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실댁은 자손 귀한 집에 와서 아들 못 낳는 것을 철천지한(徹天之恨)으로 삼고 있었다. 남편 보기 부끄럽고 남 보기가 부끄러웠다. 그는 작은 댁이라도 얻어서 자손을 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은근히 영감에게 비춰 봤으나 김약국은 가타부타 말이 없었다. 그러나 한실댁은 그 많은 딸들을 하늘만 같이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딸을 기를 때 큰딸 용숙은 샘이 많고 만사가 칠칠하여 대갓집 맏며느리가 될 거라고 했다. 둘째 딸 용빈은 영민(英敏)하고 훤칠하여 뉘 집 아들자식과 바꿀까 보냐 싶었다.
셋째 딸 용란은 옷고름 한짝 달아 입지 못하는 말괄량이이지만 달나라 항아같이 어여쁘니 으레 남들이 다 시중들 것이요, 남편 사랑을 독차지하리라 생각하였다. 넷째 딸 용옥은 딸 중에서 제일 인물이 떨어지지만 손끝이 야물고, 말이 적고 심정이 고와서 없는 살림이라도 알뜰히 꾸며 나갈 것이니 걱정없다고 했다. 막내둥이 용혜는 어리광꾼이요, 엄마 옆이 아니면 잠을 못 잔다. 그러나 연한 배같이 상냥하고 귀염성스러워 어느 집 막내며느리가 되어 호강을 할 거라는 것이다. 용숙이 과부됨으로써 한실댁의 첫꿈은 부서졌다.
--- p.73
친정처럼 찾아와서 진심으로 일을 거들어주는 여문이를 상대로 용숙이 지껄이고 있었다. 벌써 용숙이네 계집아이가 와서 몇 번이나 살림을 여다 날랐건만 용숙은 집 안팎을 뒤지며 눈이 가는 것을 골라낸다. 용빈은 용숙이 살림을 들어내거나 말거나 전혀 무관심이다. 싫다고 펄펄뛰는 것을 이 년이라는 기한부로 용란을 떠맡겼으니, 용숙이 남은 살림을 좌우하는 것은 당연하였던 것이다.
--- p.386
'저의 아버지는 고아로 자라셨어요. 할머니는 자살을 하고 할아버지는 살인을 하고, 그리고 어디서 돌아갔는지 아무도 몰라요. 아버지는 딸을 다섯 두셨어요. 큰딸은 과부, 그리고 영아살해 혐의로 경찰서까지 다녀왔어요. 저는 노처녀구요. 다음 동생이 발광했어요. 집에서 키운 머슴을 사랑했죠. 그것은 허용되지 못했습니다. 저 자신부터가 반대했으니까요. 그는 처녀가 아니라는 험 때문에 아편장이 부자 아들에게 시집을 갔어요. 결국 그 아편장이 남편은 어머니와 그 머슴을 도끼로 찍었습니다. 그 가엾은 동생은 미치광이가 됐죠. 다음 동생이 이번에 죽은 거에요. 오늘 아침에 그 편지를 받았습니다.' (p. 381)
--- p.
'이년아! 그 간부놈을 어디서 알았느냐!'
방문을 걷어찬 봉룡은 노한 짐승처럼 머리를 곤두세우고 포효한다. 숙정이 얼굴을 번쩍 쳐들었다. 다듬은 옥같이 반반한 이마 위에 쏟아지는 봉룡의 붉은 시선, 어쩌면 그건 쾌감을 맛보는 그런 것이기도 하다.
'말씀이 지나치십니다.'
얼굴 한번 붉히지 않고 숙정은 냉랭하게 책망한다.
--- p.22
용빈이 서울로 간 뒤 집안은 잠잠해졌다. 용빈이 없어짐으로써 용란은 그 전투력을 잃은 듯 했다. 그렇다고 해서 기가 죽은 것은 아니었다. 옛날로 돌아갔을 뿐이다. 속치맛바람으로 뜰안을 왔다갔다하면서 이수일과 심순애의 노래를 흥얼거리곤 했다. 마음이 내키면 부엌일도 거들었으나 그릇을 깨기가 일쑤였다.
'요눔우 개야! 와 여기다가 똥을 쌌노!'
발을 탕탕 구리며 개를 꾸짖는 용란의 해맑은 목소리가 가을의 오후를 흔들었다. 아마 모르고 개똥을 밟은 모양이다.
'저년은 제주도에나 가서 보제기나 됐으믄 꼭 맞겠다.'
한실댁은 바느질을 하며 중얼거린다. 용란의 광중이 멎으니 남부끄런 생각이 되살아오는 한실댁이다. 남들은, 그것도 자식이라고 집에 붙여놓느니, 어미가 너무 자식을 귀히 여겨 제멋대로 길러서 그러느니, 클딸은 과부가 되고, 세째 딸은 가시나가 서방질을 했으니, 그 집구석의 딸을 누가 데려가겠느냐는 등 말 좋은 이웃들간의 뒷공론이다.
