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9년 11월 25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552쪽 | 618g | 128*188*35mm |
ISBN13 | 9791164451524 |
ISBN10 | 1164451529 |
발행일 | 2019년 11월 25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552쪽 | 618g | 128*188*35mm |
ISBN13 | 9791164451524 |
ISBN10 | 1164451529 |
특별 부록 | 그림으로 보는 난중일기 임진년 1592년 1월 : 전쟁의 기운을 느끼다 / 2월 : 전투 준비를 하다 / 3월 : 거북선의 대포를 쏘다 / 4월 :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 5월 : 옥포에서 왜적과 대립하다 / 6월 : 당항포의 왜적을 물리치다 8월: 부산 앞바다에 이르다 계사년 1593년 2월 : 왜적 소탕을 위해 웅천으로 가다 / 3월 : 왜적과의 대립이 이어지다 / 5월 : 명나라 관리를 맞이하다 / 6월 : 진을 한산도로 옮기다 / 7월 : 진주성이 함락되다 / 8월 : 꿈속에서 유성룡과 만나다 / 9월 : 조총을 만들다 갑오년 1594년 1월 : 잠시 어머니를 뵙다 / 2월 : 호남의 왜적을 물리치다 / 3월 : 아픈 몸으로 수군을 지휘하다 / 4월 : 왜선 100여 척이 절영도로 가다 / 5월 : 왜적을 생포하다 / 6월 : 믿었던 사람을 잃다 / 7월 : 명나라 장수와 만나다 / 8월 : 권율과 이야기를 나누다 / 9월 : 적도에 진을 치다 / 10월 : 왜적을 위협하다 / 11월 : 왜적 수색을 명하다 을미년 1595년 1월 : 나라와 어머니를 걱정하다 / 2월 : 군량을 나누어 주다 / 3월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계략을 간파하다 / 4월 : 왜선 50여 척이 진해로 가다 / 5월 : 왜적의 목을 베도록 하다 / 6월 : 어머니의 병환이 완쾌되다 / 7월 : 거제의 왜적이 물러가다 / 8월 : 임금의 뜻을 확인하다 / 9월 : 아끼던 사람과 이별하다 / 10월 : 왜적의 정세를 살피다 / 11월 : 달아나려는 왜적의 목을 치도록 하다 / 12월 : 체찰사와 이야기를 나누다 병신년 1596년 1월 : 왜적의 움직임을 살피다 / 2월 : 둔전에서 벼를 받다 / 3월 : 몸이 불편해 신음하다 / 4월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에 대해 듣다 / 5월 : 왜적이 철수할 것이라는 소문을 듣다 / 6월 : 계속해서 활을 쏘다 / 7월 : 도적이 일어나다 / 8월 : 아들들과 시간을 보내다 / 윤8월 : 백성들의 참혹한 삶을 보다 / 9월 : 전라도를 순시하다 / 10월 : 어머니를 위해 수연을 열다 정유년 1597년 4월 : 어머니와 영원히 작별하다 / 5월 : 비통한 심정을 참아 내다 / 6월 : 장수를 잃다 / 7월 : 왜적에게 대패하다 / 8월 : 3도 수군통제사를 겸하라는 임금의 명을 받다 / 9월 : 명량 해전에서 승리하다 / 10월 : 아들 면을 영원히 잃다 / 11월 : 명나라 장수에게 축하를 받다 / 12월 : 임금의 명에 감격하다 무술년 1598년 1월 : 진을 치고 왜적을 치다 / 9월 : 명나라와 협공하다 / 10월 : 뇌물을 받고 명의 군사를 철수시키다 / 11월 : 충무공이 전사하다 참고 문헌 이순신 연보 옮긴이의 말 | 진정한 리더, 충무공 이순신의 『난중일기』 |
늘 우리에게 큰 귀감이 되는 이순신 장군.
그 업적이 어마어마함은 알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얼마나 삶에 대한 치열한 고뇌가 있었는지에 대한 것은 알지 못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큰별 최태성 선생님의 강연회에서 지금 우리가 힘든 것은 이순신 장군님의 그 시절의 힘듦에는 비할 바가 못됩니다 라는 말씀을 듣고 부끄럽지만 난중일기를 펴서 읽기 시작했습니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어머니에 대한 극진한 효심과 인간적으로 원균을 평하는 모습에서 이분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었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같은 인간임에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에 지금 나는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고민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묵직하다.
이순신의 문체가 묵직했고 나의 마음도 묵직했다.
그가 기록한 일과는 단순명료했으나
그가 짊어진 무게는 천근만근이었으리라.
이순신은 간결한 문장으로 하루하루를 정리했지만
읽는 나로서는 간결한 마음으로 읽어나가지 못했다.
문장이 짧을수록 일기가 짧을수록
이순신의 고뇌가 길게 다가왔다.
이 책을 읽는 현시대의 누군가도 그렇게 느낄것이고
미래의 누군가도 그러할것이다.