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is Lowry,Lois Ann Hammersberg
로이스 라우리의 다른 상품
조영학의 다른 상품
■ “네 진짜 이름은 치유자란다.”
세상을 구하기 위한 한 소년의 진정한 이름 찾기 여정 로이스 로리의 3부작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 사회의 여러 모습을 제시하면서 많은 함의를 담고 있는 수작이다. 세 번째 이야기 『메신저』에서는 앞의 두 이야기 속 주인공들이 동시에 등장하긴 하지만, 이 이야기를 따로 읽어도 될 만큼 잘 짜인 이야기 안에 상징과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맷티가 사는 마을은 결함과 상처를 가진 사람들도 너그럽게 수용하는 평화로운 곳. 허름한 움막과 매질을 일삼는 엄마를 피해 옛 마을에서 이곳으로 들어온 맷티는 맹인 아저씨와 함께 산다. 그러던 어느 날 사람들이 거래장에서 은밀한 것을 거래하기 시작하고 친절했던 사람들이 이기적으로 변하자 지도자는 마을을 폐쇄하기로 결정한다. 맷티는 마을 폐쇄를 알리는 메시지를 이웃마을에 전달하고, 『파랑 채집가』에서 미래를 보았던 누나 키라를 데리러 길을 떠난다. 숲을 통과하는 그 여정에서 ‘메신저’의 이름을 원했던 맷티는 ‘치유자’라는 자신의 진정한 이름을 얻게 된다. 바로 자신의 힘이 외부에 전달되며 생명을 되살리는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 치유된 상처와 새로운 삶, 그리고 평화에 대한 꿈 『메신저』에서는 전작 두 편에서 그려진 “비정상적인” 사회에서 쫓겨나거나 탈출한 사람들이 모여 아주 “멋진” 사회를 만든다. 맷티를 비롯해, 지도자 조나스와 ‘보는 자’ 키라까지, 『메신저』의 주인공들은 모두 과거 세계와 자신들의 상징적인 죽음을 거쳐 이곳 『메신저』의 세상에서 부활한다. 바로 상처받고 버림받은 사람들을 돌봐주고 서로 사랑하고, 또 표현과 행동의 자유가 보장된 세상이 맷티가 사는 마을이다. 하지만 작가는 바로 그 ‘멋진’ 사회에 의문을 품고 구성원들에게 시험을 시도한다. 모두가 평화롭고 행복한 이상적인 마을에 그 마을을 뒤흔드는 검은 거래가 시작된다. 착했던 여자는 게임기를 얻고 남편을 구박하기 시작하고, 맷티의 친구 라몬은 게임기를 얻은 후부터 시름시름 앓기 시작한다. 또한 이기심이 마을을 떠다니기 시작한다. 외부인들이 들어오면 환영 행사를 벌이고 그들이 정착하도록 기꺼이 도와주었던 사람들이 외부 사람들의 유입을 반대하고 나선다. 평화롭던 마을을 뒤흔든 거래는 물질 만능주의가 된 현대사회에 대한 고발로도 읽힐 수 있다. 평화와 행복이라는 이상적 가치는 화려한 옷이나 게임기가 거래되는 거래장을 통해 틈이 갈라지기 시작하고 결국엔 마을 폐쇄로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작가는 전작에서 그랬듯이 이 사회가 암울하게만 치닫도록 내버려 두지 않는다. ‘너머를 보는 자’인 지도자를 통해 ‘미래를 그려내는 자’인 키라를 마을로 데려오도록 맷티에게 임무를 부여한다. 자신의 자리가 ‘메신저’인 줄 알았던 맷티가 숲의 여정을 통해 ‘치유’의 능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작가는 또 다시 평화와 공존을 꿈꾸게 한다. 치유의 능력이 발휘된 공간은 바로 숲. 대지와, 숲, 공기에 소생의 기운을 흘려 보내는 맷티는 결국 사람만이 다시 혼탁한 사회의 해결법이라는 진리를 상징적으로 일깨운다. 또한 그 치유의 힘은 마지막 장면에서 땅에 손을 댄 맷티의 행동이 상징하듯, 자연에서 얻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