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6월 07일 |
---|---|
쪽수, 무게, 크기 | 580쪽 | 183*235*35mm |
ISBN13 | 9791165215743 |
ISBN10 | 1165215748 |
발행일 | 2021년 06월 07일 |
---|---|
쪽수, 무게, 크기 | 580쪽 | 183*235*35mm |
ISBN13 | 9791165215743 |
ISBN10 | 1165215748 |
1장 새로운 인프라 환경이 온다 1.1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이란 1.2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지원하는 도구 1.3 새로운 인프라 환경의 시작 2장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2.1 테스트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도구 2.2 베이그런트로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 2.3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가상 머신 접속하기 3장 컨테이너를 다루는 표준 아키텍처, 쿠버네티스 3.1 쿠버네티스 이해하기 3.2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배우기 3.3 쿠버네티스 연결을 담당하는 서비스 3.4 알아두면 쓸모 있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4장 쿠버네티스를 이루는 컨테이너 도우미, 도커 4.1 도커를 알아야 하는 이유 4.2 도커로 컨테이너 다루기 4.3 4가지 방법으로 컨테이너 이미지 만들기 4.4 쿠버네티스에서 직접 만든 컨테이너 사용하기 5장 지속적 통합과 배포 자동화, 젠킨스 5.1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에서 CI/CD 5.2 젠킨스 설치를 위한 간편화 도구 살펴보기 5.3 젠킨스 설치 및 설정하기 5.4 젠킨스로 CI/CD 구현하기 5.5 젠킨스 플러그인을 통해 구현되는 GitOps 6장 안정적인 운영을 완성하는 모니터링,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6.1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모니터링하기 6.2 프로메테우스로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과 통합하기 6.3 PromQL로 메트릭 데이터 추출하기 6.4 그라파나로 모니터링 데이터 시각화하기 6.5 좀 더 견고한 모니터링 환경 만들기 부록 A kubectl을 더 쉽게 사용하기 부록 B 쿠버 대시보드 구성하기 부록 C kubespray로 쿠버네티스 자동 구성하기 부록 D 컨테이너 깊게 들여다보기 |
개발자로서 다양한 개발환경을 손쉽게 관리하기 위해서 도커와 쿠버네티스는 필수적으로 익혀야하는 도구입니다. 기존의 관리 방법을 고수한다면 학습은 필요없지만, 빠르게 돌아가는 서비스 환경에서 비효율이 발생합니다. 이 두 가지 서비스를 실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학습이 필요한데요. 한 번도 이런 서비스를 사용해보지 않았다면 이 학습 과정이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공식 기술 문서 이외에 이러한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나 서적이 충분하지 않기에 초심자가 다가가기 더욱 어렵기도합니다.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는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환경 세팅,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자세한 방법까지 잘 설명하고 있어 아직 이러한 환경을 제대로 사용해보지 않은 개발자들, 혹은 사용은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동작 방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분들께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총 580페이지,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2장은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에 대해 소개하고,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도구를 설치합니다. 버추얼 박스와 베
이그런트로 가상 환경을 구성하고, 부ㅎ타를 통해 가상 머신에 접속합니다.
3장에서는 쿠버네티스의 개념을 알아보고, 쿠버네티스의 구성요소를 이해합니다.
4장은 도커에 대해 이해합니다. 파드, 컨테이너, 도커, 쿠버네티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쿠버네티스 에서 도커 이미지를 구동하는 방법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5장은 젠킨스를 통해 배포를 간편화하고, GitOps를 통해 배포 환경을 통해 배포 자동화를 배울 수 있습니다.
6장에서는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를 이용해 인프라환경 모니터링에 대해 익힐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보다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는 책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다이어그램이나 도표를 적극 활용해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습니다.
중간중간 나오는 하지만 Tip은 쿨팁이 가득했습니다. 쿠버네티스를 이용한 인프라 환경 관리에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던 분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실습을 통해 하나하나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쿠버네티스에 적응해 있는 모습이 되어있을거라고 확신합니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새 IT 인프라 환경은 컨테이너 기반의 쿠버네티스로 관리하는게 대세라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우선 컨테이너는 하나의 운영 체제 커널에서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가상화 상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보다 가볍고 빠르게 동작하는게 특징이라 말한다. 도커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컨테이너 도구이며, 쿠버네티스는 다수의 컨테이너 인프라에 필요한 기능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발전되었다고 언급한다. 이 책은 실습 환경이 매우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는데, 가장 먼저 개인 노트북이나 PC에 가상 환경을 구축하고 그 안에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는 순서로 진행되고 있다. 즉, 가상 환경 설치 후 프로비저닝 도구인 베이그런트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는 일부터 시작한다. 그 뒤에 사용자 설정이 가장 많이 필요한 kubeadm으로 쿠버네티스를 구성하고, 쿠버네티스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실습한다. 이 때 파드 단위라는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하거나 교체해 파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셀프 힐링도 소개하고 있다.
한편 쿠버네티스는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는 워크플로 구조가 아니라 선언적인 시스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서, 추구하는 상태를 API 서버에 선언하면 다른 요소들이 API 서버에 와서 현재 상태와 비교하고 그에 맞게 상태를 변경하려고 한다고 말한다. 또한 외부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서비스라고 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노드포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라 언급한다. 그 밖에도 온프레미스에서 로드밸런서를 사용하기 위해 MetalLB을 활용하는 방법,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파드 수를 조절하는 HPA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 각 파드가 순서대로 생성되기 때문에 고정된 이름, 볼륨, 설정 등을 가질 수 있는 스테이트풀셋에 대한 설명 등이 이어진다. 이어서 자바 실행 파일을 빌드하고 이를 다시 도커 빌드를 사용해 컨테이너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 쿠버네티스에서 도커 이미지를 구동하는 방법, CI/CD 도구인 젠킨스와 연계해 통합 및 배포 자동화를 설정하는 방법, kubectl, 헬름 같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환경에 맞는 배포 간편화 도구들을 활용하는 방법, 젠킨스에서 제공해주는 플러그인을 통해 GitOps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같은 모니터링 도구 활용 방법도 알려주고 있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