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천문대의 시간 천문학자의 하늘
EPUB
전영범
에코리브르 2018.06.27.
가격
16,000
16,000
YES포인트?
8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소개

목차

책머리에

1 우주의 실험실

불빛과 천문대
보현산천문대의 하루
날씨와 천문학자
새로운 발견
우주를 향한 끝없는 질문

2 천문학자의 발견 기록

천체를 보는 방법
1만 원권 지폐 속 천문학
밤하늘에 빛나는 과학자
별과 지구의 거리
우연히 발견한 변광성
천문대의 연구 생활

3 천체관측에서 천체사진까지

천문학자의 밤하늘
디지털 시대의 밤하늘 사진
한여름 밤의 페르세우스 유성우
사자자리 유성 폭풍우
해, 달, 행성의 놀이
슈메이커-레비 9 혜성과 목성의 충돌
햐쿠타케 혜성의 긴 꼬리
우주의 낭만 헤일-밥 혜성
보현산천문대의 겨울밤

4 밤하늘 관측 여행

소백산천문대 탐사
3분의 황홀한 우주 쇼
완벽한 칠레의 밤하늘
KMTNet을 찾아서
해발 5000미터 전파천문대
비 내리는 보현산천문대
눈 쌓인 천문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1

천문학자이자 천체사진가. 부산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문학을 전공하고 「구상성단의 단주기 변광성 탐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해발 1,124미터 보현산 정상에 천문대가 건설되던 1992년부터 지금까지 보현산천문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보현산천문대 대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변광 천체 탐색 연구를 하고 있다. 120여 개의 새로운 소행성을 발견해 최무선·장영실·이천 등 우리 과학자 10명의 이름을 붙였고, 1만 원권 지폐 뒷면에 있는 1.8미터 망원경의 도안 사진을 찍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홍보 및 교육용 천체사진 대부
천문학자이자 천체사진가. 부산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문학을 전공하고 「구상성단의 단주기 변광성 탐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해발 1,124미터 보현산 정상에 천문대가 건설되던 1992년부터 지금까지 보현산천문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보현산천문대 대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변광 천체 탐색 연구를 하고 있다.

120여 개의 새로운 소행성을 발견해 최무선·장영실·이천 등 우리 과학자 10명의 이름을 붙였고, 1만 원권 지폐 뒷면에 있는 1.8미터 망원경의 도안 사진을 찍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홍보 및 교육용 천체사진 대부분을 촬영했으며, 보현산과 외국의 유명 천문대에서 찍은 천체사진·풍경 사진을 전시한 개인 초대전 "하늘과 땅, 그 속의 우리"를 갖는 등 활발하게 사진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저서로는 『천문대의 시간 천문학자의 하늘』, 『십 대를 위한 우주과학 콘서트_우주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신나는 과학 이야기』(공저) 등이 있다.

전영범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06월 27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46.61MB ?
ISBN13
9788962631838

출판사 리뷰

천체사진에 담긴 과학 이야기

우주가 태어난 뒤 138억 년 동안 별과 은하의 탄생 등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졌고 지금도 진행된다. 그리고 실험의 결과가 밤하늘을 아름답게 빛내며 결과의 많은 부분은 여전히 숨어서 찾아주기를 기다린다. 이런 것을 알고 싶어 하는 우리 역시 명백하게 그 실험의 결과물로 탄생했다. (37쪽)

