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논문, 쓰다
대화하는 논문
김용찬
컬처룩 2020.07.10.
베스트
글쓰기 top100 62주
가격
16,000
16,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서론

1. 대화로서의 논문 쓰기

논문 쓰기와 근대적 학문 공동체 | 논문을 쓴다는 것 | 논문 쓰기란 대화하는 것 | 이야기하기로서의 논문 쓰기

2. 좋은 논문에는 좋은 질문이 있다: 질문 만드는 법

‘우상에 대한 시비 걸기’와 ‘평범한 것에 대한 호기심’ | 질문 거리는 어디서 얻는가 | 질문의 기본 형식: 차이와 관계 | 질문 유형 좋은 질문이란? | 내 질문은 무엇인가?

3. 서사로서 논문의 구조와 흐름

논문의 구성 | 논문의 흐름 | 논문의 서사를 구축하라

4. 어떻게 대화를 시작할 것인가: 제목, 초록, 서론

제목 | 체크 리스트 | 초록 | 서론 | 독자에게 말 걸기

5. 다리 놓기: 문헌 고찰과 연구 문제

계속해서 가상 독자를 상정하라 | 문헌 검토와 연구 문제 제시 부분의 구성 | 관계의 문제 | 화자의 문제 | 문헌 검토는 교과서가 아니다 | 몇 가지 더 남은 이야기 | 자기 목소리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라

6. 공적인 글쓰기: 연구 방법과 결과

연구 방법 | 몇 가지 (노파심에서 하는) 제언 | 연구 결과 | 반복 가능성과 명확성

7. 새로운 청중의 등장: 결과에 대한 논의

결과에 대한 논의의 | 연구 목적 소개와 결과의 요약 |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 제안 | 자신의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이야기하기

8. 논문 쓸 때 생각할 몇 가지 남은 이슈

논문은 계속 앞으로 달리는 방식으로 써야 한다 | ‘거시기’ 화법을 지양하고 모든 지시어를 의심하라 | 두괄식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 하나의 문단에는 하나의 아이디어만 | 가능하면 한 문장짜리 문단을 쓰지 말라 | 접속사는 최소한으로 사용하라 | 단문으로 쓰라 | 수동형 문장보다는 능동형 문장으로 | 주어와 술어는 일치해야 | ‘무생물 주어’ | 논문 작성 기준을 잘 준수하라 | 결국 좋은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가 문제다

9. 대화는 계속된다: 심사 위원들과의 대화

학술지 선택 | 논문 제출 후 받게 되는 결과 | 심사 위원에 대한 대응 | 논문이 거부되었을 때 | 논문 투고 과정도 일종의 대화다

10. 대화로서의 논문, 마지막 이야기

획기적인 이야기는 피하라 | 자신에게 의미 있는 이야기를 담으라

저자 소개1

미디어 사회 이론 연구자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다. 미디어, 도시, 위험 사회 분야를 연구한다. 연세대학교 ‘도시커뮤니케이션센터’의 센터장이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아이오아대학교와 앨라배마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다. 책으로는 《포스트매스미디어》, The Communication Ecology in the 21st Century Urban Communities, The Candlelight Movement,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 《미디어와 공동체》(공저), 《뉴미디어와 이주민》, 《논문
미디어 사회 이론 연구자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다. 미디어, 도시, 위험 사회 분야를 연구한다. 연세대학교 ‘도시커뮤니케이션센터’의 센터장이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아이오아대학교와 앨라배마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다. 책으로는 《포스트매스미디어》, The Communication Ecology in the 21st Century Urban Communities, The Candlelight Movement,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 《미디어와 공동체》(공저), 《뉴미디어와 이주민》, 《논문, 쓰다》 등이 있다.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서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용찬 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7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288쪽 | 304g | 128*188*20mm
ISBN13
9791185521800

추천평

당장 논문을 쓰고 싶어질 정도로 명쾌하다. 영향력 있는 논문을 쓰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 권예지 (박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논문을 쓰기로 작심한 사람이라면 이 두렵고 때론 지루한 세계에 왜 계속 끌리게 되었는지, 오래 논문을 써 온 사람이라면 그 어렵고 필히 외로운 경로에서 왜 결코 벗어나지 못했는지, 깨닫게 해 주는 책이다. 단지 글을 잘 쓰는 기술이 아니라, 생각과 삶이 함께 지혜로워질 수 있는 태도와 노력의 가치를 알려준다. - 김예란 (광운대학교 교수)
논문 작성이라는 어렵고 지루한 주제를 독자와 대화하듯 재밌게 쓴 책. 수필 한 편을 읽은 듯하다. - 이상엽 (연세대학교 교수)
“논문을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구체적이고 쉽게 설명한다. 논문이라는 큰 벽에 부딪힌 학생과 연구자라면 꼭 읽어야 할 책. - 정주영 (일본국제기독대학(ICU) 교수)
논문을 써야 하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후배 연구자를 향한 선배 연구자의 위로와 소소한 유머는 덤! - 조아라 (박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이 책은 논문 쓰는 것이 대화이고 공동체와 관계 맺는 일임을 생생히 알려준다. 논문 쓰기에 대한 의외의 관점과 실용적인 길을 발견할 수 있다. - 채영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리뷰/한줄평8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9.6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16,000
1 1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