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
2. 원시공동체의 사회 3. 성읍국가와 연맹왕국 4.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5. 전제왕권의 성립 6. 호족의 시대 7. 문벌귀족의 사회 8. 무인정권 9. 신흥사대부의 등장 10. 양반사회의 성립 11. 사림세력의 등장 12. 광작농민과 도고상인의 성장 13. 중인층의 대두와 농민의 반란 14. 개화세력의 성장 15. 민족국가의 태동과 제국주의의 침략 16. 민족운동의 발전 17. 민주주의의 성장 18. 한국사의 발전과 지배세력 |
한국사신론을 저술하면서 저자가 가장 뜻을 둔 바는 크게 둘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었다. 정확한 구체적 사실은 올바른 역사가 성립하는 토대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서는 섣불리 남이 거부하기 힘든 이런 이유 저런 이유를 들어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예가 종종 있어왔다. 둘째는 구체적 사실들의 시대적 사회적 연결관계를 찾아서 이를 체계화하는 일이었다...
---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