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부정적 사고의 위력
2. 빛과 어두움 3. 시각의 충돌 4. 규칙 위반 5. 커뮤니케이션 단절 6. 파트너십의 와해 7. 마음 속의 생각 : 폭풍의 눈 8. 마음 속의 '트릭' 9. 부부간의 사투 10. 관계는 개선할 수 있는가 11. 부부관계의 토대 강화 12. 부부관계 발달 13. 왜곡의 변화 14. 대화의 기술 15. 차이의 이해와 대처 16. 분쟁 해결 17. 분노와 그 대처방법 18. 특별한 문제들 |
많은 부부들은 부부생활을 튼튼하게 하는 벽돌이 무엇인지 잘 모르고 있다. 따라서 하나 하나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 남편이 이렇게 불평한다. "아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도무지 모르겠어요. 아내는 나에게 배려할 줄 알고 이해할 줄 알아야 되지 않느냐고 난리지만, 날더러 어쩌란 말입니까. 도대체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 때문에 성가시게 구는지 모르겠습니다." 보다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한 남편을 잘 도울 수 있을 것이다.
홀딱 반했을 때 느꼈던 정서도 오랜 결혼생활의 성숙한 사랑으로 무르익을 수 있다. 아내는 "당신 사랑해요."라고 말하면서 홍조를 띠고, 남편은 이 말을 듣고 스릴을 느낀다. 왜냐하면 애정과 상호 매력은 성실과 신뢰와 충실 속에 스며들어가 더욱 강하고 깊은 사랑을 창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숙한 사랑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기본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따뜻한 감정 세월이 흐름에 따라 홀딱 반했을 때의 열정(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강박적 사고, 이상화, 같이 있고 싶은 강렬한 욕구, 만났을 때의 설렘과 헤어질 때의 절망) 대신에 따뜻한 마음이 자리잡는다. 사랑으로 맺어진 유대는 타격을 받지 않으면 계속 이어진다. 결혼한 지 40년이 흘렀는데도 부부가 서로 바라볼 때에는 수십 년 전의 정서로 돌아간다고 말한 부부도 있다. ---pp.235~236 |
상대방에게 홀딱 반했거나 눈이 멀었을 때를 흔히들 사랑에 빠졌다고 말한다. 사랑에 빠졌을 때는 상대방을 바로 보지 못한다. 상대방을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이상화시켜 지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랑은 오래가지 못한다.
Tennov의 조사에 의하면 고작 6개월, 길어도 3년을 넘기지 못한다고 한다. 저자가『사랑만으로는 살 수 없다』고 제목을 붙인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프랑스의 심리학자 Loudin은 오늘날 이혼이 급증하는 이유가 바로 이러한 비현실적 환상을 통해 부부관계를 맺게 한 로맨틱 러브 때문이라고 말한다. 로맨틱 러브는 일시적 정서적 충동이지, 결코 진정한 사랑은 아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듯이, 결혼 전 상대방에게 건 기대가 높을수록 결혼 후에 겪게 될 좌절 또한 깊은 법이다. 이 책은 부부문제에 시달리며 어두운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밝은 길로 안내하는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배우자와 함께 읽으면서 보다 나은 부부관계를 모색해 나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혼자서라도 얼마든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일선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전문가들에게도 부부문제를 발견하고 효율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좋은 안내서가 되어 줄 것이다. 무엇보다 결혼을 앞 둔 사람이나 잘 살고 있는 부부들에게도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좋은 벗이요 친구가 되어 줄 것이다. 왜냐하면 이 책은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도 실용적인 방안을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사랑에 빠져 결혼한다고 하더라도, 여기서 머물지 말고 성숙한 사랑으로 가꾸어 나가야 한다. 상대방을 존중한다면 상대방의 좋은 점과 강점 나아가 경탄할만한 점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에게 원하고 기대하는 것까지 볼 수 있다. 성숙한 사랑을 하려면 지식을 발달시켜야 한다. 상대방의 욕구와 가치와 감정을 알 수 있을 때,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증진된다. 성숙한 사랑을 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하는 말뿐 아니라 그 속에 숨겨져 있는 감정까지 듣는다. 성숙한 사랑을 하려면 무엇보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달시켜야 한다. 사랑이란 '나눔'이요, 나눔은 바로 '커뮤니케이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