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우리들의 세상, 논어로 보다
EPUB
가격
9,000
9,000
YES포인트?
4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소개

목차

세상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창窓’
―『우리들의 세상, 논어로 보다』 책머리에 부쳐

제1부 인仁 사람을 만나다

1장 사람다워야 사람이다
1. 사람에 대한 관심
2. 인仁, 더불어 살기
3.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찾아

2장 사람다움, 가정에서 시작이다
1. 한국의 가정이 위험하다
2. 가정에서 시작하는 사람다움
3. 부모와 자녀, 이렇게 만나자

3장 세상은 나와 하나다
1. 세상을 향한 열린 마음
2. 나와 우리, 그리고 세상
3. 세상과 하나 되는 길

제2부 의義 정의를 행하다

4장 오직 의를 가까이 하고 따르다
1. 구차하게 살지 않으련다
2. 공자, 의義의 기준을 세우다
3. 생각의 칼날 되어

5장 의로운 정치, 무대에 서다
1. 공자, 정치에 뛰어들다
2. 정치는 이것이다
3. 바르게, 의롭게
4. 가정의 사회화, 이상 정치

6장 의로움과 이익을 디자인하다
1. 작은 이익, 큰 이익
2. 의로운 이익추구의 길
3. 자본주의에 의로움의 색채를 더하다

제3부 예禮 문화를 세우다

7장 예를 배워야 산다
1. 예, 삶의 질서
2. 마음이 몸을, 몸이 마음을!
3. 본질과 형식의 조화

8장 조화로움과 질서
1. 조화와 질서, 둘이자 하나
2. 음악에서 완성하다
3. 주고받는 공경과 자유의 경지

9장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예의 문화
1. 희망과 계승의 문화
2. 추모와 공경의 문화
3. 일상이 해답이다

제4부 지智 공부에 빠지다

10장 지혜의 길을 찾다
1. 지식을 넘어 지혜로
2. 배움의 기쁨, 공부의 즐거움
3. 공자, 공부를 즐기다
4. 삶의 지혜를 얻다

11장 공부의 길
1. 배우고 익히니 기쁘다
2.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3. 공부의 향기
4. 앎을 삶으로

12장 공자, 학교를 열다
1. 공자 학교, 꿈꾸는 강의실
2. 열린 학교, 열린 교육
3. 공자의 강의실로

부록 인성가언

저자 소개6

권경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유교철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불확실한 세상을 살아가며 삶의 지향과 방향을 잃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오래된 미래인 고전 속에서 길을 찾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 2010년, 2011년, 2016년에 우수강사상을 수상했으며, 2016년에는 ‘2016 성균관대학교 티칭어워드(SKKU Teaching Award)’를, 2018년에는 ‘공학교육혁신센터 베스트티처상(Best Teacher Award)’을 받았다. 저서로는 『유학, 경영에 답하다』(원앤원북스, 2010), 『자본주의 4.0시대의 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유교철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불확실한 세상을 살아가며 삶의 지향과 방향을 잃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오래된 미래인 고전 속에서 길을 찾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

2010년, 2011년, 2016년에 우수강사상을 수상했으며, 2016년에는 ‘2016 성균관대학교 티칭어워드(SKKU Teaching Award)’를, 2018년에는 ‘공학교육혁신센터 베스트티처상(Best Teacher Award)’을 받았다.

저서로는 『유학, 경영에 답하다』(원앤원북스, 2010), 『자본주의 4.0시대의 유학 리더십』(원앤원북스, 2012), 『내 인생에 힘이 되는 고전명언』(원앤원북스, 2013), 『내 인생에 힘이 되는 논어』(소울메이트, 2015), 『논어』(메이트북스, 2019) 등이 있으며, 『우리들의 세상, 논어로 보다』(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7) 외 다수의 공저가 있다.

권경자의 다른 상품

정병섭

 
1979년 출생. 2002년 성균관대학교 유교철학과를 졸업, 2004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2010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이다. 역서로 『譯註 禮記集說大全 - 王制, 附 鄭玄注』, 『譯註 禮記集說大全 - 月令, 附 鄭玄注』, 『譯註 禮記集說大全 - 曾子問, 附 正義ㆍ訓纂ㆍ集解』, 『譯註 禮記集說大全 - 文王世子, 附 正義ㆍ訓纂ㆍ集解』, 『譯註 禮記集說大全 - 曲禮上, 附 正義ㆍ訓纂ㆍ集解(1~2)』, 『효경주소(공역)』 등이 있다.

정병섭의 다른 상품

김동민

 
성균관대 유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한대 춘추공양학의 성립과 전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이징대학 고급진수과정(연강재단 중국학연구원)을 수료했으며, 성균관대 유학동양학부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조교수이다. 공저로 『동양철학의 자연과 인간』(1998), 『동양사상』(2003) 등이 있고, 번역서로 『중국고전명언사전』(공역, 2004), 『왕부지 대학을 논하다』(공역, 2005), 『동양을 만든 13권의 고전』(공역, 2011), 『국가와 백성 사이의 漢』(2013) 등이 있다.

