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제1장 우라가 왁가(Uraga-vagga) : 뱀01. 우라가-숫따(Uraga-sutta) _뱀02. 다니야-숫따(Dhaniya-sutta) _다니야03. 칵가위싸나-숫따(Khaggavisana-sutta) _무소04. 까씨 바라드와자-숫따(Kasi-bharadvaja-sutta) _밭 가는 바라문05. 쭌다-숫따(Cunda-sutta) _대장장이 쭌다06. 빠라바와-숫따(Parabhava-sutta) _파멸(破滅)07. 와쌀라-숫따(Vasala-sutta) _천한 사람08. 멧따-숫따(Metta-sutta) _자애(慈愛)09. 헤마와따-숫따(Hemavata-sutta) _헤마와따 야차10. 알라와까-숫따(Alavaka-sutta) _알라와까 야차11. 위자야-숫따(Vijaya-sutta) _승리(勝利)12. 무니-숫따(Muni-sutta) _성자(聖者)제2장쭐라 왁가(Cula-vagga) : 소품(小品)01. 라따나-숫따(Ratana-sutta) _보배02. 아마간다-숫따(Amagandha-sutta) _비린내03. 히리-숫따(Hiri-sutta) _부끄러움04. 마하망갈라-숫따(Mahamangala-sutta) _더없는 행운05. 쑤찔로마-숫따(Suciloma-sutta) _쑤찔로마 야차06. 담마짜리야-숫따(Dhammacariya-sutta) _가르침의 실천07. 브라마나담미까-숫따(Brahmanadhammika-sutta) _바라문 법도(法度)08. 나와-숫따(Nava-sutta) _배09. 낑씰라-숫따(Kimsila-sutta) _어떤 계행을10. 웃타나-숫따(Utthana-sutta) _일어나라!11. 라훌라-숫따(Rahula-sutta) _라훌라12. 왕기싸-숫따(Vangisa-sutta) _왕기싸 존자13. 쌈마빠립바자니야-숫따(Sammaparibbajaniya-sutta) _올바른 유행(遊行)14. 담미까-숫따(Dhammika-sutta) _청신사(淸信士) 담미까제3장마하 왁가(Maha-vagga) : 대품(大品)01. 빠밧자-숫따(Pabbajja-sutta) _출가(出家)02. 빠다나-숫따(Padhana-sutta) _정진(精進)03. 쑤바씨따-숫따(Subhasita-sutta) _훌륭한 말04. 쑨다리까 바라드와자-숫따(Sundarika-bharadvaja-sutta) _쑨다리까 바라드와자 바라문05. 마가-숫따(Magha-sutta) _바라문청년 마가06. 싸비야-숫따(Sabhiya-sutta) _편력 수행자 싸비야07. 쎌라-숫따(Sela-sutta) _쎌라 바라문08. 쌀라-숫따(Salla-sutta) _독화살09. 와쎗타-숫따(Vasettha-sutta) _바라문청년 와쎗타10. 고깔리야-숫따(Kokaliya-sutta) _꼬깔리야 비구11. 날라까-숫따(Nalaka-sutta) _날라까12. 드와야따누빳싸나-숫따(Dvayatanupassana-sutta) _두 가지 관찰제4장앗타까 왁가(Atthaka-vagga) : 8송품(八頌品)01. 까마-숫따(Kama-sutta) _쾌락02. 구핫타까-숫따(Guhatthaka-sutta) _동굴에 대한 8송03. 두탓타까-숫따(Dutthatthaka-sutta) _사악함에 대한 8송04. 쑷다타까-숫따(Suddhatthaka-sutta) _청정(淸淨)에 대한 8송05. 빠라맛타까-숫따(Paramatthaka-sutta) _최상(最上)에 대한 8송06. 자라-숫따(Jara-sutta) _늙음07. 띳싸 메떼이야-숫따(Tissametteyya-sutta) _띳싸 메떼이야 존자08. 빠쑤라-숫따(Pasura-sutta) _빠쑤라09. 마간디야-숫따(Magandhiya-sutta) _마간디야10. 뿌라베다-숫따(Purabheda-sutta) _죽기 전에11. 깔라하위와다-숫따(Kalahavivada-sutta) _다툼과 논쟁12. 쭐라위유하-숫따(Culaviyuha-sutta) _작은 대담13. 마하위유하-숫따(Mahaviyuha-sutta) _큰 대담14. 뚜와따까-숫따(Tuvataka-sutta) _신속하게15. 앗따단다-숫따(Attadanda-sutta) _폭력16. 싸리뿟따-숫따(Sariputta-sutta) _싸리뿟따 존자제5장빠라야나 왁가(Parayana-vagga) : 피안(彼岸)으로 가는 길01. 왓투가타(Vatthugatha) _서시(序詩)02. 아지따마나와뿟차(Ajit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아지따의 질문03. 띳싸멧떼야마나와뿟차(Tissametteyy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띳싸멧떼야의 질문04. 뿐나까마나와뿟차(Punnak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뿐나까의 질문05. 멧따구마나와뿟차(Mettagu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멧따구의 질문06. 도따까마나와뿟차(Dhotak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도따까의 질문07. 우빠씨와마나와뿟차(Upasiv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우빠씨와의 질문08. 난다마나와뿟차(Nand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난다의 질문09. 헤마까마나와뿟차(Hemak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헤마까의 질문10. 또데야마나와뿟차(Todeyy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또데야의 질문11. 깝빠마나와뿟차(Kapp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깝빠의 질문12. 자뚜깐니마나와뿟차(Jatukanni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자뚜깐니의 질문13. 바드라우다마나와뿟차(Bhadravudh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바드라우다의 질문14. 우다야마나와뿟차(Uday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우다야의 질문15. 뽀쌀라마나와뿟차(Posal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뽀쌀라의 질문16. 모가라자마나와뿟차(Mogharaj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모가라자의 질문17. 삥기야마나와뿟차(Pingiyamanavapuccha) _바라문청년 삥기야의 질문18. 빠라야나(Parayana) _피안(彼岸)으로 가는 길
