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다자이 오사무 컬렉션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사양


옮긴이의 말
다자이 오사무 연보

저자 소개2

다자이 오사무

관심작가 알림신청

Dazai Osamu,だざい おさむ,太宰 治,츠시마 슈지津島修治

1909년 6월 19일, 일본 아오모리 현 쓰가루 군 카나기무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쓰시마 슈지[津島修治]이다. 그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으나 가진 자로서의 죄책감을 느꼈고, 부모님의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해서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게 성장한다. 1930년, 프랑스 문학에 관심이 있었던 그는 도쿄제국대학 불문과에 입학하지만, 중퇴하고 소설가가 되기로 결심한다. 이후 소설가 이부세 마스지[井伏_二]의 문하생으로 들어간 그는 본명 대신 다자이 오사무[太宰治]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한다. 그는 1935년 소설 「역행(逆行)」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을 걷게
1909년 6월 19일, 일본 아오모리 현 쓰가루 군 카나기무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쓰시마 슈지[津島修治]이다. 그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으나 가진 자로서의 죄책감을 느꼈고, 부모님의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해서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게 성장한다.

1930년, 프랑스 문학에 관심이 있었던 그는 도쿄제국대학 불문과에 입학하지만, 중퇴하고 소설가가 되기로 결심한다. 이후 소설가 이부세 마스지[井伏_二]의 문하생으로 들어간 그는 본명 대신 다자이 오사무[太宰治]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한다. 그는 1935년 소설 「역행(逆行)」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35년 제1회 아쿠타가와 상 후보에 단편 「역행」이 올랐지만 차석에 그쳤고, 1936년에는 첫 단편집 『만년(晩年)』을 발표한다. 복막염 치료에 사용된 진통제 주사로 인해 약물 중독에 빠지는 등 어려운 시기를 겪지만, 소설 집필에 전념한다. 1939년에 스승 이부세 마스지의 중매로 이시하라 미치코와 결혼한 후 안정된 생활을 하면서 많은 작품을 썼다.

1947년에는 전쟁에서 패한 일본 사회의 혼란한 현실을 반영한 작품인 「사양(斜陽)」을 발표한다. 전후 「사양」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인기 작가가 된다. 그의 작가적 위상은 1948년에 발표된, 작가 개인의 체험을 반영한 자전적 소설 「인간 실격」을 통해 더욱 견고해진다. 수차례 자살 기도를 거듭했던 대표작은 『만년(晩年)』, 『사양(斜陽)』, 「달려라 메로스」, 『쓰기루(津?)』, 「여학생」, 「비용의 아내」, 등. 그는 1948년 6월 13일, 폐 질환이 악화되자 자전적 소설 『인간 실격(人間失格)』을 남기고 카페 여급과 함께 저수지에 몸을 던진다.

다자이 오사무의 다른 상품

李浩哲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 열아홉의 나이에 한국전쟁을 치르며 별별 직업을 전전하다 「탈향」으로 문단 데뷔. 이후 현대문학상과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의 입지를 다진다. 더욱이 민주수호국민회의 운영위원으로 재야민주화운동에 뛰어들어 1980년에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85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1989년에는 대한민국문학상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2년 예술원 위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97, 98년 대산문학상과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주요작품으로는 저서에 작품집 『나상』(1961) 『서울은 만원이다』(1966) 『공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 열아홉의 나이에 한국전쟁을 치르며 별별 직업을 전전하다 「탈향」으로 문단 데뷔. 이후 현대문학상과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의 입지를 다진다. 더욱이 민주수호국민회의 운영위원으로 재야민주화운동에 뛰어들어 1980년에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85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1989년에는 대한민국문학상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2년 예술원 위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97, 98년 대산문학상과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주요작품으로는 저서에 작품집 『나상』(1961) 『서울은 만원이다』(1966) 『공복사회』(1968) 『사월의 빙원』(1971) 『닳아지는 살들』(1975) 『남풍북풍』(1977) 『그 겨울의 긴 계곡』(1978) 『소시민』(1979) 『문』(1981) 『물은 흘러서 강』(1984) 『악마의 덫』(1984) 『밥과 희망과 우리들의 공동체』(1985) 『탈사육자회의』(1986) 『천상천하』(1986) 『판문점』(1988) 『퇴역 선임하사』(1989) 『네겹 두른 족속들』(1989) 『빈 골짜기』(1989) 『개화와 척사』(1992) 『남녘사람 북녘사람』(1996) 『이산타령 친족타령』(2001) 등이 있다. 이 밖에 산문집 『세기말의 사상기행』 『산 울리는 소리』 『희망의 거처』 『문단골 사람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등이 있다.

