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
가격
23,000
23,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말 4
개괄 6

1부 앎으로서의 한국어

1장 음운 체계 24
1 말소리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6
2 우리말 음운은 어떻게 설정되고 체계를 이루는가 36
3 음운은 어떻게 모여 음절을 이루고 발음되는가 43

2장 음운 현상 47
1 음운 현상이란 무엇이며 왜 생겨나는가 49
2 음운 현상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52
3 음운 현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것들은 왜 일어나는가 57

3장 단어 형성 68
1 형태소란 무엇이며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69
2 형성 방식을 기준으로 단어를 어떻게 체계화할 수 있는가 77
3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쓰는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83

4장 품사 88
1 어떤 기준으로 단어를 분류할 것인가 90
2 각 품사는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96

5장 어휘 108
1 어휘란 무엇이며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110
2 단어들은 서로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가 122

6장 문장 구조 134
1 문장이란 무엇인가 136
2 문장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139
3 절과 절의 연결에 따라 어떠한 문장이 생성되는가 145

7장 문법 요소 154
1 높임 표현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156
2 시간 표현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163
3 피사동 표현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172
4 인용 표현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181

2부 삶으로서의 한국어

8장 어문 규범 192
1 언어의 규범은 꼭 필요한가 194
2 한글 맞춤법의 원리는 무엇인가 196
3 표준어 규정은 왜 필요한가 204
4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왜 필요한가 207

9장 텍스트 216
1 텍스트란 무엇인가 218
2 텍스트는 어떤 구조와 기능을 지니고 있는가 225

10장 사회언어학 234
1 사회언어학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을 주로 다루는가 236
2 사회언어학의 핵심 개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41
3 최근 한국 사회를 잘 드러내는 언어 현상은 무엇인가 251

11장 언어 발달 256
1 발달을 보는 전통적인 쟁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258
2 언어 능력이란 무엇인가 264
3 국어과 교육과정에 영향을 준 언어 발달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70
4 국어교육에서 언어 발달 연구의 전망은 어떠한가 282

12장 국어사 287
1 국어사는 어떻게 연구하는가 289
2 한국어의 뿌리는 어떻게 분화되어 갔는가 292
3 한국어의 통시적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295
4 국어사는 어떻게 탐구해야 하는가 311

13장 문자론 317
1 문자는 왜, 어떻게 등장했는가 319
2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에는 무엇으로 우리말을 표기하였는가 324
3 훈민정음은 어떤 문자인가 330
4 현대의 문자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335

14장 국어 정책 338
1 오늘날 한국어가 처한 환경은 어떠하며 국어생활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340
2 국가는 어떠한 국어 정책을 수립?실행하고 있는가 345
3 국어 정보화란 무엇이며 우리 삶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353

15장 남북한 언어 통합 361
1 통일 시대에 남북한 언어 통합은 왜 중요한가 363
2 남북한 언어는 왜, 그리고 무엇이 다른가 366
3 남북한 언어 통합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376

참고문헌 384
찾아보기 401
지은이 소개 412

저자 소개11

閔賢植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림 강릉대학교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국립국어연구원 어문규범연구부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1(서울대출판부, 2007.12.30)』,『국어교육 100년사 II(서울대출판부, 2006.08.10)』,『국어교육 100년사 I(서울대출판부, 2006.08.10)』,『신문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서울대출판부, 2003.12.20)』,『국어교육을 위한 응용국어학 연구(서울대출판부, 2001.03.30)』,『국어정서법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림 강릉대학교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국립국어연구원 어문규범연구부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1(서울대출판부, 2007.12.30)』,『국어교육 100년사 II(서울대출판부, 2006.08.10)』,『국어교육 100년사 I(서울대출판부, 2006.08.10)』,『신문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서울대출판부, 2003.12.20)』,『국어교육을 위한 응용국어학 연구(서울대출판부, 2001.03.30)』,『국어정서법연구(태학사)』,『국어문법연구(역락출판사) 2000년 문화부 우수추천도서』,『국어문법의 이해(공저 개문사)』,『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공저 경문사)』,『무슨 말을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숙대 츨판부)』,『중세 국어 강독(편저)』외 다수가 있다.

