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유튜브 시청자들은 취향에 따라 나만의 스타를 찾고, 이들과 같이 채널을 만들어 갑니다. 연예인들은 공중파나 케이블 등 제도권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굿즈를 팔고 멤버십 가입을 통해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구독자를 기반으로 한 이러한 시스템은 인기 유튜버들을 억대의 수입을 버는 존재로 만들어 주었고, 너도나도 콘텐츠 제작자로 참여하게 된 유튜브는 결국 세계 최대의 비디오 공유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 「유튜브에 빠진 대한민국」 중에서
유튜브는 모바일 시청자가 콘텐츠에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남기는 소통방식을 넘어, TV 시청 때도 앱을 통해 유튜브 플랫폼에서의 소통을 이어 나갈 수 있게 진화했습니다. 이제 TV 자체의 유튜브 앱을 통해 구독을 누르고, 탐색하고, 스마트폰으로 보던 콘텐츠를 TV에서 이어 시청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TV나 스마트폰 등 디바이스를 뛰어넘어 커뮤니티를 끈끈하게 이어가는 방법을 계속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 「이제 유튜브는 TV 속으로」 중에서
한편의 영상을 만들 때 인생을 거는 역작을 만들고자 할 수도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업로드해야 하는 유튜브의 특성상 영상을 제작할 때는 적절한 시간을 들여서 만드는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효율적으로 영상을 제작하려면 채널 성격에 맞는 기획을 하고 그 안에서 영상 제작, 업로드, 커뮤니티 탭이나 댓글 등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신경 써야 합니다. 아마도 유튜브 채널을 시작한다면 적은 인력과 장비, 시간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기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좋은 기획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 「유튜브 채널에서 기획이 필요한 이유」 중에서
A라는 유튜버가 있다고 할게요. 처음엔 음식 관련 영상을 올리다가, 이후에 갑자기 기타 연주 영상을 올리기 시작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심지어 나중에는 캠핑 장비 리뷰를 올리면 유튜브를 관리하는 입장에서 이 채널을 어떻게 정의할까요? 음식 유튜브? 음악 유튜브? 캠핑 유튜브? 결국 유튜브는 기업이니 돈을 벌기 위해 해당 영상을 클릭한 시청자들에게 광고를 보여줘야 합니다. 그런데 채널 성격이 불분명하니 관련 광고를 정하기도 어렵고, 타깃이 모여있지 않으니 광고 효과도 높지 않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는 거죠. 결국 이런 일이 반복되면 자연스럽게 노출량도 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다는 것」 중에서
유튜브를 하려면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유튜브는 누구에게나 오픈된 영상 플랫폼이라는 것입니다. 그 말은 나의 영상이 프로들이 만든 영상과도 경쟁한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 내가 만든 영상의 위아래로 유명 연예인들의 영상이 놓일 수도 있고,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등 비싼 제작비가 들어간 영상이 놓일 수 있다는 것이죠. 어떻든 결국 내가 만든 영상이 그들과 싸워서 선택받아야 하는데, 그 정도로 잘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생각해 봐야 합니다. 기술적으로 그들과 싸워 선택받을 정도의 영상을 만들지 못할 것 같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 합니다. 결국 내가 올린 영상이 나의 타깃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인지, 나의 콘텐츠로 그들의 눈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해야 합니다.
--- 「제작 방법이 쉬워졌다고 영상 제작이 쉬운 건 아니다」 중에서
기업과 공공채널에서도 숏폼 콘텐츠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단 숏폼 콘텐츠 제작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기 채널의 롱폼 콘텐츠를 잘라서 만들어도 저작권 이슈 등이 생기지 않는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또한 기존 콘텐츠보다 시청자들의 기댓값이 낮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그냥 재미있거나 나에게 필요한 정보라면 시청자들은 관대하게 시청하는 것입니다.
이런 숏폼 콘텐츠가 확장되어 커머스, 뉴스, 웹툰, AI, 스포츠 등의 내용을 담은 숏폼 춘추전국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기업이나 단체에서 영상 공모전을 열 때, 숏폼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공모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응모자들이 숏폼 콘텐츠 제작에 부담을 덜 느끼기 때문에 참가자 수도 많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네이버도 이런 숏폼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앱 메인화면에 클립을 전면으로 내세우고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기업, 공공채널들도 숏폼 콘텐츠 제작에 열중한다」 중에서
구독을 유도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아마도 좋은 콘텐츠를 발견했다고 바로 구독을 누르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나의 콘텐츠가 마음에 들면, 일단 그 채널의 다른 콘텐츠를 한 번 더 보고, 그때 맘에 들면 구독을 누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이런 프로세스에 따라서 구독을 누르죠. 혹은 그 이후 영상을 시청했던 채널의 또 다른 영상이 알고리즘의 추천을 받아 타임라인에 뜨게 될 때, 이를 선택하며 자연스럽게 구독으로 연결됩니다. 따라서 하나의 콘텐츠만 잘 만든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성격과 방향, 크리에이터의 매력이 지속되어야 구독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같은 관심사나 취미를 가진 사람들에게 우선 노출되도록 채널 방향성에 맞는 주제를 가진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업로드해야 합니다. 그래야 빨리 같은 성향의 시청자들에게 노출돼 구독자들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 「유튜브의 성공을 꿈꾸는 자, 꾸준함을 가져라」 중에서
유튜브가 판단하는 좋은 콘텐츠는 시청 시간이 긴 콘텐츠입니다. 재미없는 콘텐츠는 평균적으로 긴 시청 시간을 기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튜브는 평균적으로 긴 시청 시간을 가진 유튜버의 콘텐츠를 같은 관심을 가진 카테고리의 시청자들과 매칭시키려 합니다. 이것이 알고리즘의 핵심이지요.
만일 시청자와 해당 유튜브 채널이 잘 맞으면 시청자들은 ‘좋아요’나 ‘공유’, ‘구독’이나 댓글을 씁니다. 유튜브는 이를 좋은 관계로 받아들이고 채널과 콘텐츠를 더 많이, 더 보기 좋은 상단에 위치시킵니다. 이렇게 기업의 수익 극대화라는 관점으로 보면 왜 구독, 좋아요, 댓글이 많아야 하는지 이해가 됩니다.
--- 「수익 측면에서 분석한 유튜브 알고리즘」 중에서
관공서나 기관 영상을 보다 보면 영상 내용을 보는 것이 아니라, 파워포인트 보고서 글자를 따라 애니메이션을 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토리 없이 애니메이션 효과만으로 만들어진 영상은 좋은 영상이 아닙니다. 이런 영상은 한 번은 참고 봐줄 수 있다 해도, 결코 다시 보고 싶거나 다음 장면이 어떨지 궁금해지는 영상은 될 수 없습니다. 화면 안의 영상은 목적을 두고 스토리를 만들거나 평소 보지 못 한 장면을 통해 관심을 끌어야 주목도가 높아지고 시청 지속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 「영상은 보고서가 아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