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발간사
머리말 일러두기 한글의 자음자와 모음자 1. 저는 아비가일이에요 2. 이건 뭐예요? 3. 음악실은 어디에 있어요? 4. 서점에 가요 5. 도서관에서 책을 읽어요 6. 오늘 뭐 해요? 7. 놀이터에서 자전거 탔어 8. 음식을 골고루 먹겠습니다 잘 배웠나요? 정답 |
Lee Byoung-Gyu
이병규 의 다른 상품
국립국어원의 다른 상품
2019년 2월에 교육부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출간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 익힘책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본교재 구성에 따른 「의사소통 한국어 저학년」(1~4단계), 「의사소통 한국어 고학년」(1~4단계), 「학습 도구 한국어」(1~2학년, 3~4학년, 5~6학년) 총 11권으로 출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한국어를 배우는 「의사소통 한국어 저학년」은 초등 1~2학년이 대상, 「의사소통 한국어 고학년」은 초등 3~6학년이 대상이며, 「학습 도구 한국어」는 학교생활과 교과 학습에 필요한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재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기르기 위한 「의사소통 한국어 저학년」 1~4단계, 「의사소통 한국어 고학년」 1~4단계, 학교생활과 교과 학습에 더욱 도움이 되는 「학습 도구 한국어」(1~2학년, 3~4학년, 5~6학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익힘책도 본교재 구성에 따라 「의사소통 한국어 저학년」 1~4단계, 「의사소통 한국어 고학년」 1~4단계, 「학습 도구 한국어 익힘책」(1~2학년, 3~4학년, 5~6학년) 총 11권으로 출간이 되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기르는 「의사소통 한국어」는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해서 「의사소통 한국어 저학년」(1~4단계), 「의사소통 한국어 고학년」(1~4단계)으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의사소통 한국어」의 1~4단계는 한국어 급수에 따른 구분입니다. 저학년 교재와 고학년 교재는 한국어 급수 구분은 같지만,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배운 한국어 내용을 적용하는 활동에서 차이를 두었습니다. 예를 들면, 저학년 교재에서는 저학년 학생들에게 친숙한 활동이나 놀이를, 고학년 교재에서는 고학년 학생들에게 친숙한 활동이나 놀이를 담았습니다. 「의사소통 한국어 저학년」은 1~2학년 학생들이 대상이고, 「의사소통 한국어 고학년」은 3~4학년 학생들이 대상입니다. 「학습 도구 한국어」는 학교생활과 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한국어를 배우는 교재인 만큼 1~2학년, 3~4학년, 5~6학년으로 구분을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