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오이디푸스 왕·안티고네 외
EPUB
가격
5,500
5,500
YES포인트?
27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상세 이미지

소개

목차

아가멤논 / 아이스킬로스
코에포로이 / 아이스킬로스
오이디푸스 왕 /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 소포클레스

작품 해설
소포클레스 연보
아이스킬로스 연보

저자 소개3

소포클레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Sophocles

소포클레스는 『시학』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가 그 어느 작가보다도 높이 평가했던 그리스 극작가다. 『시학』의 비극론은 바로 소포클레스의 비극을 토대로 해 집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괴테는 소포클레스를 다음과 같이 칭찬하고 있다. “소포클레스 이후 그 어떤 사람도 내게 더 호감이 가는 사람은 없다. 그는 순수하고 고귀하고 위대하며 쾌활하다. 현존하는 소포클레스의 작품이 몇 편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유감이다. 그러나 몇 편의 작품일지라도 이 작품들은 읽으면 읽을수록 더 좋게 느껴진다.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의 작품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기원전 4
소포클레스는 『시학』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가 그 어느 작가보다도 높이 평가했던 그리스 극작가다. 『시학』의 비극론은 바로 소포클레스의 비극을 토대로 해 집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괴테는 소포클레스를 다음과 같이 칭찬하고 있다. “소포클레스 이후 그 어떤 사람도 내게 더 호감이 가는 사람은 없다. 그는 순수하고 고귀하고 위대하며 쾌활하다. 현존하는 소포클레스의 작품이 몇 편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유감이다. 그러나 몇 편의 작품일지라도 이 작품들은 읽으면 읽을수록 더 좋게 느껴진다.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의 작품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기원전 496년 그리스 아테네 근교에 자리 잡은 콜로노스에서 태어난 소포클레스는 아테네가 문화적으로 가장 성숙했던 시기에 배우인 동시에 극작가로 활동했다. 수려한 용모와 배우로서 손색이 없는 신체적 조건을 갖추고 있어서 처음에는 배우로서 명성을 날렸다. 기원전 468년, 28세에 첫 작품을 발표했고 이는 경연대회에서 일등상을 받았다. 이후 123편의 작품을 썼고 24회나 일등상을 받았다. 정치가로서도 탁월한 식견을 지녔던 소포클레스는 기원 전 445년, 델로스(Delos) 동맹이 결성되었을 때, 아테네 동맹국의 재정을 통괄하는 재정관에 선출되었다. 또한 기원전 443년에 페리클레스와 더불어 10명의 지휘관 직에 선출되었으며, 기원전 440년에는 사모스(Samos) 섬 원정에 출전할 장군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평생을 아테네에 살면서 그가 보여준 애국심과 진지한 인품은 시민들의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일생동안123편의 작품을 발표했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다음 7편뿐이다. 〈아이아스〉, 〈안티고네〉, 〈오이디푸스 왕〉, 〈필록테테스〉, 〈엘렉트라〉, 〈트라키스의 여인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가 그것이다.

소포클레스의 다른 상품

아이스킬로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Aeschylus

소포클레스(Sophocles), 에우리피데스(Euripides)와 더불어 고대 그리스의 3대 비극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데메테르 여신을 받드는 그리스의 엘레우시스에서 출생했으며, 신관직(神官職)을 맡았던 귀족 가문 출신이다. 아이스킬로스는 연극사의 첫 장을 장식하는 중요한 극작가다. 기원전 534년에 최초로 비극이 상연된 후,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를 통해 그리스 연극은 전성기를 맞는다. 기원전 3세기까지의 그리스 고대극의 전통은 로마를 거쳐 유럽 전체에 퍼지게 되고 서구 연극의 원류가 되었다. 기원전 484년에 개최된 드라마 경
소포클레스(Sophocles), 에우리피데스(Euripides)와 더불어 고대 그리스의 3대 비극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데메테르 여신을 받드는 그리스의 엘레우시스에서 출생했으며, 신관직(神官職)을 맡았던 귀족 가문 출신이다. 아이스킬로스는 연극사의 첫 장을 장식하는 중요한 극작가다. 기원전 534년에 최초로 비극이 상연된 후,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를 통해 그리스 연극은 전성기를 맞는다. 기원전 3세기까지의 그리스 고대극의 전통은 로마를 거쳐 유럽 전체에 퍼지게 되고 서구 연극의 원류가 되었다.

기원전 484년에 개최된 드라마 경연대회에서 최초로 우승한 후, 이후 28년 동안 열두 번 우승하면서 그리스 연극의 원조로 군림했다. 약 90편의 비극을 집필했으나 현재 남아 있는 작품은 일곱 작품뿐이다. 신혼 첫날밤에 신랑인 사촌 오빠들을 죽인 이집트 왕 다나오스의 딸들의 이야기를 다룬 『탄원자들(The Suppliants)』(BC 490),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다룬 『페르시아인(Persian)』(BC 472),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의 갈등과 싸움을 다룬 『테베 공격의 일곱 장군(Seven Against Thebes)』(BC 467),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의 이야기인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Bound)』(BC 460), 아가멤논의 죽음을 둘러싼 오레스테스와 아가멤논의 아내이며 오레스테스의 어머니인 클리타임네스트라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다룬 『오레스테이아(The Oresteia)』(BC 458) 3부작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작품이다.

