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발간사
머리말 일러두기 등장인물 1과 계획서 작성하기 2과 협동 학습 하기 3과 보고서 쓰기 4과 모둠 활동 하기 5과 책 읽기 6과 필기하기 7과 복습하기 8과 점검하기 9과 문제 풀기 10과 발표하기 11과 토론하기 12과 실험하기 13과 평가받기 14과 예습하기 15과 체험하기 16과 학습 반응하기 정답 어휘 색인 문법 색인 |
심혜령 의 다른 상품
국립국어원의 다른 상품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선보이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일상생활과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의사소통 한국어]와 교과 학습 적응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리 사회에 다문화 배경을 가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들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창 성장의 터널을 지나고 있는 이 학생들이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한국 사회에서 더욱 혹독한 성장기를 겪고 있을지 모릅니다. 이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잘 적응하고, 또래 문화를 접하는 한국의 교육 체계 안에서 행복한 하나의 인격체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령기의 학생들도 공정하게 경쟁하며 꿈을 펼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그 가장 밑거름이 되는 것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입니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2012년에 ‘한국어 교육과정’을 마련해 공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실시해왔습니다. 그리고 몇 년 동안의 현장 경험을 토대로 2017년에 더욱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개정했습니다. 이번에 출간된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는 2017년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 고시에 따라 개발된 것입니다. 이 교재는 한국어 능력이 없거나 현저히 부족한 학생이 대상이며,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를 고려하여 교재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듈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특히 이번 교재는 [의사소통 한국어]와 [학습 도구 한국어]로 나눈 것이 특징입니다. [의사소통 한국어]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재입니다. [학습 도구 한국어]는 한국 교과 과정을 잘 따라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과 한국어 어휘 등을 배우는 교재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새로운 교육 방법인 자율 선택형 모듈 채택, 중학생들의 학업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학습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했어요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학습 도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중학생들의 학업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학습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총 16개 단원이며, 중학교 학습 수행을 해나가는 데 디딤돌이 되는 교과 관련 주제와 텍스트, 활동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단원은 ‘학습 활동 소개’ ‘학습하기’ ‘지식 더하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습하기’는 ‘학습 텍스트’ ‘어휘 확인하기’, ‘내용 확인하기’ ‘기능 확인하기’ ‘활동하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습 도구] 교재는 [의사소통 3, 4]의 ‘꼭 배워요’와 연계되는 동시에 ‘더 배워요’와 대응되는 영억입니다. [의사소통 3, 4]의 16개 단원과 [학습 도구]의 16개 단원은 각각 연계되어 있어 교육 현장의 상황에 따라 [의사소통ㄷ]의 ‘더 배워요’와 [학습 도구]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도입 : ‘도입’에서는 단원 전체의 내용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학습 활동 소개 : 해당 학습 활동의 절차와 과정, 방법 등을 시각화하여 구성했습니다. -학습하기 : 각 학습 기능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시각화 및 매체화가 이루어진 텍스트로 구성했습니다. -지식 더하기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텍스트 소재와 유관한 ‘교과 적응 한국어’ 어휘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한국어 능력을 더욱 향상하고자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