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들어가기 전에‘센스’라는 말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센스와 문화자본인간은 ‘남아도는’ 동물이다센스의 좋고 나쁨에서 그 너머로제1장 센스란 무엇인가?감각과 사고‘고르는 센스’에서 출발한다센스가 ‘무자각(無自覺)’인 상태‘잘하느냐 못하느냐’에서 ‘헤타우마’로센스가 자각되지 않은 방센스는 헤타우마다기준점 자체를 바꾼다모델 재현을 그만두는 것, AI ‘학습’제2장 리듬으로 파악한다의미에서 강도로형태도 멋도 리듬이다 - 조명 스탠드와 만두여러 개의 흐름을 ‘다중 녹음’처럼 포착한다최소한의 센스 - 리듬의 재미를 깨닫는다쉽게 할 수 있는 모더니즘라우션버그와 만두제3장 까꿍의 원리리듬을 탄다는 것굴곡과 비트이야기와 ‘결핍’까꿍의 원리까꿍 놀이는 곧 서스펜스다일상의 서스펜스제4장 의미의 리듬큰 의미에서 작은 의미로인생의 다면성모더니즘, 포멀리즘감동을 반으로 줄이고 사소한 부분을 말로 표현한다의미란 무엇인가 - ‘가깝다’와 ‘멀다’AI와 인간 - ChatGPT로 생각한다대립 관계와 리듬의미의 리듬감동에는 두 가지가 있다 - 대략적인 감동과 구조적인 감동오락 소설과 순수문학전반부의 정리제5장 나열하는 것영화의 ‘샷’과 ‘몽타주’잘 알려지지 않은 몽타주의 재미예측오차의 최소화그래도 우리는 서스펜스를 찾는다 - 예측오차와 쾌락‘무엇을 어떻게 나열해도 좋다’는 것연결되느냐 아니냐는 설정하기 나름제6장 센스와 우연성‘모든 예술’을 생각하다아름다움과 숭고함 - 우연성과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만들려고 한다’에서 ‘결과적으로 할 수 있다’로미치지 못하는 어긋남과 지나친 어긋남자신에게만 존재하는 우연성제7장 시간과 인간예술이란 시간을 갖는 것베르그송의 시간론지나치게 많은 가능성을 제한하다인간의 다양성목적 지향과 예술적인 매달려있기제8장 반복과 안티센스예술의 의미예술과 ‘문제’작품이란 ‘문제’의 변형이다어쩔 수 없는 딜레마센스와 안티센스악마적인 반복부록예술과 생활을 연결하는 연습독서 가이드마지막으로
|
Masaya Chiba,ちば まさや,千葉 雅也
지바 마사야의 다른 상품
전경아의 다른 상품
“센스가 있다”는 말에 대한 가장 매력적이고 설득력 있는 해설일본 학계와 언론이 극찬한 화제의 인문학 수업밀리언셀러 지바 마사야의 철학 3부작 완결편어쩌다가 ‘센스’와 ‘철학’이라는 단어가 결합하게 되었을까. 센스는 철학보다는 ‘점심 메뉴’, ‘일머리’ 같은 단어와 더 친숙한 단어다. 학문적인 관점보다는 일상의 경험과 가까운 단어라는 말이다. 하지만 ‘센스’는 누구나 안다고 생각하면서도 속 시원하게 설명할 길이 없는 단어다. 이미 『현대사상입문』, 『공부의 철학』 등으로 한국 독자들에게도 친근한 지바 마사야는 이해하기 쉬운 철학적 분석법으로 이 ‘센스’라는 단어를 아주 차분하게 그리고 재미있게 파헤친다.누구는 태어날 때부터 ‘센스 있는’ 사람인가?‘센스’라는 말은 어딘가 배타적으로 들리는 구석이 있다. 노력으로는 극복 불가능한, 원래부터 바꿀 수 없는 것을 말하는 느낌을 주지 않는가. 우리가 원래 ‘센스 좋은’ 사람과 ‘센스 없는’ 사람으로 나눠 태어난 것처럼. 하지만 관점을 바꿔보자. 센스를 ‘좋고 나쁨’이 아니라 ‘자각과 무자각’으로 바라보면 새로운 시선이 트인다. 이런 자세만으로 ‘센스’는 극복할 수 있는 무언가가 된다. 이제 그 노력의 방향만 파악하면 ‘센스가 좋아지는’ 기적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요컨대 센스는 후천적인 ‘경험’의 총체라는 얘기다. 센스가 좋다는 건 그냥 잘하는 것? 아니, 못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잘하는 것!우리는 잘한다는 의미를 ‘재현’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그림의 경우, ‘잘 그렸는가, 못 그렸는가,’ 하는 판단의 기준은 ‘모델을 충실히 재현했는가’의 여부다. 하지만 모델을 충실히 재현하기만 하면 ‘잘 그린’ 그림인가? ‘센스 있는’ 그림인가? 센스 있는 그림은 모델의 재현보다 자신의 선 움직임을 우선시한다. 그림을 그린 사람이 모델을 재현하려 했지만 하지 못했다면 그건 못 그린 그림이다. 하지만 재현보다 앞서 자신만의 선 움직임을 입힌 거라면 이건 저자의 의도가 반영된 ‘센스 있는 그림’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센스란 재현에서 벗어나 마치 ‘못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잘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센스란 의미에 담긴 게 아니다그 자체로서 얼마나 재미있는지를 느끼는 것이다어떤 그림이 무엇을 상징하고 있는지, 어떤 소설이 무슨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지, 하는 식으로 의미에 매몰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센스는 그림이나 소설이 펼쳐지고 있는 형태, 운동이 그 자체로서 얼마나 재미있는지를 느끼는 데서 시작한다. 의미에서 벗어나자. 즉물적으로 그것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런 즉물적인 형태가 ‘리듬’이고, 이 리듬을 파악하는 것이야말로 ‘센스’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핵심이다.센스는 재미있는 ‘리듬의 배치’에서 나온다센스가 좋다는 건 나만의 개성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사물 그 자체의 리듬, 그 굴곡진 정도, 이런 배치가 재미있는 것이 좋은 센스다. 리듬의 부재와 존재의 명멸, 적절한 스펙트럼이 담긴 생성의 변화 과정, 반복과 차이, 규칙과 일탈, 균형 안에서 허락된 예측오차. 이런 리듬의 배치와 그걸 아는 것, 그리고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 바로 ‘좋은 센스’다.일상의 즐거움과 좋은 센스인생이 10배 더 즐거워지는 책저자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센스’의 실체가 서서히 떠오른다. 그렇다고 단순히 감이 좋아진다거나, 예술적 안목이 높아진다는 뜻이 아니다. 오히려 일상에 담긴 무수한 리듬의 의미를 깨닫고, 평소 놓치고 있던 리듬의 요소를 즐기게 된다는 의미다. ‘센스’에 ‘철학’을 붙여 책 제목을 만든 맥락이 여기에 있다. 이 책에는 ‘센스’라는 단어 해석을 넘어 ‘센스’로 삶을 풀어내는 ‘철학적’ 시도가 담겨 있다. 저자가 추적하는 센스의 흐름을 타보자, 기분 좋은 파도에 몸을 맡기듯. 센스와 더불어 인생 전반의 철학적 통찰과 창조적 사고가 당신을 기다릴 테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