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국어과 수업지도안 작성의 방법과 사례
가격
28,000
28,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의 구성과 활용법

1부 국어과 수업 지도안 작성 방법

2부 초등학교 국어 수업 지도안 사례 분석

1장 1~2학년군: 읽기/쓰기/문법, 한글 익히기
2장 1~2학년군: 문학, 소리와 모양을 떠올리며 글 읽기
3장 3~4학년군: 듣기·말하기, 소리 내어 말하기
4장 3~4학년군: 쓰기/문법, 의견 드러내어 글쓰기
5장 5~6학년군: 쓰기/문법, 쓰기 과정을 고려하여 글쓰기
6장 5~6학년군: 문학, 비유하는 표현 살펴보기

3부 중·고등학교 국어 수업 지도안 사례 분석

7장 7~9학년군: 쓰기/문법,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쓰기
8장 7~9학년군: 문법, 음운
9장 7~9학년군: 문학, 상징
10장 10학년: 듣기·말하기, 토론
11장 10학년: 문학, 소설의 사건 전개
12장 11~12학년군: 문법, 담화 맥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6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서강대, 숙명여대에서 강의하였으며,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연구원, 서울대 SSK 융합교과개발연구단 연구원을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공저, 2020), 『국어 의미 교육론』(공저, 2019), 『언어 중심의 교과 융합 교육』(공저, 2018),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2017) 등이 있다.

조진수의 다른 상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 박사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2017), 「계승어 교육에서 윤동주 시의 활용 가능성」(공저, 2018), 『다문화 시대의 문화 교육 커리큘럼』(공저, 2016) 외

이종원의 다른 상품

춘천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화법 교수학습 모형』(공저),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reflective attitude toward conversation」(공동) 외 다수

박성석의 다른 상품

인천인주초등학교 교사 『국어과 수업 모형』(공저), 『효과적인 읽기수업 어떻게 할까?』(공저), 「감성 설득 전략을 활용한 주장하는 글쓰기 지도」 외 다수
광희중학교 교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법 탐구의 구인 탐색: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공동), 「문법탐구와 과학탐구의 비교 분석 연구」(공동)
광양고등학교 교사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8월 04일
쪽수, 무게, 크기
480쪽 | 188*257*30mm
ISBN13
9791167071156

책 속으로

수업 지도안(이하 ‘지도안’) 작성은 수업 설계의 한 단계이면서 동시에 수업 설계의 전체 모습을 문서화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지도안 작성의 방법은 단순히 지도안이라는 문서의 형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도안에는 수업 설계의 전체 모습이 담기기 때문에, 지도안 작성의 방법은 수업 설계의 과정과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지도안 작성의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도안의 형식적 구조가 수업 설계의 어떤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 p.12

무엇보다 큰 차이는 약안에서도 ‘단원 학습 목표와 차시별 지도 계획’을 필수 요소로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본 차시의 수업을 설계할 때 본 차시가 단원 전체의 학습 목표 및 차시별 수업 속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간 ‘단원 학습 목표와 차시별 지도 계획’은 약안의 요소보다는 세안의 요소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 책에서는 ‘단원 학습 목표와 차시별 지도 계획’을 약안에도 꼭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로 설정하였다.
--- p.25

평가가 정리 단계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오래된 편견이다. 평가는 정리 단계뿐 아니라 전개 단계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최미숙 외(2016: 128-129)에서는 ‘수업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라는 항목에서 “학생의 발표, 토론 과정, 표현 과정 등을 교사가 직접 관찰하면서 실시하는 평가 방식은 교사가 평가의 중요한 축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하였다.
--- p.35

실제로 교과서에서도 [사례]에서 다룬 여러 가지 모음자 알기 다음에 이야기를 듣고 낱말을 읽고 쓰는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서에서 제시된 “이가 아파서 치과에 가요”라는 이야기(교육부, 2017ㄱ: 112-114)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그간 학습한 짜임의 글자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들이 한글 학습을 하면서 수준에 맞는 문해 경험을 하도록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p.88

[사례]의 지도안에서 사용한 ‘선생님의 실제 소풍 사진’은 실제성이 높은 자료로 동기 유발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단, 교수·학습 자료의 타당성과 효과성은 실제성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소리나 모양 떠올리며 그림 살펴보기’라는 활동에 부합하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 자료를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 p.124

리뷰/한줄평1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8,000
1 2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