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_05한국어판 서문 _111장 - 난세의 악동가장 익숙하고도 가장 낯선 사람 _19인연이 만들어준 기회, 환관의 아들 _24평범하지 않은 교육과정 _32용감한 자의 놀이, 유협 _362장 - 당고의 화명사에게 인정받기 _49상아탑 밖에서 일어난 피의 투쟁 _54정면 돌파, 황제에게 상소를 올리다 _653장 - 벼슬길에 오르다실패는 또 다른 성공 _75명사의 호평 _77난세의 간웅, 검증 완료 _80효렴孝廉은 결국 돈과 권력이다 _844장 - 권문귀족 때려잡기뜻대로 안 되는 사마방(司馬防) _93매우 쳐라, 죽도록 패라 _97관직자의 자기 어필 _102삼기삼락(三起三落)의 서막 _105공교로운 사건에 휘말려 다시 원점으로 _1075장 - 삼기삼락부패 척결, 청렴한 관리의 피가 흐른다 _115피할 수 없는 운명, 하늘 아래 황제의 땅 아닌 곳이 없다 _122조조가 돌아왔다 _1286장 - 착방조(捉放曹)의 진실역사상 가장 멍청한 꾀 _135멸문 사건의 3가지 판본 _1431,800년 만의 진실 _149깨끗이 잊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다 _1537장 - 서주(徐州) 복수기동상이몽, 각자의 길로 _159원한의 칼과 복수의 칼 _167실책의 결과는 적의 기회, 그리고 동지의 배신 _1748장 - 황제를 등에 업다힘없는 황제, 고난의 연속 _185황제를 틀어쥐었다면 천하를 틀어쥔 것이다 _191초보적인 실수로 적에게 기회를 주지 말라 _1989장 - 허리띠에 감춰진 황제의 조서꼭두각시 황제의 반격 _203골칫거리와 정적 제거 _208모조리 죽여 후환을 없애다 _21210장 - 관도대전천하를 얻으려 우정을 버리다 _221관우의 배반 _224관도대전의 귀수(鬼手) _232우연이 아닌, 지혜와 용기로 얻은 승리 _236법률의 달인 _23911장 - 공융의 죽음공융은 누구인가? _247문인의 위협도 제거한다 _252지식인을 죽이는 기술 _258도리로 사람을 죽이는 살인의 고수 _26112장 - 명법(名法)의 치(治)《법률, 한 권으로 끝내기》의 기적 _269할발대수의 비밀 _276역사의 쓰레기를 치우다 _28413장 - 인재 모집령공포의 24효 _291인재의 조건, 불의와 불효 _296인재 모집도 기술적으로 _301세 사람의 세 가지 선택 _30614장 - 후계 쟁탈전조조의 이혼 _313천재 요절, 기회는 평범한 인재에게 _318조비 VS 조식 _32215장 - 대단원의 막계략의 달인에게는 계략이 통하지 않는다 _331조식의 비밀 _336양수의 죽음 _34416장 - 사후 미스터리죽어도 내 목숨을 남의 손에 맡기지 않겠다 _351조조 무덤의 미스터리 _358조조의 72가지 얼굴 _367조조 생애 연표 _370
|
秦濤
친타오의 다른 상품
양성희의 다른 상품
가장 익숙하고도 가장 낯선 사람, 왜 다시 조조인가!조조(曹操)는 중국 역사인물 중 가장 익숙한 동시에 가장 낯선 사람이다. 중국 삼국 시대 이후 1,800년이 넘도록 정사, 야사, 소설, 드라마 등을 통해 역사의 영웅으로 혹은 다양한 이미지가 덧씌워진 조조를 수없이 많이 접해왔기 때문이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조조라는 이름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그렇다면, 조조는 누구인가? 조조는 정치가였다. 동한 말기, 난세의 간웅으로 불리며 강한 권력을 휘두른 동한의 승상이자 삼국의 한 축인 위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또한 그는 군사가였다. 변화무쌍한 전략으로 대군을 지휘하고 신출귀몰한 용병술로 직접 전장을 누비기도 했다. 한편 조조는 문학가였다. 건안풍골(建安風骨)의 창시자로, 아들 조비, 조식과 함께 ‘삼조’라 불린다. 그 외에도 조조는 바둑 고수, 격투 고수, 건축가, 발명가 등 아주 다양한 면모를 지닌 인물이었다. 특히 뛰어난 서예가이기도 했다. 그럼 조조는 어떤 일을 했는가? 조조는 평생 끊임없이 전쟁과 정치 투쟁을 치르면서 수많은 사람을 죽였고, 후대 역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무엇보다 수많은 군웅이 할거하던 한나라 말기에 북방을 평정한 뛰어난 지도자였다. 법문화 관점에서 보면 온갖 폐단과 혼란으로 얼룩진 한나라의 제도를 개혁했다. 덕분에 다음 대에 이르러 중국 역사상 가장 극적이었던 삼국 시대의 막을 내리고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다.난세와 치세의 극명한 명암, 조조는 간웅인가, 영웅인가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조조의 이미지는 잔인하고 냉혹한 난세의 간웅, 음흉하고 교활한 최악의 간신으로 굳어졌다. 특히 중국 전통 경극 무대에서 이런 경향이 매우 두드러진다. 동일 인물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이렇게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사례는 조조가 거의 유일하다. 후대 사람들이 조조라는 한 사람을 왜 이처럼 전혀 다르게 바라보는 것일까? 수많은 조조의 이미지 중 가장 진실에 가까운 모습은 무엇일까?조조가 살아 있을 때에도 누구는 주공처럼 훌륭한 성인이라고 치켜세우고, 누구는 승상의 탈을 쓰고 한나라를 집어삼키려는 도둑놈이라고 욕을 했다. 