이호철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4년 10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192쪽 | 214g | 124*190*12mm
ISBN13
9788970638126

책 속으로

아, 아무것도, 전혀 숨기지 않고 쓰고 싶다. …이 평화 속에는 무엇인지 불길하고 어두운 그림자가 스며 있는 것만 같은 느낌이 자꾸만 들었다. 어머니는 행복을 가장하면서 나날이 쇠약해지시고, 또 나는 가슴속에 독사를 배어 어머니를 희생시키며 살찌고, 아무리 억누르고 억눌러도 살찌기만 한다. 아, 이것이 다만 계절의 탓이었으면 좋겠다. ---p.31

이제는 왕족도 귀족도 별것이 아니지만, 기왕에 망할 바에는 좀 더 화려하게 망하고 싶다. ---p.39

도대체 나는 그동안 무엇을 하였던 것일까. 혁명을 동경한 일도 없었고, 사랑조차도 몰랐다. 오늘날까지 이 세상의 어른들은 이 혁명과 연애 두 가지를 가장 어리석고 저주스러운 것이라고 우리에게 가르쳐주었다. 전쟁 전에나 전쟁 중에도 우리는 그런 줄로만 믿고 있었는데, 패전 후 우리는 세상의 어른들을 신뢰하지 않게 되었고, 무엇이건 간에 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의 반대쪽에 진짜로 사는 길이 있을 것만 같은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혁명이나 사랑도 실은 이 세상에서 제일 좋고 가장 재미있는 일이라, 너무나 좋은 것이기 때문에 어른들은 심술궂게도 우리에게 파란 포도라고 거짓으로 가르쳐주었던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나는 확신하고 싶다. 인간은 사랑과 혁명을 위하여 태어났다는 것을. ---p.119

행복의 발소리가 복도에 들려오는 것을 이제나저제나 하고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마음으로 기다리다가, 속빈 쭉정이처럼 허무하게……. 아아, 인간의 생활이란 너무나 참혹해서 태어나지 않는 게 좋았다고 모두가 생각하는 이 현실. 그리하여 매일 아침부터 밤까지 허망하게 무엇인가를 기다립니다. 참혹함이 지나쳤습니다. 태어나기를 잘했다고, 아, 목숨을, 인간을, 세상을 기뻐해보고 싶습니다.

---p.103

출판사 리뷰

“다자이 오사무는 천재 소설가였다. 그는 가짜 제국주의자였고
가짜 일본공산당이었으며 가짜 군인이었다.
그는 처와 연애와 창녀를 진짜 사랑했다. 그리고 그는 자살했다.”
김승옥(소설가, 〈다자이 오사무 컬렉션〉 기획)

“다시, 다자이 오사무를 읽자”, 열림원 〈다자이 오사무 컬렉션〉
『인간실격』의 작가. 염세주의. 자살. ‘다자이 오사무’ 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이다. ‘요절한 천재 작가’ 다자이 오사무에 대한 호기심은 국적과 세대를 넘어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그의 문학 세계에 깊이 빠져보는 체험을 한 이는 의외로 많지 않다. “태어나서 미안해요.”라는 그의 마지막 말은 그의 문학 세계에 강한 인상을 부여하지만 그의 문학이 지닌 다채로움과 새로움을 가리기도 한다.
2014년 10월, 열림원은 〈다자이 오사무 컬렉션〉을 내놓았다. 『무진기행』의 김승옥이 3년 전 “다자이 오사무를 읽자”고 제안한 것이 시작이었다. 김승옥은 읽어야 할 작품들을 선정하고, 그 작품을 우리말로 옮길 번역자를 기획했다. 그는 당시 시대를 잘 이해하는 번역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원로 문인인 이호철, 전규태 등을 번역가로 선정했다. 1930년대 초에 태어난 두 문인은 일본 소설을 원서로 읽었던 세대로,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을 일찌감치 국내에 소개한 바 있다. 다자이를 가장 잘 아는 이들이 빚어낸 열림원 〈다자이 오사무 컬렉션〉. “진짜” 다자이를 만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진실하게 불안과 고통을 대면한 작가, 다자이 오사무
다자이 오사무의 문학 세계는 ‘진실함’, ‘치열함’, ‘다채로움’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자이의 제자이자 다자이가 사망한 이듬해에 다자이의 묘지에서 자살을 기도한 소설가 다나카 히데미쓰는 “선생의 생명을 건 자전풍의 작품 전부가 자서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자이는 삶과 작품을 동일시했다고 할 만큼 자신의 불안과 고통을 작품에 가감 없이 담아냈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60여 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환영받는 이유는 자신의 느꼈던 불안과 고통 앞에서 누구보다 진실했기 때문일 것이다. 다자이는 불안과 고통을 숨기지 않고 꺼내놓았을 뿐 아니라 치열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그것들을 표현하고 나누려 했다. 불안과 고통 앞에 선 우리는 그래서, 다시 다자이를 손에 든다.


리뷰/한줄평7

리뷰

9.4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