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오순도순 정답게 까마귀 노래/소꿉놀이/까치 노래/도둑 흉내 내기/바람 노래/ 뱀 잡기/풍금땡금놀이/손바닥 속 맞히기/벌꿀놀이/얼음물놀이/ 수수께끼놀이/샅치기놀이/손바닥치기/웃음놀이/포수놀이/ 제2부 골목골목 뛰놀며 가마타기/공기놀이/사방치기/딱지치기/어깨동무놀이/기차놀이/ 숨바꼭질/말타기놀이/한 줄 놀이/제기차기/바람개비돌리기/ 청어엮기놀이/팽이치기/토끼놀이/허수아비놀이/ 제3부 마당놀이 신나게 고양이와 쥐/기와밟기/그림자밟기/널뛰기/닭잡기/뒤씨름/ 땅빼앗기/못치기/수건돌리기/비석치기/자치기/꼬리잡기/ 줄넘기/글자 파서 알아맞히기/달집태우기/ 제4부 들판을 내달리며 고사리 끊기/공치기놀이/달팽이놀이/수박따기/죽마타기/쥐불놀이/ 연날리기/소놀이/조각배놀이/풀이름 맞히기/방아깨비놀이/풀각시놀이/ 호드기 불기/두꺼비집 짓기/ |
권영세의 다른 상품
우리 민속놀이 동시 햇볕 쨍쨍 맑은 날 / 그림자를 데리고 마당에 함께 나와 / 그림자밟기 놀이 술래가 달려오면 /그림자 살짝 감추고 뜀박질하다 숨차면 / 그늘에서 함께 쉬자 하늘이 맑은 날, 대여섯 명의 아이들이 넓은 마당이나 골목에서 하는 놀이다. 이 놀이는 날씨가 맑은 한낮에 즐길 수 있지만 보름달이 뜬 밤에 하면 특별한 재미가 있다. 가위바위보를 하여 진 사람을 술래로 정한다. 술래는 다른 아이들의 그림자를 쫒아가서 밟는다. 이때 그림자가 밟히는 아이가 다음 술래가 되어 놀이를 계속하면 된다. 이 책에 실린 ‘그림자밟기’라는 놀이와 놀이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안타깝게도 도시에서는 넓은 마당이나 골목에서 이런 놀이를 하는 아이들을 보기 어렵고, 시골에서는 아이들이 없어 이런 놀이 자체가 사라졌다. 이것은 단순한 아이들의 놀이가 아니라 하나하나가 다 소중한 무형의 유산이다. 아이들의 놀이에서 전래되지 않으면 이런 소중한 것들이 결국에는 영원히 사라지게 된다. 어떤 기록이라도 있어야만 놀이의 방법을 알 수 있고, 기회가 되면 배워서 다시 아이들이 모여 놀 수 있다. 저자는 선조들의 얼과 지혜가 담긴 민속놀이가 사라지는 데 대한 안타까움에 아이들에게 동시를 읽으며 놀이의 방법을 상세히 알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이처럼 ‘민속놀이’는 예로부터 민간에 자연적으로 발생해 전하여 내려오는 놀이다. 이 민속놀이에는 각 지방의 생활과 풍속이 반영되어 있다. 그래서 지방마다 놀이방법과 놀이할 때 부르는 노랫말이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다. 이 동시집에는 잘 알려진 놀이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 전래의 놀이를 바탕으로 얼마든지 새로운 놀이를 만들 수도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8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제작된 이 동시집에는 모두 4부로 나누어 59편의 동시가 실려 있다. 곧 59편의 전래 놀이가 이 한 권의 동시집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권영세 시인은 ‘창주문학상(1980)’, ‘아동문학평론(1980)’, ‘월간문학신인작품상(1981)’ 당선으로 등단해 동시집 『겨울풍뎅이』, 『참 고마운 발』 외 여러 권과 『권영세 동시선집』 등을 펴냈으며 대한민국문학상, 대구시문화상(문학), 한국동시문학상 등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