수천 년이 지나는 동안 조조는 항상 똑같은 조조였는데, 한껏 추켜세우기도 하고 모질게 짓밟기도 했다. 왜 그랬을까?이는 사람마다 입장이 달랐기 때문이다. 조조 편에서 보면 성인이지만 반대편에서 보면 도둑놈일 수밖에 없다. 중국에만 국한되지 않고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권으로 범위를 확대해보면, 시대의 가치가 변함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가 더해지는 등 끊임없이 변해 왔다. 다시 말해, 조조의 이미지 변화는 조조를 바라보는 평가자의 관점 문제인 것이다. 이 때문에 좋은 사람 혹은 나쁜 사람이라는 단순한 평가가 통하지 않는다. 특히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현대사회의 관점으로 보면 더욱 복잡해진다.사실 조조는 매우 복잡한 인물이다. 정의와 사악의 경계를 오가며 기본적인 도덕윤리 개념을 수시로 거스르곤 했다. 그래서 죽은 지 1,800년이나 지났지만 조조의 이미지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조조가 간악한 소인배라는 사람도 있고 성인으로 칭송하는 사람도 있다. 혹은 두 이미지를 합쳐 비열한 성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조조에게는 72가지 얼굴이 있다.조조는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정치가이자 위대한 리더였다!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조조를 다시 보게 되었을까? 수천 년 전에 실존했던 역사 인물 조조는 아주 멀고 낯선 사람이지만, 조조에게 투영된 이미지가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에게 익숙한 인간 본연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는 조조는 낡은 관습을 타파한 개성적인 인물, 솔직하고 꾸밈없이 친근한 인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마오쩌둥은 “조조를 간신이라고 하는 것은 봉건 관념이 만들어낸 억울한 사건”이라면서, “조조는 천년 동안 욕을 얻어먹었다. 이제는 명에를 회복해주어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높이 평가했다.조조가 살았던 중국 삼국 시대는 혼탁한 연못인 동시에 맑은 샘물이었고, 밝은 세상인 동시에 암담한 시절이었고, 무법천지 난세이자 영웅의 시대였다. 그런 시대를 산 조조는 평생 끊임없이 전쟁과 정치 투쟁을 치르면서 수많은 사람을 죽였지만, 온갖 폐단과 혼란으로 얼룩진 한나라의 제도를 개혁했다. 이를 계기로 중국 왕조는 보다 체계적이고 명확한, 통일성 있는 법전을 갖췄다. 옛말에 삼십이립(三十而立)이라 했다. 30살이면 삶의 기반이 확고해지는 나이란 뜻이다. 여기에서 기반이란 단순히 경제적인 의미가 아니라 독립적인 인생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이다. 35살 조조는 낙양을 탈출하면서 한나라의 낡은 제도에서 탈출했다. 그제야 자신의 미래와 인생을 명확히 인식하고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 이때부터 스스로 모든 것을 일구기 시작했다. 자신의 운명을 남에게 맡기지 않고 스스로 개척했다. 낡아빠진 옛 체제를 뒤엎고 새로운 제도를 만들었고, 마침내 누구보다 찬란한 인생을 완성했다.□ ‘조조’에 쏟아진 찬사!난세의 영웅이자 뛰어난 군주로, 천하통일의 기반을 닦았다. _당 태종 이세민세상의 어떤 잣대로 평가해도 문무를 겸비한, 최소한 영웅이었다. _루쉰조조는 비범한 인물이며, 시대를 초월한 영웅이다. _진수(《삼국지》 저자)조조는 인재를 잘 알아보고, 적재적소에 기용한 용인술의 대가였다. _마오쩌둥□ 저자의 말한나라는 400년 넘게 버텼지만 수많은 벌레에 뜯어 먹힌 거대한 짐승처럼 숨이 끊어지기 직전이었다. 거대한 짐승 몸에 기생하는 수많은 미생물처럼 한나라의 수많은 백성도 살길을 찾아야 했다. 약자는 제 한 몸 챙기기 바쁘고 강자는 천하를 다퉜다.옛것을 지키려는 자는 애써 잘못을 바로잡으려 하고 새것을 받아들이려는 자는 변화를 부채질했다. 사람마다 각자 다른 방식으로 시대의 위기를 극복한 것이다. 유일한 공통점은 과거의 경험이 대변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모든 선택과 행동이 즉흥적이었고 죽을 때까지 멈출 수 없었다. 푸른 하늘이 죽었음을 모두가 알았지만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었다. 그저 한 발, 한 발 내디딜 수밖에 없었다. 조조도 처음에는 다른 사람들처럼 어찌할 바를 몰라 방황하고, 믿고 따를 수 있는 훌륭한 사람이 나타나기를 기대했다. 그렇게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가다 보니 어느 순간 동시대 위인을 모두 제치고 조조 자신이 시대의 선구자가 되었다. 조조 앞에는 아무도 없었고 길도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