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생각독해Ⅲ
01 욕망 생각읽기 1 [세계사] 베르사유 궁과 루이 14세 생각읽기 2 [인문] 욕망의 통제는 꼭 필요할까 원리로 생각읽기 주장이 나오면 그 근거가 따라 나온다 생각읽기 3 [경제] 기업의 이윤 추구 생각읽기 4 [동양 사상] 이천 년을 이어 온 논쟁 생각읽기 5 [심리학]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 생각읽기 6 [미술] 루뱅 보쟁의 정물화 속 오감 02 운동 생각읽기 1 [사상] 개벽의 시대를 소망하다 생각읽기 2 [스포츠] 바나나킥에 숨은 원리 원리로 생각읽기 순우리말 대신 한자어를 많이 쓰는 이유 생각읽기 3 [미술] 밀레와 쿠르베가 본 아름다운 인생 생각읽기 4 [지구 과학] 지구의 하루는 왜 길어질까 원리로 생각읽기 원리나 과정을 설명할 땐 그림으로 보여 준다 생각읽기 5 [물리·천문] 공간 속 운동에 대하여 생각읽기 6 [체육·의학] 운동할 때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들 03 원리 생각읽기 1 [전통 기술] 조선에도 디지털 시계가 있었다 생각읽기 2 [예술] 회화의 조형 원리, ‘통일성’ 생각읽기 3 [언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가치 생각읽기 4 [생물] 식물 속 물은 어떻게 이동할까 생각읽기 5 [과학] 이누이트의 지혜가 담긴 이글루 원리로 생각읽기 글쓴이가 자문자답하는 이유 생각읽기 6 [윤리] 희망의 사회 윤리, ‘똘레랑스’ 04 패러다임 생각읽기 1 [과학·철학]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이야기 원리로 생각읽기 통념에 대한 반박은 효과적인 설명 전략이다 생각읽기 2 [천문학·역사] 1582년, 그레고리력의 등장 생각읽기 3 [예술·사회] 음원 수익 배분 방식의 변화 생각읽기 4 [경제] 소유의 시대에서 공유의 시대로 생각읽기 5 [인문·사상] 조선 시대 실학의 탄생 생각읽기 6 [세계사] 르네상스를 이끈 메디치 가문 05 비밀 생각읽기 1 [언어·생명 과학] 꿀벌은 어떻게 의사소통을 할까 원리로 생각읽기 문장의 서술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2 [수학] 마방진 이야기 생각읽기 3 [건축·세계사] 만리장성은 무너지지 않는다 생각읽기 4 [미술] 동서양 미술에 담긴 비밀 코드 생각읽기 5 [생명 과학] 새들이 경계음을 내는 이유 생각읽기 6 [뇌 과학·심리학] 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06 본질 생각읽기 1 [인문·철학] 본질이란 무엇인가 원리로 생각읽기 사례는 글을 이해하는 도구가 된다 생각읽기 2 [미술] 미니멀리즘 조형 생각읽기 3 [인문·역사] 진리란 무엇인가 생각읽기 4 [사회·정치] 정의란 무엇인가 생각읽기 5 [과학·기술] 시간이란 무엇인가 생각읽기 6 [언어] 언어란 무엇인가 07 상상 생각읽기 1 [문화] 우리 문화 속 상상의 동물 생각읽기 2 [영화·만화] 영화적 재현과 만화적 재현 생각읽기 3 [자연·언어] 무지개, 자연 현상과 상상력의 발현 생각읽기 4 [과학·인물] 어느 억만장자의 화성 이주 프로젝트 생각읽기 5 [인문·기술] 인류의 미래와 인공 지능(AI) 원리로 생각읽기 수식어, 글쓴이의 생각을 분명하게 해 주다 생각읽기 6 [의학] 미래의 의학 기술 |
김보라의 다른 상품
[교재활용법 (생각독해 이렇게 활용하세요)]
지문을 읽고 문제만 풀어내면 독해 끝일까? 글쓴이의 생각까지 읽을 수 있어야 진짜 독해다! 독해는 글을 읽고 그 뜻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독해력의 기본은 글쓴이의 생각에 따라 짜여진 정보들, 즉 글의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죠. 그럼 글의 내용을 모두 이해하면 독해는 끝일까요? 어떤 글이든 글쓴이의 생각이 담겨 있지 않은 글은 없습니다. 그런데 글쓴이는 자신의 생각을 바로 말하지 않고 글 속에 꽁꽁 숨기곤 합니다. 독해력을 기르는 최고의 전략은, 이렇게 글의 내용을 읽어내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입장이 되어 글에 숨어 있는 글쓴이의 생각까지 읽어 내는 것입니다. 글쓴이의 생각까지 읽을 수 있어야 진짜 독해입니다. 하나, 하나의 아이디어로 다양한 영역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고? 똑같은 아이디어로 인문, 사회, 경제, 역사, 과학, 기술, 미술, 음악 등에서 어떤 생각들이 오고가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생각읽기에서는 하나의 빅 아이디어로 다양한 영역의 생각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수능에 어떤 지문이 나올지 알 수 없는 막막함, 이제 생각읽기로 시작해보세요! 둘, 독해 원리가 궁금해? 글쓴이의 생각이 곧 독해원리다! 문제를 풀다 보면 글쓴이는 왜 글을 이렇게 썼을까, 왜 이런 문제를 냈을까? 궁금하면서도 한편으론 원망스럽기도 하죠? 지문 곳곳에 숨어 있는 이미지팁과 원리로 생각읽기에서 그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셋, 딱딱한 문단 구조는 NO! 재미있는 생각퍼즐로 생각을 구조화하다! 놀이처럼 각 문단에 담긴 생각을 퍼즐로 만드는 훈련을 반복하면, 나도 모르는 사이 한 편의 글을 읽을 때 머릿속에 그 글이 익숙한 퍼즐 형태로 보일 거예요! 넷, 한 단어로 생각을 모을 수 있어야 진짜 독해가 끝난다! 둥둥 떠다니는 먼지처럼 글을 읽기만 하고 생각을 정리하지 않으면, 내가 읽었던 그 글은 이내 내 머릿속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길고 긴 글을 읽고 한 문장, 더 나아가 한 단어로 요약할 수 있어야 그 글은 진정한 내 것이 됩니다. 생각의 구조화에서 다양한 생각들을 문단으로 생각읽기 〉 한 문장으로 생각읽기 〉 한 단어로 생각읽기 통합해 내 것으로 만들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