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무의식을 의식하는 순간 모든 것은 달라진다 - 4PART 1뇌는 나이를 먹어도 계속 성장한다 - 18젊은 뇌 유지하는 법뇌 일부를 잘라냈더니 생긴 놀라운 일훈련으로 기억을 강화할 수 있을까?평생 스트레스받지 않는 뇌를 만드는 법 - 25스트레스를 낮추는 방법 한 가지누구나 강철 멘탈이 될 수 있다우울하고 불안할수록 뇌가 똑똑하다는 증거 - 30뇌는 불확실성을 가장 좋아한다‘아프지 않다’고 되뇌면 달라지는 것들나약해서 우울한 거라는 무지한 착각뇌의 화학적 상태를 바꾸는 플라세보우울증과 해마의 새로운 관계세포는 일단 많이 만들어놓는 우리 몸 시스템나이 들어도 뇌 세포는 계속 생겨날까?똑똑할수록 우울증에 잘 걸린다노력하지 않고 기억력 높이는 법 - 46행운은 느긋하게 누워서 기다려라노력하지 않고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수학은 한번에, 영어는 조금씩 단계별로답답할 때 담배를 찾게 되는 이유 - 51담배를 끊는 사람과 끊지 못하는 사람의 차이누군가에게는 독, 누군가에게는 약유전자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비밀은 뇌에 있다 - 57뇌과학이 바라보는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자동문도 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인공지능과 인간의 결정적 차이기계와 융합된 인간은 기계일까, 인간일까?심박수를 조절하는 요가의 달인 PART 2의욕을 내고 싶다면 일단 몸부터 움직여라 - 70도대체 의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의욕은 뇌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몸이 없다면 뇌는 한낱 덩어리일 뿐일단 행동해야 의욕이 생긴다 칭찬받을수록 똑똑해지는 뇌당신이 연인에게 반한 진짜 이유도파민에 중독된 뇌가 성공한다유전자보다 강력한 ‘이것’의 힘 - 82성공의 능력을 결정짓는 요소기억력을 높이는 일곱 가지 유전자절대음감은 타고나야만 하는 걸까?의지가 강한 사람의 유전자는 따로 있을까?이기고 싶다면 빨간색 옷을 입어라 - 89빨간색은 승부욕을 높여준다당신의 눈은 세 가지 색깔만 감지한다청색과 흰색, 유도복은 어느 쪽의 승률이 더 높을까?공작의 깃털이 화려한 이유는 무엇일까?잠든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놀라운 일 - 96하루 중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7.5시간잠든 동안 기억은 빠르게 재생된다뇌는 꿈을 꾸지 않을 때 무엇을 할까?스트레스로 지친 당신에게 필요한 알파파의 힘 - 100뇌파를 자극하면 신체 능력이 달라진다?주의력이 높아졌을 때 세타파가 나타난다세타파의 리듬을 타면 성적이 올라간다 토끼는 200번 반복하면 기억한다 기분 전환만 해도 뇌의 성능이 올라간다그래도 가끔은 매너리즘이 필요하다직장에서 써먹을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법상황에 맞는 최적의 뇌를 찾아라적게 먹을수록 뇌는 똑똑해진다 - 112‘헝그리 정신’이 과학적인 이유인간의 유전자에 새겨진 언어 창조 능력단맛과 쓴맛의 정도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 이유전 세계에서 통하는 언어당신의 기억은 왜곡되었다 - 119대충할 거라면 시작하지도 말 것떠올릴수록 왜곡되는 기억기억과 항생물질의 기이한 관계 영원한 기억은 존재하지 않는다잊으려고 술을 마시면 더 또렷해지는 아이러니PART 3살찔 걱정 없이 먹게 될 날이 온다 - 128배가 부른데도 멈출 수 없는 까닭은혈관이 늙으면 몸도 병들기 시작한다몸에 나쁠수록 맛있어지는 음식의 진리기억력을 높이는 약도 출시될까?쾌락보다 공포나 불안을 강하게 느끼도록 설계된 인간 - 135무지개의 색깔은 일곱 가지가 아니다습관적으로 거짓말하는 뇌지도에는 자신의 집을 가장 크게 그린다 선입견과 편견으로 똘똘 뭉친 뇌동물도 감정을 느낄까?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술은 정말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까? - 143당신은 언제든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어차피 마실 거라면 넋 놓고 즐겁게도망치는 것은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뇌의 비효율적인 구조는 지하철과 비슷하다술을 마시면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건망증이 심해도 의외로 괜찮은 이유 - 152건망증은 나이 때문이 아니다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점기억을 떠올리는 뇌 작업의 신비내 머릿속의 지우개를 없애고 싶다면건망증은 건강하게 잊는다는 뜻뇌는 행복해지기 위해 마음을 속인다 - 161우리의 뇌는 ‘정신 승리’를 좋아한다여자친구의 헤어 스타일이 바뀌어도 눈치채지 못하는 이유너무 빠른 학습은 독이 된다인간이 MBTI에 진심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 - 169미신을 좋아하는 인간의 뇌혈액형별 미신의 비밀언젠가 한 가지 성 씨만 남을지도 모른다이름에 따라 운명이 바뀐다면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꼭 먹어야 하는 음식 - 178꾸준히 챙겨 먹어야 하는 이 영양소세상에서 가장 비극적인 병이 물질이 뇌에 쌓이기 시작하면 신경세포가 죽어간다독으로 독을 제압하는 치료법지금 당장 실천 가능한 치매 예방법PART 4당첨되지 않을 걸 알면서도 복권을 사는 심리 - 188사람들이 복권을 사는 이유놀랍도록 정확한 인간의 감각그리고 놀랍도록 엉성한 인간의 감각규칙을 어기고 싶은 충동이 생기는 과학적 원인 - 194우는 사람만 보면 따라 눈물이 난다면상대의 행위를 보고 반응하는 ‘거울 뉴런’인간에게 특별히 부여된 또 하나의 유전자MRI로 마음 상태도 찍을 수 있을까?