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론
1. 대화로서의 논문 쓰기 논문 쓰기와 근대적 학문 공동체 | 논문을 쓴다는 것 | 논문 쓰기란 대화하는 것 | 이야기하기로서의 논문 쓰기 2. 좋은 논문에는 좋은 질문이 있다: 질문 만드는 법 ‘우상에 대한 시비 걸기’와 ‘평범한 것에 대한 호기심’ | 질문 거리는 어디서 얻는가 | 질문의 기본 형식: 차이와 관계 | 질문 유형 좋은 질문이란? | 내 질문은 무엇인가? 3. 서사로서 논문의 구조와 흐름 논문의 구성 | 논문의 흐름 | 논문의 서사를 구축하라 4. 어떻게 대화를 시작할 것인가: 제목, 초록, 서론 제목 | 체크 리스트 | 초록 | 서론 | 독자에게 말 걸기 5. 다리 놓기: 문헌 고찰과 연구 문제 계속해서 가상 독자를 상정하라 | 문헌 검토와 연구 문제 제시 부분의 구성 | 관계의 문제 | 화자의 문제 | 문헌 검토는 교과서가 아니다 | 몇 가지 더 남은 이야기 | 자기 목소리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라 6. 공적인 글쓰기: 연구 방법과 결과 연구 방법 | 몇 가지 (노파심에서 하는) 제언 | 연구 결과 | 반복 가능성과 명확성 7. 새로운 청중의 등장: 결과에 대한 논의 결과에 대한 논의의 | 연구 목적 소개와 결과의 요약 |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 제안 | 자신의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이야기하기 8. 논문 쓸 때 생각할 몇 가지 남은 이슈 논문은 계속 앞으로 달리는 방식으로 써야 한다 | ‘거시기’ 화법을 지양하고 모든 지시어를 의심하라 | 두괄식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 하나의 문단에는 하나의 아이디어만 | 가능하면 한 문장짜리 문단을 쓰지 말라 | 접속사는 최소한으로 사용하라 | 단문으로 쓰라 | 수동형 문장보다는 능동형 문장으로 | 주어와 술어는 일치해야 | ‘무생물 주어’ | 논문 작성 기준을 잘 준수하라 | 결국 좋은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가 문제다 9. 대화는 계속된다: 심사 위원들과의 대화 학술지 선택 | 논문 제출 후 받게 되는 결과 | 심사 위원에 대한 대응 | 논문이 거부되었을 때 | 논문 투고 과정도 일종의 대화다 10. 대화로서의 논문, 마지막 이야기 획기적인 이야기는 피하라 | 자신에게 의미 있는 이야기를 담으라 |
김용찬 의 다른 상품
당장 논문을 쓰고 싶어질 정도로 명쾌하다. 영향력 있는 논문을 쓰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 권예지 (박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논문을 쓰기로 작심한 사람이라면 이 두렵고 때론 지루한 세계에 왜 계속 끌리게 되었는지, 오래 논문을 써 온 사람이라면 그 어렵고 필히 외로운 경로에서 왜 결코 벗어나지 못했는지, 깨닫게 해 주는 책이다. 단지 글을 잘 쓰는 기술이 아니라, 생각과 삶이 함께 지혜로워질 수 있는 태도와 노력의 가치를 알려준다. - 김예란 (광운대학교 교수)
|
논문 작성이라는 어렵고 지루한 주제를 독자와 대화하듯 재밌게 쓴 책. 수필 한 편을 읽은 듯하다. - 이상엽 (연세대학교 교수)
|
“논문을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구체적이고 쉽게 설명한다. 논문이라는 큰 벽에 부딪힌 학생과 연구자라면 꼭 읽어야 할 책. - 정주영 (일본국제기독대학(ICU) 교수)
|
논문을 써야 하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후배 연구자를 향한 선배 연구자의 위로와 소소한 유머는 덤! - 조아라 (박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
이 책은 논문 쓰는 것이 대화이고 공동체와 관계 맺는 일임을 생생히 알려준다. 논문 쓰기에 대한 의외의 관점과 실용적인 길을 발견할 수 있다. - 채영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