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CHAPTER 1 소프트웨어 아키텍트가 되다1.1 소프트웨어 아키텍트가 하는 일1.2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란 무엇인가1.3 팀에서 아키텍트가 되려면1.4 훌륭한 소프트웨어 만들기1.5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1.6 마치며CHAPTER 2 디자인 싱킹 기초2.1 디자인 싱킹의 네 가지 원칙2.2 디자인 마인드셋 장착하기2.3 생각-실행-확인하기2.4 마치며[PART 2 아키텍처 설계의 기초]CHAPTER 3 설계 전략 고안하기3.1 만족스럽게 설계하기3.2 설계를 얼마나 우선해야 하는가3.3 위험 요소를 가이드로 삼기3.4 설계 계획 세우기3.5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3.6 마치며CHAPTER 4 이해관계자와 공감하기4.1 알맞은 사람과 이야기하기4.2 이해관계자 맵 만들기4.3 비즈니스 목표 탐색하기4.4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4.5 마치며CHAPTER 5 아키텍처 핵심 요구사항 알아내기5.1 제약으로 설계 선택지 줄이기5.2 품질 속성 정의하기5.3 기능 요구사항 찾아내기5.4 아키텍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 찾아내기5.5 콘웨이 법칙5.6 필요한 정보에 깊이 들어가기5.7 ASR 워크북 만들기5.8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5.9 마치며CHAPTER 6 아키텍처 선택하기6.1 대안을 위한 분기, 결정을 위한 융합6.2 제약 수용하기6.3 품질 속성 끌어올리기6.4 구성 요소에 기능별 역할 할당하기6.5 변화에 대응하는 디자인6.6 결정은 미룰 수 있을 때까지 미룬다6.7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6.8 마치며CHAPTER 7 패턴으로 기초 만들기7.1 아키텍처 패턴이란 무엇인가7.2 레이어 패턴7.3 포트와 어댑터 패턴7.4 파이프와 필터 패턴7.5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패턴7.6 발행/구독 패턴7.7 공유 데이터 패턴7.8 멀티 계층 패턴7.9 숙련된 전문가 패턴7.10 오픈소스 공헌 패턴7.11 큰 진흙 공 패턴7.12 새로운 패턴 발굴하기7.13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7.14 마치며CHAPTER 8 의미 있는 모델로 복잡도 관리하기8.1 아키텍처 파악하기8.2 메타모델 설계하기8.3 코드로 모델 구현하기8.4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8.5 마치며CHAPTER 9 아키텍처 디자인 스튜디오 운영하기9.1 아키텍처 디자인 스튜디오 계획하기9.2 적절한 설계 활동 선택하기9.3 적절한 참가자 초대하기9.4 그룹 관리하기9.5 원격으로 협업하기9.6 사례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9.7 마치며CHAPTER 10 설계 시각화하기10.1 다양한 관점으로 아키텍처 표현하기10.2 멋진 다이어그램 그리기10.3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10.4 마치며CHAPTER 11 아키텍처 문서화하기11.1 문서화의 가치11.2 상황에 맞는 서술 방법11.3 명세서의 독자 고려하기11.4 이해도가 중요하다11.5 이해관계자의 관심사에 맞추어 뷰 구성하기11.6 결정에 대한 논리적 근거 설명하기11.7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11.8 마치며CHAPTER 12 아키텍처 평가하기12.1 평가를 통해 배우기12.2 설계 테스트하기12.3 평가 워크숍 꾸리기12.4 빠르게, 자주, 지속해서 평가하기12.5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12.6 마치며CHAPTER 13 아키텍트에게 힘 실어주기13.1 아키텍처 사고력 향상시키기13.2 팀의 의사결정력과 역량 높이기13.3 안전한 훈련으로 기회 만들기13.4 설계 권한 위임하기13.5 함께 아키텍처 설계하기13.6 사례 연구: 라이언하트 프로젝트, 성대한 결말13.7 마치며[PART 3 아키텍트의 은빛 도구상자]CHAPTER 14 문제를 이해하고 싶을 때활동 1 하나만 고르기활동 2 공감 지도활동 3 GQM 접근법활동 4 이해관계자 인터뷰활동 5 가정 나열하기활동 6 품질 속성 레이다 차트활동 7 미니 품질 속성 워크숍활동 8 관점 매드 립활동 9 허수아비 반응활동 10 이해관계자 맵CHAPTER 15 해결책을 찾고 싶을 때활동 11 아키텍처 의인화활동 12 아키텍처 플립북활동 13 컴포넌트-역할 카드활동 14 개념도활동 15 나눠서 정복하기활동 16 이벤트 스토밍활동 17 그룹 포스터활동 18 라운드 로빈 설계활동 19 화이트보드 토론CHAPTER 16 손에 잡히는 설계를 만들고 싶을 때활동 20 아키텍처 의사결정 기록(ADR)활동 21 아키텍처 하이쿠활동 22 컨텍스트 다이어그램활동 23 인기 독서 목록활동 24 인셉션 덱활동 25 모듈식 분해 다이어그램활동 26 가지 않은 길활동 27 프로토타입활동 28 시퀀스 다이어그램활동 29 시스템 메타포CHAPTER 17 설계 대안을 평가하고 싶을 때활동 30 아키텍처 브리핑활동 31 코드 리뷰활동 32 의사결정 매트릭스활동 33 관측하기활동 34 질문-코멘트-우려사항활동 35 리스크 스토밍활동 36 온전성 검사활동 37 시나리오 훑어보기활동 38 스케치하고 비교하기부록: 기여자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일은 언제나 혼란스럽습니다. 