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9년 11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0쪽 | 380g | 148*210*20mm |
ISBN13 | 9788960862142 |
ISBN10 | 8960862142 |
발행일 | 2009년 11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0쪽 | 380g | 148*210*20mm |
ISBN13 | 9788960862142 |
ISBN10 | 8960862142 |
머리말 1장 면접 준비를 위한 마인드 셋 01 꿈의 크기가 성공의 크기를 결정한다 02 자신에게 가치 있는 일을 찾아라 03 자기성찰의 시간을 가져라 04 1만 시간을 투자하라 05 능력 아닌 실천이 프로를 만든다 06 직무적성을 먼저 고려하라 07 지금 여기에 기회가 있다 08 기본으로 돌아가라 09 준비하는 독종이 성공한다 10 습관이 창조성의 힘이다 11 성공의 절반은 노력이 만든다 2장 면접관이 원하는 인재는 1%가 다르다 12 평생 함께 갈 직원이 되라 13 주인처럼 생각하면 주인이 된다 14 준비된 사람은 기회를 만든다 15 면접관의 눈에 들어라 16 인턴과 아르바이트 경력을 쌓아라 17 듣는 능력이 말하는 능력을 결정한다 18 글로벌 시대, 언어가 경쟁력이다 19 일과 가정을 조화롭게 꾸려라 20 순발력과 재치를 발휘하라 21 천마디 말보다 행동을 보여라 3장 면접, 디테일로 무장하라 22 실수를 성공으로 반전시켜라 23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라 24 첫인상이 당신의 이미지를 결정한다 25 경험이 지식을 이긴다 26 면접은 토크쇼가 아니다 27 자신감으로 숨은 능력을 끌어내라 28 스토리텔링이 힘이다 29 튀지 말고 어울려라 30 면접관의 취향에 맞춰라 31 회사와 직무에 어울리는 옷차림을 하라 32 승패는 사소한 행동에서 갈린다 33 살아 있는 눈빛을 만들어라 34 자기소개서에‘파리’를 그려넣어라 35 압박 면접을 돌파하라 4장 면접은 능력이 아니라 테크닉이다 36 달라진 면접 방식에 대비하라 37 입사지원서에 컨셉을 부여하라 38 이력서, 커리어를 분명하게 드러내라 39 자기소개서는 일관성이 중요하다 40 숨겨진 1%의 힘, 이미지 메이킹 41 열정을 가지고 당당하게 답변하라 42 대기업 면접용 질문을 파악하라 43 난감한 질문에는‘YB 화법’을 사용하라 44 영어 면접, 이렇게 대비하라 45 면접 전날, 이것만은 점검하라 5장 면접의 성공은 정보력이 결정한다 46 그룹사별 채용전략 47 각 기업별 인ㆍ적성검사 48 다양한 면접 방식과 대처 요령 49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 vs 싫어하는 인재 50 업종에 따른 선호하는 인재상 51 IT업계 취업은 정보전이다 52 금융권 취업은 면접이 결정한다 53 영업직 지원을 위한 공략법 54 면접관을 사로잡는 비법 55 취업 준비를 위해 꼭 알아야 할 포인트 |
<하룻밤에 끝내는 면접의 키포인트 55>는 면접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많은 도움이 된 책이다. 면접에서는 묻는 문제에 정확하게 대답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제의 핵심을 포착하고 간결하게 대답하는 방법, 상대에게 신뢰를 주는 행동과 자세 등도 상당히 중요한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정리해주고 있다. 특히 과유불급인 대목에 대해서 높은 비중으로 자세하게 이야기하는 대목이 개인적으로 정말 유용했다.
면접의 키포인트 55.
Only 스펙?! NO!!
이 책은 사회는 더이상 온니스펙!이 통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온니스펙 보다는 창의력, 도덕성, 조직융화, 실행력 등의 요소가 더 중요하다고 한다.
왜 그럴까?
패션도 트렌드가 있듯이, 사회가 바라는 인재상도 하나의 '트렌드'라고 생각한다.
예전엔 기업이 겉모습. 그러니까 외향적인 조건(학벌, 인턴경험, 경력, 외국어능력 등등)을 원했다면, 지금은 겉뿐만 아니라 속도 원해, 밑바탕으로 스펙을 깔고, 그 위에 인간성 등의 내면적인 것을 쌓은 ‘인재’를 원하는 것이다.
취업이 험난한 지금. 외향적인 모습도 중요하지만 내면을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55개의 포인트 중 첫인상, 달라진 면접방식, 질문의 의도파악이란 말을 나온다.
이 말들을 보면, “왜 또 강조하지? 이건 당연한거 아니야?”라는 반응이 나올지도 모른다.
나 역시도 그랬으니까.
하지만 이 말들이 정말 중요하고 당연하기에 필자가 강조한다고 생각이 든다.
한국대학생인재협회 : www.katz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