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생각독해Ⅰ
01 호기심 생각읽기 1 [심리학] 호기심이란 무엇인가 생각읽기 2 [신화] 호기심, 금기를 깨다 원리로 생각읽기 첫 문단에 이미 글 전체 내용이 나와 있다 생각읽기 3 [경영·광고] 도대체 저 광고는 뭘까 생각읽기 4 [과학·기술] 이걸 크게 보면 어떤 모습일까 생각읽기 5 [역사·문화] 경이로운 저장소, 박물관의 탄생 생각읽기 6 [미스테리·과학] 정말 있을까? 외계인과 UFO 02 빅 퀘스천 생각읽기 1 [사회·윤리] 사회에 정의가 꼭 필요할까 생각읽기 2 [역사] 역사는 왜 배울까 원리로 생각읽기 반복되는 단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3 [심리·형이상학] 나는 왜 나일까 생각읽기 4 [철학] 행복이란 무엇일까 원리로 생각읽기 부정 진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5 [천문]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 생각읽기 6 [예술] 이집트 벽화 속 사람들은 왜 독특할까 03 해프닝 생각읽기 1 [역사] 클레오파트라의 콧대 원리로 생각읽기 글쓴이가 흥미를 유발하는 방법 생각읽기 2 [기술] 고무의 재발견 생각읽기 3 [정치] 오보가 낳은 베를린 장벽 붕괴 생각읽기 4 [영화] 말발굽 논쟁에서 시작된 영화 생각읽기 5 [미술] 추상 회화에 대한 이해 생각읽기 6 [예술] 예술의 새로운 모험, 해프닝 04 도구 생각읽기 1 [철학] 합리적 사고가 왜 필요할까 원리로 생각읽기 용어의 정의가 나오면 기억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2 [정치·경제]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잘 반영하려면 생각읽기 3 [수학·역사] 산대, 중국 전통 수학의 원동력 생각읽기 4 [기술] 나폴레옹은 정말 키가 작았을까 생각읽기 5 [예술·문화] 오브제, 예술이 되다 생각읽기 6 [인류학·언어] 문자의 필요성과 논의들 05 차이 생각읽기 1 [논리학] 밀이 제안한 일치법과 차이법 생각읽기 2 [사회] 세대 차이는 왜 일어날까 원리로 생각읽기 글의 시작과 끝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3 [사회·문화] 서로 다르게 읽히는 문화 생각읽기 4 [수학] 지역과 민족마다 다른 수의 체계 생각읽기 5 [생명 과학] 동물들의 눈동자 모양은 왜 다를까 생각읽기 6 [예술] 동서양의 그림, 어떻게 다를까 06 기원 생각읽기 1 [천문학] 과학자들이 바라본 우주 원리로 생각읽기 연결고리인 접속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2 [화학·역사] 비금속으로 금을 만들자 생각읽기 3 [경제] 화폐의 등장, 그 이후 생각읽기 4 [인류학] 선사 시대 인류의 삶 생각읽기 5 [생명 과학]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의들 생각읽기 6 [화학·지구 과학] 원소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7 소멸 생각읽기 1 [인류학] 네안데르탈인은 왜 사라졌을까 생각읽기 2 [세계사] 로마 제국은 왜 멸망했을까 원리로 생각읽기 글에서 드러나는 관점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생각읽기 3 [언어] 지구상에서 사라져가는 언어들 생각읽기 4 [사회·법률] 지금은 사라진 조선의 법 이야기 생각읽기 5 [예술] 단토의 예술 종말론 생각읽기 6 [생명 과학] 세포도 나이를 먹는다 |
김보라의 다른 상품
[교재활용법 (생각독해 이렇게 활용하세요)]
지문을 읽고 문제만 풀어내면 독해 끝일까? 글쓴이의 생각까지 읽을 수 있어야 진짜 독해다! 독해는 글을 읽고 그 뜻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독해력의 기본은 글쓴이의 생각에 따라 짜여진 정보들, 즉 글의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죠. 그럼 글의 내용을 모두 이해하면 독해는 끝일까요? 어떤 글이든 글쓴이의 생각이 담겨 있지 않은 글은 없습니다. 그런데 글쓴이는 자신의 생각을 바로 말하지 않고 글 속에 꽁꽁 숨기곤 합니다. 독해력을 기르는 최고의 전략은, 이렇게 글의 내용을 읽어내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입장이 되어 글에 숨어 있는 글쓴이의 생각까지 읽어 내는 것입니다. 글쓴이의 생각까지 읽을 수 있어야 진짜 독해입니다. 하나, 하나의 아이디어로 다양한 영역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고? 똑같은 아이디어로 인문, 사회, 경제, 역사, 과학, 기술, 미술, 음악 등에서 어떤 생각들이 오고가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생각읽기에서는 하나의 빅 아이디어로 다양한 영역의 생각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수능에 어떤 지문이 나올지 알 수 없는 막막함, 이제 생각읽기로 시작해보세요! 둘, 독해 원리가 궁금해? 글쓴이의 생각이 곧 독해원리다! 문제를 풀다 보면 글쓴이는 왜 글을 이렇게 썼을까, 왜 이런 문제를 냈을까? 궁금하면서도 한편으론 원망스럽기도 하죠? 지문 곳곳에 숨어 있는 이미지팁과 원리로 생각읽기에서 그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셋, 딱딱한 문단 구조는 NO! 재미있는 생각퍼즐로 생각을 구조화하다! 놀이처럼 각 문단에 담긴 생각을 퍼즐로 만드는 훈련을 반복하면, 나도 모르는 사이 한 편의 글을 읽을 때 머릿속에 그 글이 익숙한 퍼즐 형태로 보일 거예요! 넷, 한 단어로 생각을 모을 수 있어야 진짜 독해가 끝난다! 둥둥 떠다니는 먼지처럼 글을 읽기만 하고 생각을 정리하지 않으면, 내가 읽었던 그 글은 이내 내 머릿속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길고 긴 글을 읽고 한 문장, 더 나아가 한 단어로 요약할 수 있어야 그 글은 진정한 내 것이 됩니다. 생각의 구조화에서 다양한 생각들을 문단으로 생각읽기 〉 한 문장으로 생각읽기 〉 한 단어로 생각읽기 통합해 내 것으로 만들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