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강력추천
주춘재 글,그림 정창현 외 공역 계소량 추천
청홍 2007.02.27.
베스트
질병치료/예방 100위 건강 취미 top20 7주
가격
22,000
10 19,800
YES포인트?
1,1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만화로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책소개

목차

추천사/ 만화를 활용하여 한의학 지혜의 창문을 열다
역자서문/ 한의학을 일깨워주는 그들은 누구인가
들어가는 말

제1장 한의학의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

음양(陰陽)의 기본개념
인체의 구조
인체의 기능
천인상응(天人相應)
인체의 병리적 변화
오행(五行)의 기본개념
①목(木)의 특성/②화(火)의 특성/③토(土)의 특성/④금(金)의 특성/⑤수(水)의 특성/⑥오행의 연역(演繹)과 귀류(歸類)
오행의 생(生), 극(克), 승(乘), 모(侮)
①상승(相乘)/②상모(相侮)/③상승과 상모의 구별/④상승과 상모의 관계
오행의 생리(生理)
오행의 병리(病理)

제2장 장상학설(藏象學說)

장상학설(藏象學說)
오장(五臟)
심장(心臟)
폐장(肺臟)
비장(脾臟)
간장(肝臟)
신장(腎臟)
육부(六腑)
담(膽)
위(胃)
소장(小腸)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
①상초(上焦)/②중초(中焦)/③하초(下焦)
기항지부(奇恒之腑)
뇌(腦)/수(髓)/골(骨)/맥(脈)/담(膽)/여자포(女子胞)
장부(臟腑) 간(間)의 관계(關係)
장(臟)과 장(臟) 간(間)의 관계(關係)
①심(心)과 폐(肺)/②심(心)과 비(脾)/③심(心)과 간(肝)/④심(心)과 신(腎)/⑤폐(肺)와 비(脾)/⑥폐(肺)와 간(肝)/⑦폐(肺)와 신(腎)/⑧간(肝)과 비(脾)/⑨간(肝)과 신(腎)/⑩비(脾)와 신(腎)
부(腑)와 부(腑) 간(間)의 관계(關係)
오장(五臟)과 육부(六腑) 간(間)의 관계
①심(心)과 소장(小腸)/②폐(肺)와 대장(大腸)/③비(脾)와 위(胃)/④간(肝)과 담(膽)/⑤신 (腎)과 방광(膀胱)

제3장 경락학설(經絡學說)

경락(經絡)의 기본개념
경맥(經脈)의 명명과 분포
기경팔맥(奇經八脈)
경락의 기능과 작용
①생리 방면/②병리 방면/③진단 방면/④치료 방면
십이경맥(十二經脈)의 순행과 병후
기경팔맥(奇經八脈)의 순행과 병후

제4장 기혈진액(氣血津液)

기혈진액의 기본개념
기(氣)의 생리기능
추동(推動)/온후(溫煦)/방어(防御)/고섭(固攝)/기화(氣化)
기(氣)의 분포와 분류
기(氣)의 운동과 운동형식
종기(宗氣)
영기(營氣)
위기(衛氣)
혈(血)의 기본개념
①혈의 생성/②혈의 기능/③혈의 운행
진액(津液)의 기본 개념
진액(津液)의 생성(生成) 수포(輸布) 배설(排泄)
진액의 기능
기혈진액의 상관관계

제5장 한의학의 병인학설(病因學說)

외감육음(外感六淫)
풍(風)-봄
한(寒)-겨울
서(暑)-여름
습(濕)-장하(長夏)
조(燥)-가을
화(火)-사시(四時)
내상칠정(內傷七情)
희(喜)-심기(心氣)
노(怒)-간기(肝氣)
우(憂)-폐기(肺氣)
사(思)-비기(脾氣)
비(悲)-심폐(心肺)
공(恐)-신기(腎氣)
경(驚)-신기(神氣)
불내불외인(不內不外因)
음식부절(飮食不節)
방실부절(房室不節)
불측사태(不測事態)

제6장 변증시치(辨證施治)

변증시치(辨證施治)
팔강변증(八綱辨證)
①음양(陰陽)/②표리(表裏)/③한열(寒熱)/④허실(虛實)
사진(四診)
문진(問診)
①한열(寒熱)/②땀/③머리와 몸/④흉복(胸腹)/⑤음식/⑥대소변/⑦수면(睡眠)/⑧월경/⑨대하/⑩소아과
망진(望診)
①망신(望神)/②망색(望色)/③정상색(正常色)/④병색(病色)/⑤망설(望舌)/⑥오관(五官)
문진(聞診)
①목소리[聲]/②호흡(呼吸)/③해수(咳嗽)/④구토(嘔吐)/⑤애기(氣)/⑥구취(口臭)
맥진(脈診)
①병맥(病脈)의 식별(識別)/②촉진(觸診)

제7장 한의학의 치료원칙인 팔법(八法)