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존재할까?선택의 이유는 언제나 ‘그냥’그 사람은 왜 나를 좋아할까?범죄를 저지르는 뇌도 있다면결국은 의지의 문제다때론 산만함이 창의력을 만든다뇌의 100퍼센트를 사용할 수 있다면 - 212우리는 뇌의 몇 퍼센트를 사용하고 있을까?인간의 몸은 10퍼센트로 충분하다인간만큼 불리한 몸을 지닌 포유류는 없다인간과 티라노사우루스가 가진 의외의 공통점뇌과학으로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 - 219뇌는 말장난을 한다아기는 어떻게 웃는 걸까?어이없는 실수에 헛웃음이 나오는 것은 과학이다심장을 보호하는 오른손잡이 유전자피아노 건반이 오른쪽으로 갈수록 고음인 이유재충전이 필요한 당신에게, 가장 잘 쉬는 법에 대하여 - 229하루 3시간만 자도 살 수 있다면인간의 생체 리듬의 주기는 25시간이다얕은 잠을 잘 때 꿈꾸는 이유잘 때 가위눌리는 의학적 이유매일 잠이 부족해서 피곤한 당신에게짧은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꿀잠’ 자는 유전자맺음말 결국 뇌를 아는 것은 자신을 아는 것이다 - 240참고 문헌 - 242
|
글이케가야 유지
관심작가 알림신청Yuji Ikeya,いけや ゆうじ,池谷 裕二
이케가야 유지의 다른 상품
역김성기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성기의 다른 상품
“세계가 주목하는 뇌과학자 이케가야 유지의 두뇌 사용법”과학적으로 인간에게 의지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아침에 눈을 뜨고 눈을 감을 때까지 우리는 수많은 선택을 한다. 지금 당장 일어날 것인지, 알람을 끄고 더 잘 것인지, 건강한 식사를 할 것인지, 정크 푸드로 끼니를 때울 것인지, 운동을 갈 것인지, 누워서 유튜브를 볼 것인지 등. 더 나은 선택을 하지 못한 날이면 ‘나는 왜 이렇게 의지가 부족할까?’라며 자책감에 휩싸이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당신의 의지 탓이 아니다. 과학적으로 인간에게 ‘의지’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당신의 ‘뇌’ 탓이다.인간의 뇌는 무척이나 비합리적이고 엉성하다. 적극적으로 손해 보기를 좋아하고 일을 망치기를 간절히 원한다. 엉성하기 짝이 없음에도 매력적인 이 인간의 뇌에는 일종의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이것을 이해하면 의지를 끌어올리려고 애쓸 필요도, 매일 실패를 자책하며 잠들 필요도 없다. 일, 관계, 사랑, 심지어는 다이어트 같은 아주 사소하지만 지겨운 모든 일이 훨씬 간단하고 쉬워질 수 있다.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에 자존감이 무너져 내릴 때 우리는 자꾸 마음을 들여다본다. 하지만 마음의 소리는 뇌가 하는 거짓말이다. 우리가 정말로 알아야 하는 것은 뇌의 작동 원리다.“뇌는 언제나 거짓말한다”행복해지기 위해 마음을 속이는 뇌스웨덴 룬드대학의 홀 박사가 진행한 실험은 인간의 뇌가 때때로 얼마나 엉성하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실험자는 실험 참여자에게 두 여성의 얼굴 사진을 앞에 놓고 더 마음에 드는 여성의 사진을 고르게 한다. 여기서 실험자는 사진을 몰래 바꿔치기해 참여자가 선택한 사진이 아닌 다른 사진을 건넨다. 놀랍게도 이때 참여자 중 약 80퍼센트는 그 사진의 얼굴이 자신이 선택한 얼굴과 다르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했다고 한다. 이는 ‘변화맹’이라는 뇌의 작용 때문이다. 변화를 거부하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뇌의 무의식적인 본능에서 비롯된 오류다.이와 비슷한 일은 일상적으로 일어난다. 사랑스러운 연인의 “나 뭐 바뀐 거 없어?”라는 질문이 어렵고 난감한 이유는 변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뇌 탓이다. 회의를 할 때도 나와 다른 의견에 거부감이 들며 곧바로 수용할 수 없는 것 역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뇌의 본능 때문이다. ‘변할 리가 없어.' '내 선택이 잘못되었을 리 없어.’뇌는 언제나 합리화한다. 행복해지기 위해 마음을 속인다. 이런 뇌의 성질은 객관적인 사실 판단 능력을 떨어뜨리지만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도 한다. 삶에 어떤 고난과 역경이 닥쳐도 인간이 다시금 털고 일어설 수 있는 이유는 어쩌면 보고 싶은 대로 보고, 믿고 싶은 대로 믿으며 희망을 속삭이는 뇌의 거짓말 덕분일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