민현식의 다른 상품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단어 개념의 역동적 구성 과정과 담론-토론을 중심으로-」(2012),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연구」(2012), 『의미, 텍스트, 교육』(2008),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공저, 2012), 『어휘 능력』(공역, 2019),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공저, 2020)

신명선의 다른 상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 졸업 대표 논저 : 『문법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국어교육의 이해』(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국어과 교과서 론』(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창비교육, 공저), 『장르, 텍스트, 문법』(사회평론아카데미, 공역), 「평가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사 교육」 외 다수

주세형 의 다른 상품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은성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 및 국어교육연구소 겸무연구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 졸업 대표 논저 :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국어과 교과서론』(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장르, 텍스트, 문법』(사회평론아카데미, 공역), 「예비교사의 문법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 외 다수

남가영의 다른 상품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대구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공저, 2012),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1~3』(공저, 2012),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말하기』(공저, 2013),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공저, 2020)

강보선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사, 석사, 박사 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원 전 호서대학교 한국언어문화 전공 조교수 현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주요 논저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1), (2)」(2010, 2012) 「문법 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2012) 「국어 교육 내용으로서의 속담의 비판적 검토」(2018)

이관희의 다른 상품

춘천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는 「문법 교육을 위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연구」, 「문장 성분 교수를 위한 문법 교과 내용 지식 연구」, 「과학 글쓰기 유형 및 내용 구성 연구」 등이 있다.

이지수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서강대, 숙명여대에서 강의하였으며,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연구원, 서울대 SSK 융합교과개발연구단 연구원을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공저, 2020), 『국어 의미 교육론』(공저, 2019), 『언어 중심의 교과 융합 교육』(공저, 2018),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2017) 등이 있다.

조진수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3월 09일
쪽수, 무게, 크기
416쪽 | 696g | 165*235*30mm
ISBN13
9791189946463

출판사 리뷰

국어 문법교육 학자들이 기획한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서

이 책은 한국어학을 처음 배우는 국어 교사 및 예비 교사들을 위한 한국어학 입문서이다. 시중에 한국어학 개론서들이 많이 나와 있지만, 국어 문법교육 교수이자 연구자인 저자들은 국어 교사 및 예비 교사를 위해 특화된 책이 꼭 필요하다고 보았다.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 문법교육은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적이고 규범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다. 그러나 문법은 책 속에 존재하는 고정적인 지식이나 규칙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사람들이 소통하며 사용하는 문화적인 방식이자 사회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역동적인 실체이다. 그렇기에 문법교육을 통해 자신의 삶과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를 길러 내기 위해서는 문법에 대한 지식을 넘어서 문법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광범위한 지평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문법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에 공감하여 국어 문법에서 중요하고도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상세히 다루면서도, 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언어에 대한 안목을 길러줄 수 있는 폭넓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의 제목에 문법교육론이라든지 국어학 개론 등이 아닌 ‘한국어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책은 크게 2개의 부로 나뉜다. 1부에서는 문법 영역에 특화된 교육 내용을 다루었다. 음운, 단어, 품사, 어휘, 문장, 문법 요소 등 향후 국어학 개론이나 문법교육론에서 배울 기본적인 정설이나 쟁점들을 담았다. 다만 문법 공부 전반에서 중요하거나 다른 개념과 연계가 되는 개념, 오개념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부분 등을 자세히 풀어 썼다. 이로써 이 책이 독자들에게 규칙이나 사실로 남기보다는 언어에 대한 소양을 넓혀 주는 입문서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다.
2부에서는 어문 규범, 텍스트, 사회언어학, 언어 발달, 국어사, 문자론, 국어 정책, 남북한 언어 통합 등 광의의 ‘문법’이라는 말로 포괄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학의 발전과 관련 연구들의 다양한 지평도 아울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대학에서 한 학기 강의용 교재로 활용하기 쉽도록 총 15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각 장의 도입에서는 본문 이해를 도울 만한 사례를 소개하고 핵심 질문을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제시된 핵심 질문을 하나씩 풀어 나가면서 국어 문법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 썼다. 또한 본문 사이에는 읽을거리를 제공하여 본문의 내용을 확장하여 탐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1부의 경우 각 장의 끝에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오개념과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오개념 양상은 단지 정오의 문제로만 처방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문법 탐구의 쟁점을 선정할 때 참고하거나 문법 개념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등으로 파악하는 등 교수·학습의 주안점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 학생, 현직 국어 교사, 나아가 국어교육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 모두에게 이 책은 입문서 또는 교양서로서의 역할을 해 줄 것이다.

리뷰/한줄평2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9.0 한줄평 총점
23,000
1 2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