--- p.119
어느덧 용환이 여섯 살이 되었다.초저녁에 한참 자다가 일어나서,
'할머니,앵앵하러 가자아.' 손자가 말하면,
'운냐,운냐,가자.울 애기야.' 하고 일어선다.그리고 손자 얼굴에 명주 수건을 씌워주고 얼레와 연을 들고 나서는 송씨였다.비가 오는 날이면 미꾸자리 잡으로 가자고 아이는 졸랐다.그러면 송씨는 운냐,운냐,울애기야 하며 우죽우죽 나선다.
그렇던 손자는 돌림병 마마에 죽었다.송씨는 문지방에 머리를 마구 받으며 스스로 죽으려고 했다.아이를 갖다 버린 후 송씨는 넋빠진 사람처럼 앞뒤뜰을 왔다갔다하면서 시부렁거렸다.
--- pp.64-65
서울 s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용빈은 이듬해 봄에 마침 소학교를 졸업한 용혜를 데리고 가서 그가 봉직한 학교에 입학을 시켰다. 집에는 용옥이 혼자 남게 되었다. 남해환이 실종된 후, 작년 가을부터 종이섬과 한산섬의 어장을 재정비한 김약국은 기두를 다시 책임자로 앉혔다. 그러나 겨울, 봄에 이르기까지 어장 형텬은 참담한 것이었다. 조류가 바뀌었는지 일찍이 없었던 흉어였다. 젓꾼들은 고사를 지내라고 떠들었다. 물귀신이 붙었다는 것이다.
작년 가을에 김약국 집에서는 남해환의 조난자를 위하여 용화사에서 크게 위령제를 올렸다. 시체를 찾지 못하였으나 남해환이 침몰된 것만은 확실했기 때문이다. '올해 같은 해는 없었소. 내가 이십 년 동안이나 이 짓을 해먹었지만 온 바닷물이 말라도 이 지경은 아닐거요.' 염서방이 답답하다는 듯 말하였다. 그들 역시 고기가 잡려야 신이 나고 어장막이 풍성해지는 때문이다.
젖꾼들이 떠들지 않더라고 기두 자신이 무슨 대책이 없이는 안되겠다고 생각하였다. 고사를 지낸다고 잡히지 않는 고기가 잡히리라 생각지는 않았으나, 궁한 나머지 그렇게라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기두의 마음을 솔직하게 말한다면 이 어장에서 손을 떼고 싶은 것이다. 예감에 지나지 않는 일이나 그는 김약국이 망하리라는 불길한 생각을 갖고 있었다.
어는 날 기두는 섬에서 통영으로 올라갔다. 김약국 집에 들어섰을 때 명주에 물감을 들이고 있언 용옥이 놀라며 일어섰다. 두 사람의 눈이 부딪쳤다. 용옥의 얼굴은 긴장되었다. 기두는 무슨 말을 하려고 입을 우물거렸으나 그냥 돌아서서 사랑으로 가버린다.
--- p.225-226
'생이는 그라믄 용란이 생이가 시집도 못 가고 그냥 늙어 죽었음 속이 씨원하겄소.'
재봉질을 돌리면서 용옥이 말한다.
'누가 그랬음 좋겠다카나. 하도 이상해서 그러제.'
'이상하기는 뭐가 이상합니꺼? 신랑이 좋다카는데.'
'그놈 담배불에 지진 자식인갑다. 시라국에 데친 자식인갑다.'
'내가 남자라도 용란이 생이처럼 이쁘몬 장가갈라카겠소.'
용옥은 여전히 일손을 멈추지 않고 조용하게 말한다.
'흥, 그라믄 청루의 기생들은 와 시집을 못 가는구?'
'용란이 생이가 청루의 기생입니꺼?'
용옥은 처음으로 얼굴을 들고 용숙을 빤히 쳐다본다.
'마찬가지 앙이가. 다른 사내한테 한번 허신하믄 그건 헌 계집이제. 더군다나 가씨나가 서방질을 했으니 잡탕 앙이가. 여자라는 것은 인물보다 정조를 지켜야만 비싸게 값이 나가는 기란다.'
일장의 훈시다.
'생이는 어째서 그리 말을 간둥간둥 합니꺼, 남의 일같이.'
'이 가씨나아 봐라? 간둥간둥이라니? 뉘한테 하는 말버릇고.'
용숙은 잔뜩 열이 난다.
'생이는 동생을 청루의 기생하고 같다캄서 동생은 그런 말 못할까요?'
제법 다부지게 응수한다.
--- p.127
새터 아침장은 언제나 활기가 왕성한 곳이다.무더기로 쌓아놓은 갓 잡은 생선이 파닥거리는 것처럼 싱싱하고 향기롭다.삶의 의욕이 넘치는 규환속에 옥색 안개서린 아침, 휴식을 거친 신선한 얼굴들이 흘러간다.새벽별은 밝고 축림,전화도, 장대 방면에선느 호박, 고구마, 야채등을 이고 지고 북문안을 넘어서는 촌부들, 안뒤산 큰개,작은개에서는 조개를이고 충렬사를 지나오는 아낙들,발개와 첫개에는 어장배에서 생선을 받아가지고 판데굴을 지나오는 장사꾼들, 삼면 바다에서는 기관선으로부터 통구멩이까지 해초,생선을 실은 어부들이 바다의 새벽을 뚫는다.
--- p.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