비즈니스 목표를 이해하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제약을 극복하면서도 모두가 만족할 만한, ‘제대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키텍트에게는 소프트웨어를 비즈니스 관점에서 바라보는 안목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를 조망하고 세부 기술을 이해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이 책은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변화의 첫걸음을 내딛는 이를 위한 실전 입문서입니다. 회사에서 갑자기 설계 일을 맡게 된 사람이나, 프로젝트를 직접 이끌어야 하는 스타트업 개발자와 CTO에게 최적의 책입니다. 물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폭넓게 이해하고픈 개발자에게도 유용합니다.아키텍처와 설계에 대한 필수 지식, 경력 있는 아키텍트의 경험담, 실무와 현장의 사례를 이 책 한 권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 하나의 장이 끝날 때마다 ‘라이언하트’라는 가상 도시의 프로젝트 사례로 배운 내용을 정리합니다. 난항을 겪으면서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프로젝트 사례를 따라가다 보면, 여러분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을 읽는 모두가 프로젝트와 팀을 성공으로 이끄는 훌륭한 아키텍트로 거듭나길 바랍니다.주요 내용-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란 무엇이고 아키텍트는 무슨 일을 하는가- 디자인 싱킹과 디자인 마인드셋을 활용한 아키텍처 설계 전략- 이해관계자와 비즈니스 목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기- 아키텍처 핵심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품질 속성 정의하기- 자주 사용하는 아키텍처 패턴과 사용법- 아키텍처 모델을 활용해 시스템 복잡도 관리하기- 아키텍처 디자인 스튜디오 운영하기- 설계를 시각화하고 아키텍처 문서화하기- 아키텍처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반영해 개선하기- 적절하게 설계 권한을 위임하며 팀의 역량 높이기- 현업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38가지 팀 활동대상 독자-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커리어를 변경하고 싶은 사람-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대로 이해하여 실무 개발 능력을 향상하고 싶은 사람- 소프트웨어의 전체 구조 및 개발 과정 전체를 이해하고 싶은 신입 개발자- 소프트웨어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이해해보고 싶은 사람개발 경력별 이 책의 활용법- 신입 개발자: 단순히 코드를 짜는 일을 뛰어넘어,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프로젝트이라는 숲을 보며 시야를 넓혀보세요.- 5년 이하 경력의 개발자/아키텍트: 흔히 쓰는 패턴, 모델, 설계 방식을 이해하고, 아키텍처를 시각화하고 문서화하는 방법을 배우세요. 사람들과 협업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면, 사례 탐구와 경력 있는 아키텍트들의 기고문을 통해 지혜로운 방법을 찾아보세요.- 10년 이상 경력의 개발자/아키텍트: 아키텍트로서 프로젝트를 직접 이끌거나 개발 팀장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나요? 팀원 및 이해관계자와 제대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볼 만한 활동을 찾아보고 책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직접 따라해보세요. 금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구매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b*****0|2023.02.02|추천0|댓글0리뷰제목
이 책은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변화의 첫걸음을 내딛는 이를 위한 실전 입문서입니다. 회사에서 갑자기 설계 일을 맡게 된 사람이나, 프로젝트를 직접 이끌어야 하는 스타트업 개발자와 CTO에게 최적의 책입니다. 물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폭넓게 이해하고픈 개발자에게도 유용합니다.
아키텍처와 설계에 대한 필수 지식, 경력 있는 아키텍트의 경험담, 실무와 현장의 사례를 이 책;
이 책은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변화의 첫걸음을 내딛는 이를 위한 실전 입문서입니다. 회사에서 갑자기 설계 일을 맡게 된 사람이나, 프로젝트를 직접 이끌어야 하는 스타트업 개발자와 CTO에게 최적의 책입니다. 물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폭넓게 이해하고픈 개발자에게도 유용합니다.
아키텍처와 설계에 대한 필수 지식, 경력 있는 아키텍트의 경험담, 실무와 현장의 사례를 이 책 한 권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 하나의 장이 끝날 때마다 ‘라이언하트’라는 가상 도시의 프로젝트 사례로 배운 내용을 정리합니다. 난항을 겪으면서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프로젝트 사례를 따라가다 보면, 여러분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을 읽는 모두가 프로젝트와 팀을 성공으로 이끄는 훌륭한 아키텍트로 거듭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