1 집계합수(Aggregations)2 검색 기능(Query DSL)3 스크립트 코딩(Scripting)4 매핑 API(Mapping API)PART 03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Elasticsearch)1 엘라스틱서치 환경 구축 1.1 준비물 1.2 설치 2 키바나 환경 구축 2.1 준비물 2.2 설치 3 엘라스틱서치 분산 환경 구축 3.1 준비물 3.2 설치 4 로그스태시 환경 구축 4.1 준비물 4.2 설치 5 비츠 환경 구축 5.1 준비물 5.2 설치 PART 04 데이터를 적재하는 노하우1 데이터 적재를 위한 준비 2 파일 기반 적재 방법 3 비츠 기반의 데이터 적재 4 로그스태시 기반의 데이터 적재 4.1 다양한 플러그인 4.2 실습 환경 준비 5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의 적재PART 05 적재된 데이터의 확인 및 활용법1 엘라스틱서치 데이터 점검 방법 2 키바나의 인덱스 패턴 등록 2.1 Fields 2.2 Scripted fields 2.3 Source filter 3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 3.1 메뉴영역 4 데이터 속성을 점검하는 방법 4.1 엘라스틱서치 데이터 적재 전에 인덱스를 꼭 만들어라 4.2 인덱스 자동생성 시 Field별 데이터 타입 확인은 필수 5 GIS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Geo Point) 5.1 알고 넘어가기 5.2 인덱스 준비 5.3 데이터 준비 5.4 인덱스 데이터 적재 결과 확인 5.5 지도 시각화PART 06 키바나의 강력한 시각화 기능1 공통 메뉴 2 Discover 2.1 조회 기간 설정 2.2 Search(키워드 검색) 2.3 Filter(Field별 필터 적용) 2.4 Index 선택 기능 2.5 Field 목록 2.6 시계열 차트 2.7 데이터 목록 조회 기능 3 Visualization 3.1 Lens(Beta) 3.2 Area 3.3 Controls(인큐베이팅) 3.4 Data Table 3.5 Gauge 3.6 Goal 3.7 Heat Map 3.8 Horizontal Bar 3.9 Line 3.10 Maps 3.11 Markdown 3.12 Metric 3.13 Pie 3.14 Tag Cloud 3.15 Timelion 3.16 Vega 3.16.1 Vertical Bar 3.17 TSVB 4 Dashboard 5 Canvas 6 Maps 7 Machine Learning 8 Metric 9 Logs 10 APM 11 Uptime 12 SIEM 13 Dev Tools 14 Monitoring 15 Management PART 07 키바나의 시각화 결과를 내 시스템에 적용 1 시각화 기능 임베디드(Export) 1.1 키바나의 시각화 기능 내보내기 1.2 외부로 가져온 대시보드 활용 방법 2 Nginx를 이용한 무인증 키바나 환경 구축PART 08 적용 사례와 활용 아이디어 소개1 엘라스틱서치 도입 시 참고할 내용 2 국내 수출/입 공급망 패턴 분석 사례 3 데이터 품질 확인을 위한 키바나 활용법 4 JAVA에서 대시보드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Import/Export)
이 책의 특징- 엘라스틱서치를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각화 도구 키바나를 집중적으로 배운다.- 데이터 분석가나 개발자의 도움 없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결과물을 응용할 수 있다.- 마우스만으로 데이터를 적재하고 시각화 대시보드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이 책이 필요한 독자?- 엘라스틱서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성해보고 싶은 분- 보유 중인 업무 데이터(액셀, CSV)만으로 고품질의 대시보드를 만들어보고 싶은 분- 운영 중인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을 찾는 분독자대상초중급소스코드 다운로드https://github.com/bjpublic/elasticsearch엘라스틱서치에 곁들여 배포되는 키바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매우 편리한 UI가 특장점인 시각화 플랫폼이다. 키바나 사용자는 키보드를 두드리는 일보다 마우스를 조작하는 일이 더 많다. 엘라스틱서치를 접하는 분들은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반드시 소스 코딩을 해야 한다. 하지만 개인용으로 활용하면서 자신의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일에는 마우스 조작만으로도 다채로운 결과를 얻으리라 생각한다.만일 데이터 분석이 꼭 필요한 일이 생긴다면, 별도의 분석 사업을 수행하든가 시스템을 개편하여 요청에 의해 데이터 분석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엘라스틱서치의 쉬운 사용법을 익혀 데이터를 적재하고 시각화해내는 능력을 획득한다면, 앞으로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활용도를 넓히게 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많은 분이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