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부 · 문화예술경영과 행정
제1장 예술경영의 연구 예술경영의 개념 3 예술경영의 연구와 발전 5 예술경영 연구분야와 범위 7 예술경영의 두 가지 관점 8 제2장 예술행정의 개념과 분야 예술경영과 행정의 본질적 차이 11 예술행정의 개념 12 정부와 민간의 협력 14 네트워크와 거버넌스 16 제3장 예술과 경영의 통합적 접근 예술과 경영의 기본 논리 18 예술과 경영의 경제적 논리 20 예술과 경영의 통합적 접근 23 제4장 문화예술경영의 현대적 가치 문화 소비패턴의 변화 24 문화예술 생태계의 변화와 자생력 강화 25 로마문화선언 27 문화산업의 현황과 정책적 고려 28 제2부 · 문화예술기관과 문화정책 제1장 문화예술기관 문화예술 조직의 유형 35 중앙정부의 문화예술기관 37 지역의 문화예술재단 39 제2장 공공예술기관의 역할과 기여 공적 예술지원의 당위성 41 문화정책 42 사회·교육·경제적 기여 43 예술가 지원 46 팔 길이 원칙 50 제3장 문화예술기관의 재정 동원과 배분 경제적 지원 대상 52 예산 편성과 재정 운영 53 재정 조달과 기금 조성 55 성과 평가 56 제4장 비영리 문화예술단체의 경영 문화예술과 비영리단체 58 비영리단체의 경영 역할 기대 59 비영리단체의 재원 60 예술인 지원사업 62 제3부 · 도시재생과 축제경영 제1장 문화예술과 지역의 상생과 협력 예술로서의 도시 67 문화적 상징성 69 도시재생사업 모델 70 예술인의 마을과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72 도시와 사운드 스케이프 73 제2장 국내외 문화도시 재생 국내 문화도시 재생 사례 76 아티스트 레지던스와 아티스트 하우징 78 문화도시 브랜드의 다양한 유형 80 제3장 도시와 축제 일상에서 벗어나다 83 축제 기획과 운영 84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축제의 필요성 87 음악축제의 위상 89 제4장 공공예술 프로젝트와 미디어 파사드 공공예술 프로젝트 92 도시환경에서의 공공미술 사례 94 미디어아트와 미디어 파사드 95 제4부 · 문화예술산업과 대중문화 제1장 현대 문화산업과 대중예술의 교차점 예술, 산업화의 길을 걷다 101 문화예술산업과 대중예술 102 대중문화예술 매출 규모의 증가 106 제2장 엔터테인먼트 산업 엔터 산업의 경제적 측면 108 게임, 음악, 웹툰 110 영화·드라마 산업의 성장과 도약 112 제3장 K-콘텐츠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115 게임 산업과 한국의 수출 규모 117 게임 산업의 활발한 M&A 119 K-POP과 뮤직 비즈니스 120 웹툰 산업의 비즈니스 현황과 시사점 123 제4장 유료 콘텐츠 시장과 구독경제 기존 수익모델의 한계 125 OTT 서비스의 콘텐츠 다양성 확대 126 음악, 소유가 아닌 스트리밍 127 대중에서 개인 중심으로 129 제5부 · 디지털 예술과 창작, 그리고 플랫폼 제1장 디지털 콘텐츠와 플랫폼의 상호작용 문화 콘텐츠의 디지털화 133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디지털 콘텐츠와 플랫폼 134 콘텐츠 생산 주체의 변화 135 스마트 디바이스 시대와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 136 제2장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창작과 수익화 소규모 창작자들의 성장 138 사적 콘텐츠의 부상 139 더욱 간편해진 크리에이티브 툴 140 다중채널 네트워크(MCN) 142 제3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디지털 전환의 확대와 콘텐츠의 분화 143 크리에이터를 위한 연대와 옹호 144 크라우드 펀딩 146 팬덤 경제와 팬덤 미학 147 제4장 콘텐츠 IP와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권의 정의와 분류 149 IP 기반 비즈니스 151 세계관 구축과 스토리텔링 리부트 153 트랜스미디어를 통한 IP 확장 154 디지털 저작권과 보호 문제 155 제6부 · 문화예술과 기술의 융합 제1장 디지털 아카이브와 데이터 분석 예술 자료 아카이브 159 경제적 가치와 국제적 화두 160 디지털 아카이브의 저작권 161 빅 데이터와 데이터 분석 162 문화예술 빅 데이터 사례 163 제2장 디지털 예술 시장의 거래방식 블록체인 기술과 온라인 거래방식 165 벤야민의 아우라와 기술 복제의 진품성 167 NFT와 개인적인 가치 168 마켓 플레이스의 역동성 169 제3장 실감형 콘텐츠와 가상현실 실감형 예술 콘텐츠 170 가상현실과 문화예술 대중화 172 전통 미디어에서 뉴미디어로의 전환 174 메타버스 예술활동 175 제4장 AI 기반 예술 창작과 상호작용 AI와 예술의 공존 178 AI가 음악을 만든다 180 문화예술에 접목한 