|
이중표의 다른 상품
붓다의 가르침이 가장 순수한 모습으로 남아 있는 최고(最古)의 경전, 『숫따니빠따』“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탕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불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쉽게 접했을 것이고, 불교에 관심이 없더라도 지나가다 한 번은 접해 봤을 구절이다. 하지만 그 출처가 불교 경전이라는 것까지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이 유명한 구절이 수록된 경전은 바로 『숫따니빠따』이다. 『담마빠다』와 함께, 초기경전인 5부 니까야 가운데 『쿳다가 니까야』에 수록되어 있는 『숫따니빠따(Sutta-Nip?ta)』는 ‘불교 경전’을 뜻하는 ‘숫따(Sutta)’와 ‘모아놓다’라는 의미의 ‘니빠따(Nip?ta)’의 합성어로서, 제목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경전 모음’이라는 뜻이다. 그 의미에 걸맞게 『숫따니빠따』에는 72개의 경전, 1,149개의 게송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수록된 경전의 내용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기록물의 연대를 근거로, 누구도 이견 없이 가장 오래된 경전, 최초의 경전으로 꼽는 경전이기도 하다. 그러나 『숫따니빠따』가 우리에게 소개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운문 형식의 간결한 문장과 쉬운 내용 덕분에 남방불교권에서 일찍부터 널리 사랑받아왔던 것과 달리, 한문으로 번역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대승불교권에는 『숫따니빠따』가 잘 알려지지 못했다. 결국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91년에 이르러서였는데, 법정 스님이 일본어 번역본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 출간되면서부터였다. 이를 시작으로 여러 종의 『숫따니빠따』 번역서가 출간되었지만 그동안의 번역서는 모두 의미 전달과 원전의 형식, 두 가지 중 하나에만 치중할 수밖에 없었다. 운문으로 된 원전의 운율을 포기하고 정확한 의미 전달에 초점을 맞추거나 운율을 맞추기 위해 본래의 의미를 명확히 드러내지 못하고 모호하게 옮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의 번역자 이중표 교수는 두 가지를 모두 살렸다. 먼저, 철저한 사전 작업을 통해 기존 번역서들의 오류를 면밀히 파악하고, 빠알리어 경전과 사전을 폭넓게 검토해 단어들의 다양한 용례를 정리했다. 이를 토대로 새롭게 원전을 번역하면서 기존 번역서들의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아 표현의 적확성을 높이고, 문맥을 해치지 않는 의역을 통해 가독성과 리듬감을 살렸다. 원전과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는 각주를 달아 본래의 뜻과 의역한 이유를 상세하게 밝혔다.한국불교계를 대표하는 석학이중표 교수의 완벽한 번역으로 읽는단순하고 소박한 불교의 정수동아시아 불교사에 절대 없어지지 않을 자취를 남긴 대표 역경가 구마라집은 산스크리트를 한문으로 번역하는 일에 대해서 “마치 밥을 씹어서 남에게 주는 것과 같다.”고 평했다. 음식의 영양분, 즉 문장의 뜻을 전해줄 수는 있지만 원전이 지닌 본래의 맛까지 전달해줄 수는 없다는 의미이다. 구마라집의 말처럼 각기 다른 체계와 표기법, 문화적 배경을 지닌 두 언어를 완벽하게 일치시켜 번역한다는 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그래서 원전의 뜻을 가능한 정확하게, 그러면서도 읽기에는 편한 문장으로 옮기는 사람을 좋은 번역자로 꼽는다. 그래서 번역자에게는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원전에 대해 깊은 이해가 요구된다.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책의 번역자인 이중표 명예교수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불교계를 대표하는 석학으로서 30여 년간 경전 번역과 불서 집필에 매진해 왔기 때문이다. 깊은 철학적 사유와 원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방대한 초기경전 가운데 핵심 부분만을 정리해서 옮긴 ‘정선(精選) 니까야 시리즈’를 비롯하여 붓다의 가르침과 불교 교리의 정수를 담은 책을 여러 권 출간하였다. 이 책들은 모두 이미 불교를 공부하는 독자들에게 필독서로 자리매김하였다.『숫따니빠따』는 특히 더 공을 들였다. 번역된 원고를 거듭 퇴고하면서 단어 하나 조사 하나까지 신중하게 골랐다. 뿐만 아니라 번역한 게송을 가사로 쓰는 곡을 만들어 운율을 확인해 보았다. 한 사람이라도 더 쉽게 불교 경전을 접하고, 조금 더 바르게 가르침을 이해하도록 하고픈 마음에서다. 나아가 평상시에도 『숫따니빠따』를 쉽게 가까이할 수 있도록 가볍고 튼튼한 가죽 재질의 표지와 휴대하기 편한 아담한 크기로 책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쉽게 단순하고 소박한 언어에 담긴 불교의 정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