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습도구
심혜령 등저 국립국어원 기획
마리북스 2019.02.28.
베스트
국어 top100 69주
가격
11,000
5 10,450
YES포인트?
330원 (3%)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16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이 상품의 태그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일러두기
등장인물

1과 계획서 작성하기
2과 협동 학습 하기
3과 보고서 쓰기
4과 모둠 활동 하기
5과 책 읽기
6과 필기하기
7과 복습하기
8과 점검하기
9과 문제 풀기
10과 발표하기
11과 토론하기
12과 실험하기
13과 평가받기
14과 예습하기
15과 체험하기
16과 학습 반응하기

정답
어휘 색인
문법 색인

저자 소개2

등저심혜령

관심작가 알림신청
 
배재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이다. 대표 저서로는 『다문화 가정 저학년 자녀의 학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어휘집』(2011, 공저), 『한국어 통사론의 전망』(2011, 공저), 『문제로서의 언어 5』(2014, 공저),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2』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 익힘책(2014, 2015, 2016 공저), 『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2』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 익힘책(2014, 2015, 2016 공저), 『세종한국문화 1』(2017, 공저), 『연세 한국어 사전과 문법 연구』(2017, 공저),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1~4』(2
배재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이다. 대표 저서로는 『다문화 가정 저학년 자녀의 학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어휘집』(2011, 공저), 『한국어 통사론의 전망』(2011, 공저), 『문제로서의 언어 5』(2014, 공저),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2』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 익힘책(2014, 2015, 2016 공저), 『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2』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 익힘책(2014, 2015, 2016 공저), 『세종한국문화 1』(2017, 공저), 『연세 한국어 사전과 문법 연구』(2017, 공저),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1~4』(2019, 공저),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습 도구』(2019, 공저), 『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습 도구』(2019, 공저), 『세종한국문화 2』(근간)가 있고, 주요 논저로는 (2015),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한국어 개념 설정 원리와 실제>(2017, 공동), <한국어 교육과정 수정·보완 및 한국어 성취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2016, 공동), <2017년 한국어(KSL) 교재 개발 기초 연구>(2017, 책임) 등이 있다.

심혜령 의 다른 상품

기획국립국어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길잡이』의 저자이다.

국립국어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2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256쪽 | 822g | 209*293*16mm
ISBN13
9788994011066

출판사 리뷰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선보이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일상생활과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의사소통 한국어]와
교과 학습 적응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리 사회에 다문화 배경을 가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들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창 성장의 터널을 지나고 있는 이 학생들이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한국 사회에서 더욱 혹독한 성장기를 겪고 있을지 모릅니다. 이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잘 적응하고, 또래 문화를 접하는 한국의 교육 체계 안에서 행복한 하나의 인격체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령기의 학생들도 공정하게 경쟁하며 꿈을 펼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그 가장 밑거름이 되는 것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입니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2012년에 ‘한국어 교육과정’을 마련해 공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실시해왔습니다. 그리고 몇 년 동안의 현장 경험을 토대로 2017년에 더욱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개정했습니다.

이번에 출간된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는 2017년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 고시에 따라 개발된 것입니다. 이 교재는 한국어 능력이 없거나 현저히 부족한 학생이 대상이며,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를 고려하여 교재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듈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특히 이번 교재는 [의사소통 한국어]와 [학습 도구 한국어]로 나눈 것이 특징입니다. [의사소통 한국어]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재입니다. [학습 도구 한국어]는 한국 교과 과정을 잘 따라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과 한국어 어휘 등을 배우는 교재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새로운 교육 방법인 자율 선택형 모듈 채택,
중학생들의 학업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학습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했어요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학습 도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중학생들의 학업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학습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총 16개 단원이며, 중학교 학습 수행을 해나가는 데 디딤돌이 되는 교과 관련 주제와 텍스트, 활동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단원은 ‘학습 활동 소개’ ‘학습하기’ ‘지식 더하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습하기’는 ‘학습 텍스트’ ‘어휘 확인하기’, ‘내용 확인하기’ ‘기능 확인하기’ ‘활동하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습 도구] 교재는 [의사소통 3, 4]의 ‘꼭 배워요’와 연계되는 동시에 ‘더 배워요’와 대응되는 영억입니다. [의사소통 3, 4]의 16개 단원과 [학습 도구]의 16개 단원은 각각 연계되어 있어 교육 현장의 상황에 따라 [의사소통ㄷ]의 ‘더 배워요’와 [학습 도구]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도입 : ‘도입’에서는 단원 전체의 내용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학습 활동 소개 : 해당 학습 활동의 절차와 과정, 방법 등을 시각화하여 구성했습니다.
-학습하기 : 각 학습 기능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시각화 및 매체화가 이루어진 텍스트로 구성했습니다.
-지식 더하기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텍스트 소재와 유관한 ‘교과 적응 한국어’ 어휘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한국어 능력을 더욱 향상하고자 했습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선택한 상품
10,450
1 10,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