생성형 AI 182 제7부 · 문화예술과 스타트업 제1장 문화창업의 필요성과 창업 생태계 예술가의 상상력과 비즈니스 모델 187 문체부의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과 지원 189 문화 스타트업 지원기관 190 향후 예술 스타트업 지원정책 192 제2장 투자 유치를 위한 IR 피치덱 예술가의 사업 성공을 위한 사업계획서 194 IR과 피치덱(Pitch Deck) 195 문화예술 스타트업의 투자와 유치 198 제3장 예술 기업가 정신과 리좀적 사고 예술가의 지속 가능성과 정체성 유지 200 예술 기업가 정신 201 외국 예술 대학의 기업가 정신 사례 203 리좀적 사고 207 제4장 스타트업으로 만나는 현대 문화예술 아트테크 스타트업 209 음악 및 공연예술 스타트업의 성장 210 K-콘텐츠 스타트업의 선도성과 세계화 213 예술을 쉽게, 콘텐츠로 재미있게 215 제8부 · 문화예술의 가치와 마케팅의 상호작용 제1장 문화예술과 마케팅의 공통된 목표와 가치 마케팅과 예술의 교차점 219 왜 예술에 집중하는가 221 커뮤니케이션의 도구 222 제2장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브랜드의 이미지 224 정신적 풍요를 찾아서 225 감성 속에 숨어 있는 자본 논리 227 브랜드의 스토리텔링: 내러티브를 갖춘 브랜드 228 제3장 예술적 요소를 활용한 마케팅 예술을 활용한 심리적 접근 230 아트 마케팅의 유형 232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예술 233 제4장 디지털 시대의 예술 홍보와 소셜미디어 예술의 소비와 생산을 위한 마케팅 235 예술가의 브랜딩 236 문화예술기관의 마케팅 239 예술 홍보를 위한 디지털 마케팅과 퍼포먼스 마케팅 240 제9부 · 비즈니스와 문화예술 제1장 예술을 좋아한 CEO 기업이 예술을 대하는 자세 245 경계를 넘어서는 조직화 방식 247 예술을 좋아한 CEO 248 제2장 메세나를 통한 이해와 협력 메세나 250 기업의 후원 사례 252 제3장 오픈 이노베이션과 예술 경계없는 모험과 실험 258 예술과 기업 협력 프로젝트 260 제4장 ESG와 사회적 예술 다양성 품은 예술로 ESG 경영 실현 263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친환경 콘텐츠 행동 265 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 266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예술 267 예술의 사회화는 산업화, 세계화의 촉매 269 나가는 말 새로운 트렌드와 기회, 도전과 불확실성 271 보이지 않는 프리미엄 273 참고문헌 275 |
박남예의 다른 상품
저자의 이야기, 그리고 독자에게
「문화예술경영과 행정」은 기존의 고정된 시각을 넘어, 예술과 경영을 조화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저의 의도를 담았습니다. 예술과 영리성, 즉 돈의 문제를 논할 때의 고루한 주장들을 깨려는 노력이 이 책의 핵심이며, 특히 디지털 기술이 새로운 창작활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예술계의 동향을 다루었습니다. 예술경영이 기업경영보다 간단해 보이지만 실은 복잡하며, 예술 생태계 안에서 그 본질을 경험한 저로서는 예술의 경영과 행정에 대해 머리로 이해하고 논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예술을 감상하는 입장이 아닌 창작과 제작과정을 경험한 저자의 관점을 통해 기존의 예술경영을 바라보고자 합니다. 또한 예술경영에서 문화예술경영으로 주제를 확장한 이유는 이 책을 보는 예술가들이 더 큰 영역에서 활동하였으면 하는 바람 때문입니다. 예술은 이제 다양한 분야와 협업이 가능해져 깊이와 다양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예술은 우리가 눈을 뜨고 잠자리에 들 때까지 우리 곁에 함께하며, 저는 이 모든 경험들을 문화와 예술경영의 맥락에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책에서는 정량적 데이터와 논리적 근거 및 사례를 통해 감성적인 주장은 최대한 피하려 하며, 예술의 본질은 감성에 기반하지만 이를 논리적으로 전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예술경영의 입문자들을 위한 안내서로 기능하도록 설명을 쉽게 풀어쓰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경영인들은 조금 더 창작자의 시각에서 예술경영을 바라보고, 예술인들은 자신의 예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예술경영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