강보승

 
성균관대학교 성균인성교육센터 선임연구원

고재석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학부대학 교수이자 성균인문동양학아카데미(SKKU-DAH) 주임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졸업하였고, 북경대학 철학과에서 중국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상산어록역주(201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成均論語(2022), 우리들의 세상 논어로 보다(2021), 생활과 윤리 동양윤리와 만나다(2020), 중국고대사상문화의 세계(2008) 등을 출간하였다. 최근 동양 및 한국철학사에 전개된 다원적 세계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형 인성함양 교육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고재석 의 다른 상품

이천승

 

李天承

우리 전통을 소중히 여기는 오랜 가학의 영향을 받으며 전주에서 성장했다. 시대와 동행하지 못하는 전통에 답답함과 굴레를 느끼면서도 그 접점을 찾으려는 기대감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에 입학했다. 의식적으로 유학에서 벗어나려 했지만 오히려 유학의 중심에 깊숙이 들어서는 아이러니에 자주 봉착했다. 전통을 넘어 ‘정통’에 흥미를 느끼고 이에 대해 깊이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흥미의 연장선으로 대학 졸업 후에도 성균관대학교에서 계속 대학원 과정을 다니며 한국 유학을 공부했다. 그 과정에서 한문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 성균관의 한림원을 수료했고, 정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향한 갈망
우리 전통을 소중히 여기는 오랜 가학의 영향을 받으며 전주에서 성장했다. 시대와 동행하지 못하는 전통에 답답함과 굴레를 느끼면서도 그 접점을 찾으려는 기대감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에 입학했다. 의식적으로 유학에서 벗어나려 했지만 오히려 유학의 중심에 깊숙이 들어서는 아이러니에 자주 봉착했다. 전통을 넘어 ‘정통’에 흥미를 느끼고 이에 대해 깊이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흥미의 연장선으로 대학 졸업 후에도 성균관대학교에서 계속 대학원 과정을 다니며 한국 유학을 공부했다. 그 과정에서 한문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 성균관의 한림원을 수료했고, 정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향한 갈망은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에서 3년 동안의 한문연수로 이어졌다.
고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현대적 소통을 위해 중국 사회과학원과 청화대학의 방문학자를 지내기도 하였다. 박사졸업 이후에는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에 근무하면서 유학에 대한 애착을 현대사회에 접목시키려 노력했다. 전북대학교 HK교수를 역임하면서 일상에 뿌리내린 우리네 전통문화의 맥박을 느낄 수 있었다. 조선 후기 유학계의 쟁점이었던 호락논변을 중심으로 한국 유학 전반에 걸친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박사학위논문을 출간한 『농암 김창협의 철학사상연구』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3년부터 성균관대학교에 재직하면서 교육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현재 성균인성교육센터장으로 대학생들의 인성함양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철학사연구회와 한국주자학회 회장을 지내면서 우리 학계의 학술발전을 위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성균관의 한림원에서 한문강의 및 전통문화의 확산에 힘쓰고 있다.

이천승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11월 15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22.62MB ?
ISBN13
9791155504659

출판사 리뷰

제1부 ‘仁: 사람을 만나다’에서는 만물 일체에 기초한 사람다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논어』는 사람이 사람답게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록이다. 제1부는 사람다움의 의미, 그 사람다움의 시작점인 효, 사회관계와 생태계 차원에서 동심원을 그리며 계속 확장되는 인의 실천 등으로 구성했다.

제2부 ‘義: 정의를 행하다’에서는 무한경쟁 시대에 어진 마음에 기초한 정의로움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탐색했다. 올바름을 뜻하는 의는 우리 마음의 저울추이자 방향타이다. 제2부는 정치와 경제 영역에서 의로움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논어』의 세계로 안내한다.

제3부 ‘禮: 문화를 세우다’에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만남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조화를 지향하는 행동 양식인 예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3부에서는 예의 본질과 형식, 예악의 일상화, 그리고 사람의 일생을 관통하는 관혼상제로 살펴보는 예를 맛본다.

제4부 ‘智: 공부에 빠지다’에서는 성공을 위한 지식 추구의 재미없는 공부가 아닌, 삶을 풍요롭고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참다운 지혜 추구의 공부를 살펴보았다. 제4부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학문 공동체 생활을 통해 배움의 기쁨과 공부의 즐거움이 무엇인지 손에 잡힐 듯 그려 보았다.

『논어』가 책상 한켠에 꽂혀 있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생활공간 곳곳에 좋은 글귀가 붙여지기를 소망한다. 그 희망은 세상을 바라보는 또 다른 창에 대한 관심과 공감을 기대하는 마음이다. 그 소망은 지금 바로 여기에서 자기 모습에 의미를 느끼고 세상의 모든 존재와 조화를 이루며 사는 것이 참 행복임을 공유하자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