아이스킬로스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 (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 (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들』, 아폴로도로스의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메난드로스 희극』, 『그리스 로마 에세이』,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사』, 크세노폰의 『페르시아 원정기』, 플라톤의 『국가』 『법률』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 『고르기아스/프로타고라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시학』 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그리스 비극의 이해』 등이 있다

천병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5월 05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42.22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15.8만자, 약 4.6만 단어, A4 약 99쪽 ?
ISBN13
9788931024937

출판사 리뷰

그리스 비극의 창조자 아이스킬로스와
그리스 비극의 완성자 소포클레스,
원전으로 번역한 그리스 비극의 최고 걸작 4편!

아이스킬로스는 그리스 비극의 창조자라 할 만하고, 소포클레스는 그리스 비극의 완성자로 불린다. 두 사람은 에우리피데스와 함께 그리스 비극의 3대 작가로 손꼽히기도 한다. 아이스킬로스와 소포클레스가 남긴 비극 작품은 후대 작가와 연구자에게 인간 정신의 기원을 담은 텍스트로 인정받으며 무수한 해석과 재창조의 원류가 되었다. 《오이디푸스 왕·안티고네 외》는 그중에서도 아이스킬로스와 소포클레스의 대표작 〈아가멤논〉, 〈코에포로이〉(아이스킬로스),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소포클레스)를 실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독문학자이자 고전 번역가인 고 천병희 선생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그리스어 원문에 의거해 번역한 작품들이다.

국가, 부성과 모성의 비극적 역학을 탐구한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아가멤논〉, 〈코에포로이〉

〈아가멤논〉은 트로이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아가멤논이 아내 클리타이메스트라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클리타이메스트라는 아가멤논이 전쟁터를 누비는 사이 다른 남자와 동침했고, 그와 공모해 아가멤논을 살해했다. ‘악녀’라 할 만하다. 그러나 아이스킬로스는 클리타이메스트라를 단편적으로 그려 매도하지 않는다. 남편 아가멤논을 향한 그녀의 원한은 딸 이피게네이아의 죽음에서 시작됐다. 트로이 전쟁 출전 이전, 바다에 거센 바람이 불어 배를 띄울 수 없자 아가멤논은 여신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딸을 제물로 바친다. 이피게네이아는 늘 아버지와 그 부하들을 축복하며 사기를 북돋웠는데도, 아버지 아가멤논은 제단에 오른 그녀의 입을 틀어막으라고 명령했다. 클리타이메스트라는 남편을 죽인 여자라는 세간의 비난에 당당히 항변한다. 왜 이피게네이아가 죽을 때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느냐며 말이다. 나아가 그녀는 딸을 잃은 슬픔을 전쟁에서 희생당한 모든 여성을 위한 정의로 확장한다. 아이스킬로스는 ‘악녀’라는 기표를 입체적으로 채워 진짜 악인은 누구인지를 질문한다.

한편 〈코에포로이〉는 〈아가멤논〉에서 이어지는 이야기로, 아가멤논과 클리타이메스트라의 또 다른 자녀들이 아버지 아가멤논의 복수를 위해 어머니를 응징하는 이야기를 비극의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이들은 어머니의 정부를 살해하고, 어머니에게도 죽음을 선사해 아버지와 나라를 앗아간 죄를 물으려 한다. 마침내 마주한 아들과 어머니가 나누는 최후의 대화에서 작품의 긴장은 극에 달하는데, 끝내 자녀들에게 단죄되는 클리타이메스트라의 운명에서 독자는 국가, 부성과 모성의 비극적 역학을 가늠해볼 수 있다.

인간과 인류 문명에 대한 근본적이고 심오한 질문
운명의 굴레에 갇힌 인간을 위한 비가

그리스 비극의 가장 유명하고 중요한 작품인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은 운명의 한계 앞에 굴복하는 인간의 모티프를 최초, 최고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오이디푸스와 그의 아버지 라이오스는 “네 아들은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동침할 것이다”라는 끔찍한 운명의 예언을 피하기 위해 온갖 방법을 시도한다. 그러나 끝내 그들이 운명을 피하기 위해 쳐놓은 덫에 걸려 파멸하고야 만다. 소포클레스는 인간이 오히려 자신의 운명에 대한 투시력 때문에 불행해진다고 말한다. 우리가 알 수 없는 거대한 운명의 굴레 앞에 끝없이 겸손해야 하는 이유다. 이는 인간은 자신의 현명함 때문에 오히려 제 발에 걸려 넘어지는 존재라는 인류 문명에 대한 근본적 통찰이기도 하다.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의 딸인 안티고네의 이야기로, 그녀는 새로 왕위에 오른 크레온의 명령을 거스르고 죽은 오빠의 시신을 거두어 합당하게 대우하고자 한다. 크레온은 자신의 명령을 어기려 드는 안티고네에게 격분해 거칠게 응징하려 들지만 안티고네는 거센 압박 속에서도 오빠에 대한 도리를 다하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는다. 결국 안티고네는 죽음을 맞이하고, 크레온은 안티고네의 약혼자이자 자신의 아들인 하이몬까지 함께 세상을 떠난 후에야 뒤늦게 잘못을 뉘우친다. 〈안티고네〉는 ‘국가법’과 ‘친족법’의 갈등을 다루는 텍스트로 풍부하게 해석되며 문학성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텍스트로 평가받는다.

이렇게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두 사람이 남긴 비극 네 편은 시대를 초월해 읽히며 지금도 그 의미를 갱신해 강렬한 문학적, 정치적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인간의 운명과 모순에 관한 가장 근원적이고 심오한 통찰을 담은 이 네 편의 이야기는 인간의 가능성과 한계를 고루 보듬어 깊은 울림을 안긴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