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경험으로의 여정 4
01 거닐고 머무름 ‘최초의 집’과 ‘동굴 놀이’ 12 나만의 공간 만들기 16 보이지 않는 벽 19 어느 철학자의 유언 23 삶을 담은 그림 28 경험의 지층 37 걷기와 머물기의 즐거움 41 몸과 마음이 함께 오르내리다 48 모이는 공간, 흩어지는 공간 55 ‘공간의 안무’ 62 네 단계의 거리 68 건축, 미술, 자연 속에서 산책하기 73 02 빛과 감각 안개 82 우리는 무엇을 보는가 88 빛이 만드는 인식의 틀 93 렘브란트, 페르메이르, 호퍼 100 어떤 빛이 좋은 빛인가 108 한 줄기 작은 빛이라도 114 여행은 우리를 해체한다 121 후각 미로, 후각 기억 125 공간의 울림, 소리 133 몸과 사물과 공간의 만남, 촉감 140 깊은 감각은 기억이 되어 144 지금 여기, 사라진 월든 149 03 기억과 시간 장소의 추억 156 무의식과 기억 161 삶이 모여 장소가 되다 167 템스강에 스며든 오래된 발전소 172 매일 새로 태어나는 집 180 우리는 무엇을 그리워하는가 186 변화하고 흐르는 193 특별한 순간을 포착하다 197 공간의 템포 202 오래된 공간 되살리기 210 서로를 놓아줄 때 218 사람과 공간, 하나의 숨결 226 주 233 |
Jong-Jin Kim
김종진의 다른 상품
‘공간은 어떠한 경험을 만들 수 있는가’
내면의 울림과 감응을 주는 모든 ‘공간’에 대한 소박한 단상 사람과 긴 세월 조화롭게 함께하는 공간은 아름답다. 넓은 대지에 지은 멋진 건물에 관한 이야기만은 아니다. 오밀조밀한 공동주택의 지극히 평범한 일상공간에도 해당한다. 오히려 소박한 일상 세계가 우리 삶에는 더 중요하다. 아무리 허름하고 남루할지라도 노곤한 몸을 이끌고 들어와 앉고 눕고 쉴 수 있는 자신만의 아늑한 은신처는 얼마나 소중한가. 세상 모든 장소와 공간에는 그곳만의 맛과 향기와 모양과 소리와 감촉이 있다. 이를 풍부하게 감각하는 일은 우리 존재의 층위를 깊게 만든다. 감각은 표면적인 자극을 뜻하지 않는다. 마음으로 들어가 기억과 감정을 건드리는 감각은 부질없이 명멸하는 이미지와 말초 자극과 다르다. 설명할 수 없는 감각의 체험이 우리를 내면의 오솔길로 이끈다. 건축과 공간이 깊이 있는 경험을 더 많이 제공할 때 우리의 삶도 풍부해진다. 겉모습만 화려한 건축, 끝없이 소비만 부추기는 공간은 이러한 경험을 보장하지 못한다. ‘공간이 어떠한 경험을 만들 수 있는가’는 건축의 크기와 형식을 초월한다. 그것은 외형이 아닌 공간의 질적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평범한 건물, 일상 공간에서도 깊이 있는 경험은 가능하다. 무엇보다 공간과 사람의 교감이 중요하다. 공간은 어떠한 현상 체험을 유도해야 한다. 의도된 설계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빛과 음영의 변화와 같이 자연 현상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사람은 이를 포착하고 내면의 울림으로 감응한다. - 서문 ‘깊은 공간으로의 여정’, 본문 ’경험의 지층’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