한법(汗法)
토법(吐法)
하법(下法)
화법(和法)
온법(溫法)
청법(淸法)
소법(消法)
①소견마적(消堅磨積)/②소식도체(消食導滯)/③소담화음(消痰化飮)/④소수산종(消水散腫)
보법(補法)
①보기(補氣)/②보혈(補血)/③보음(補陰)/④보양(補陽)
정치(正治)와 반치(反治)
치표(治標)와 치본(治本)
십이경맥과 기경팔맥의 순행 표시도
십이경맥(十二經脈)의 순행과 병후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의 순행 표시도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의 순행 표시도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순행 표시도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순행 표시도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의 순행 표시도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의 순행 표시도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순행 표시도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순행 표시도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의 순행 표시도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의 순행 표시도
족소양담경(足小陽膽經)의 순행 표시도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순행 표시도
기경팔맥(奇經八脈)의 순행과 병후
독맥(督脈)의 순행 표시도
임맥(任脈)의 순행 표시도
충맥(衝脈)의 순행 표시도
대맥(帶脈)의 순행 표시도
음교맥(陰脈)의 순행 표시도
양교맥(陽脈)의 순행 표시도
음유맥(陰維脈)의 순행 표시도
양유맥(陽維脈)의 순행 표시도

품목정보

발행일
2007년 02월 27일
쪽수, 무게, 크기
351쪽 | 763g | 170*240*30mm
ISBN13
9788990116260

책 속으로

인체의 상부는 양이고 하부는 음이며, 체표는 양이고 체내는 음이다. 등과 배, 사지의 내외측 방면으로 보자면, 등은 양이고 배는 음이며 사지의 외측은 양이고 내측은 음이다.

-p.25

천(天)은 자연환경을 말하고 인(人)은 인체를 말한다. 천인상응이란 인체가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뜻한다. 자연계의 모든 변화는 직간접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봄에 싸늘하거나, 겨울에 따뜻하거나, 가뭄으로 비가 오지 않거나 하는 등의 기후변화와 차고 습한 지역 등의 환경변화는 어느 것이나 직접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 인체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 p.27

경락학설은 한의학의 중요 기초 이론 중의 하나로서 음양오행(陰陽五行), 영위(營衛), 기혈(氣血) 및 장부(臟腑) 등과 어울려 하나의 완전하고 통일된 이론 체계를 갖추고 있다.

경(經)은 곧 길이니 각처로 통하는 도로이고, 락(絡)은 곧 그물이니 뒤섞여 엮어지는 망과 같다. 경은 세로로 행하는 줄기이며 락은 횡으로 나오는 곁가지로서, 인체의 상하, 좌우, 전후, 내외를 서로 관통하고 있다. 때문에 어떤 것은 깊은 곳에서 어떤 것은 얕은 곳에서, 오장육부, 두면, 체간, 사지 등과 다양한 연계를 가지며 일어나 하나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면서 서로 협조하며 활용하여 각 부분의 복잡한 내재적인 기능을 완성하고 있다.

- p.148

출판사 리뷰

▶ 만화로 된 알기 쉬운 한의학 입문서

이 책 《한의학 입문》은 심오한 내용과 독특한 이론 때문에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힘들었던 한의학에 대한 기본이론과 다양한 지식을 만화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유하는데 큰 도움을 주며 일반인뿐 아니라 관련 전문가들의 연구와 의료 활동에도 이론적 바탕이 된다.

한의학만큼 오랜 역사 속에서 자신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지금까지 현실에 실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학문 분야는 많지 않다. 한의학은 지난 수천 년의 시간 속에서도 원형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면서 동시에 치열한 임상 치료의 과정 중에서 새로운 기술을 창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받아들였다.

그 결과 지금의 한의학은 이론적으로 비교적 통일된 세계관 위에 완성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매우 다양한 내용들을 포괄하고 있어, 꼭 어떠한 대상을 한의학이라고 한다는 정형화된 틀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 조상들이 수천 년 동안 질병과 싸우면서 부단히 창조하고 발전시켜온 한의학(韓醫學)은 체계적인 이론과 함께 풍부한 경험이 담겨 있는 인류문화의 지혜라고 할 수 있다.

▶ 한의학의 이론적 토대인 음양오행학설부터 치료원칙인 팔법까지 총망라

한의학은 천인상응(天人相應)이라는 세계관의 조망 하에 음양오행을 이론적 토대로 장부와 경락을 이론의 핵심으로 삼아 구축된 학문이다. 따라서 한의학은 높은 수준의 추상성과 넓은 범위의 함축성을 지닌 해석력과 추리력이 매우 강한 의료, 양생체계로 오랜 시간의 흐름속에서 실증의학과의 충분한 비교검증 과정을 거치며 생명의 비밀을 탐색해왔다.

《한의학 입문》에는 한의학의 기본적 이론 토대인 음양오행(陰陽五行)부터 장상학설(藏象學說), 경락학설(經絡學說)은 물론, 기혈진액(氣血津液), 병인학설(病因學說), 변증시치(辨證施治)와 한의학에서 치료 원칙으로 삼고 있는 팔법(八法)에 이르기까지 7개 장으로 구성되된 방대한 내용이 소개되고 있고, 그 외 십이경맥과 기경팔맥의 순행 표시도 및 부록으로 장부, 음사발몽, 사시, 특정혈에 대한 그림과 설명을 수록하고 있어 한의학에 관심이 높고 한의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한의학을 이해하는데 가장 좋은 입문서가 된다.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진의 완벽한 번역 및 해설

《한의학 입문》의 번역은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강의를 맡고 있는 정창현, 백유상, 장우창 교수 등이 맡았다. 역자들이 가진 전문적이며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구성된 이 책은 그 어느 한의학 관련서보다도 알기 쉬운 번역과 상세한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한의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초보자는 물론 한의학을 본격적으로 배우는 학생 및 전문가들이 보아도 전혀 손색이 없다.

리뷰/한줄평17

리뷰

9.6 리뷰 총점

한줄평

9.1 한줄평 총점
19,800
1 19,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