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시작되는 새로운 모험과 만남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이후로 인도네시아 발리섬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던 알란. 보통 사람 같았으면 낙원과도 같은 섬에서 무위도식하는 데 만족했겠지만, 알란은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 그의 101세 생일이 다가오고, 친구 율리우스는 생일 파티를 위해 거대한 열기구를 준비한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바람과 조작 미숙, 기계 고장 때문에 알란과 율리우스는 망망대해에 불시착하고 만다. 다행히 지나가던 배가 조난 신호탄을 쏘아 올린 그들을 보고 구조하러 오지만 그 배는 농축 우라늄을 몰래 운반하고 있던 북한 화물선이었다. 알란은 화물선 선장에게 자신이 핵무기 전문가라고 거짓말을 해버리고, 북한으로 끌려가게 되는데…….
101세 노인, 김정은과 트럼프를 만나다?!
1년 동안 알란에게 생긴 가장 큰 변화는 그가 뉴스에 중독되었다는 것이다. 우연히 태블릿을 손에 넣고 사용법을 익히고 나서 알란은 온갖 뉴스를 접하게 된다. 그가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과 만나는 이야기는 황당한 웃음을 유발하는 동시에 핵, 군축, 난민, 네오나치 등 국제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스스럼없이 드러낸다. 한 편의 로드 무비 같은 주인공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씁쓸한 일과도 마주친다는 점이야말로 이 소설의 숨겨진 매력이다.
전작에서 스탈린, 마오쩌둥, 트루먼, 김일성과 김정일 등 과거 20세기의 정치 지도자들을 풍자 대상으로 삼았다면 이번에는 김정은, 트럼프, 메르켈, 푸틴 등 현재 21세기의 지도자들이 등장한다. 그중에서도 풍자의 집중 대상은 김정은과 트럼프이며 작가는 이 둘을 「태평양 양편에 하나씩 서 있는 거대한 자아, 그것은 아무 쓸데없는 두 개의 혹덩이」라고 가차없이 비판한다.
작품 전반부는 아예 북한이 무대이다. 농축 우라늄을 밀수해 핵무기를 만들고자 하는 김정은, 남한 등지에서 정보전을 펼치며 북한을 주시하는 세계 각국의 비밀 요원들, UN에서 벌어지는 표면적인 논의와 물밑 싸움까지. 한국 독자들을 움찔하게 만드는 대목이 불쑥불쑥 튀어나올 것이다.
“따라서 난 이 모든 권력자들에게 「미안합니다」라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너무 불평하지 마쇼, 더 고약하게 쓸 수도 있었으니까」라고도,
또 「그래, 내가 만일 그렇게 썼다면 어쩔 건데?」라고 묻고도 싶다.”
- 머리말 중에서
옮긴이의 한마디
요나손의 소설은 생각만큼 가볍지 않고, 그가 전하는 메시지도 생각만큼 단순하지 않다. 정신없이 터지는 폭소들 가운데 삶의 진실을 드러내는 서늘한 촌철살인이 도사리고 있다. 역자는 개인적으로 그동안 요나손의 작품들을 그저 유쾌하고도 행복한 기분으로만 번역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 책들이 툭툭 던지는 한마디 한마디가 얼마나 진실인지(일테면 "세상만사는 그 자체일 뿐이고 앞으로도 무슨 일이 일어나든 그 자체일 뿐이란다") 뼈저리게 느끼고 있고, 또 그 말들에서 비할 바 없는 삶의 지혜와 위안을 얻어 왔음을 고백한다.
배꼽 빠지게 웃긴다. 전편을 읽은 독자들과 새로운 독자들을 똑같이 즐겁게 해줄 것이다.
- 『퍼블리셔스 위클리』
「포레스트 검프」까지 떠오르게 하는 걸작.
- 『라이브러리 저널』
옛 친구의 반가운 방문.
- 『북리스트』
전편만큼이나 재미있고, 보너스로 오늘날의 미친 정치 세계를 폭로하는 소설.
- 『익스프레스』
100세 노인이 돌아왔다. 더 좋아지고, 더 말도 안 되게.
- 『디 차이트』
언제나 최악을 걱정하기보다 최선을 기대한다는 점이야말로 요나손의 소설과 그 주인공의 성공 비결일 것이다. - 『슈피겔』
괴상한 아이디어와 따뜻한 유머, 가벼운 내러티브로 가득하지만 인생의 어두운 면, 멜랑콜리, 비극, 크고 작은 부당함을 숨기지 않는다.
- 『쥐트도이체 차이퉁』
요나손은 우리 시대의 골치 아픈 문제들을 전부 꺼내, 놀랍고 웃긴 회전목마에 태워 버렸다.
-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