천체 하나하나에 담긴 과학적 사실을 속속들이 알고 이해하고 찍기 때문에 저자의 천체사진은 특별하다. 우주가 담긴 사진은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한 점 한 점의 빛에 담긴 의미를 알고 보면 새롭게 다가온다. 붉고 화려한 성운에 새겨진 별의 탄생, 아주 오래된 별의 집단인 구상성단 속 푸른 점, 청색낙오성에 담긴 신기한 별들의 진화, 긴 꼬리를 빛내며 하늘에 덩그렇게 뜬 혜성이 지구에 닿기까지의 오랜 여정, 유성 폭풍우에 숨어 있는 비밀, 태양계의 깜짝 이벤트 일식과 월식 등 다양한 현상은 놀라움을 자아낸다. 또한 전영범 박사는 지상의 풍경과 별, 행성이 어우러진 독특한 사진을 찍으며 새로운 발상과 상상력을 보여주어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천문 현상들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널리 알린다.
하와이 마우나케아 천문대, 호주 사이딩스프링 천문대, 칠레 ALMA 전파천문대, 세로톨롤로 천문대 등 아름다운 밤하늘을 자랑하는 전 세계의 천문대를 찾아 떠난 저자의 관측 탐사는 무한히 넓은 우주의 경이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각 천문대의 특색 있는 망원경을 돌아보고, 남반구·북반구의 밤하늘을 비교해보는 것도 색다른 즐거움이다. 게다가 디지털카메라로 별의 일주운동 등 천체사진 찍는 방법까지 세세하게 짚어주어 누구나 손쉽게 밤하늘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책 속 아름다운 사진을 보며 우주에 대한 상상을 펼치기만 해도 좋지만, 책에서 힌트를 얻어 나만의 밤하늘 사진을 찍어보는 것은 어떨까.

더 먼 우주를 관측하기 위한 끝없는 노력

천문학의 본질은 새로운 천문 현상의 발견에 있다. 많은 대형 지상망경과 허블 우주망원경을 비롯한 다양한 우주망원경으로 그동안 입증하지 못한 많은 천문 현상을 찾아냈고, 그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한 현상을 발견하는 일도 있는데 결국 이러한 발견이 천문학의 바탕이 된다. (36쪽)

더 큰 망원경으로 더 먼 우주를 조사하는 일은 많은 천문학자들의 바람이다. 광학 관측 천문학자인 저자는 천체망원경의 구조부터 차근차근 설명하며 천문 관측의 기초를 보여준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큰 망원경은 보현산천문대 1.8미터 망원경이지만, 남반구 밤하늘을 24시간 관측할 수 있도록 칠레·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에 1.6미터 망원경 3대를 설치해 KMTNet이라는 관측망을 구성했고, 이를 이용해 외계 행성을 찾는 데 앞장섰다. 또한 우리나라는 2020년 칠레에 세워질 지름 25.4미터의 천문 관측망원경, 거대 마젤란 망원경 건설에 참여해 전 세계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호주·브라질·미국의 여러 대학과 진행하는 대형 프로젝트이며 우리는 전체 비용의 10퍼센트를 분담한다. 이는 우리나라 천문학자들이 세계 최대 망원경의 관측 시간 중 10퍼센트를 활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렇게 밤하늘 관측에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지금, 천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천문대의 시간 천문학자의 하늘》은 과학에 뜻을 둔 학생들뿐 아니라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단 한 권의 천문대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1만 원권 지폐 뒷면에 실린 망원경 사진을 찍다

신권이 나오기 1년 6개월 전의 일이다. 한국은행에서 새 1만 원권 지폐에 천문학 관련 내용이 들어갈 예정이고 현대 천문학을 대표하는 천체망원경을 넣고 싶다는 의견을 전해왔다. (71쪽)

1만 원권 지폐에는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보현산천문대 1.8미터 망원경이 실려 있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과학 지폐인 것이다. 누구나 한번쯤 보았을 이 1만 원권 지폐 속 망원경 도안 사진을 찍은 주인공은 바로 전영범 박사다. 그는 보현산천문대가 건설되던 때부터 지금까지 25년 동안 천문대에서 천체를 관측하며 사진을 찍었다. 보현산천문대 대장을 두 번 역임하는 등 국내 천문학자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천문대에서 별을 본 연구자로도 유명하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천체사진 거의 대부분을 찍는 등 연구와 함께 활발하게 사진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리뷰/한줄평3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